'티스도리닷컴'에 해당되는 글 1732건

반응형

서해선 복선전철에 대한 자세한 계획이 얼마전 확정되었다. 이 확정된 계획을 다라 본다면, 합덕역의 설치는 최종적으로 확정되었다. 당진군내 첫번째 기차역이 되는것이고.. 또한 첫번째 역세권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미 합덕읍은 당진군에서 남부지역 거점도시로 삼기위해서 이런저런 개발이 진행중이다. 지금의 당진군 북부권역에는 이런저런 제철소들에 국가산업단지로인해 굉장한 발전을 이룩하고 있는데 남부권역은 고속도로의 개통으로 인해서 이전의 교통의 거점이라는 이야기도 옛말이 된지 오래고 점점 쇠퇴하고 있는 곳이라는 이미지에서 탈피하기 위하여 대표적으로 합덕일반산업단지를 비롯한 합덕인더스파크 산업단지가 현재 공사중이고.. 이후 새로운 주택 공급에 대해서까지는 자세하지 않지만 우강면(합덕우강은 같은생활권. 즉 하나의 동네로 본다.) 송산리 일대에 338세대의 아파트를 짓는다는 도시계획만 확실할 뿐, 산업단지 주변 도곡리와 소소리 그리고 순성면 중방리 주변에 택지개발로 인해 새로 아파트가 공급될것이라는 계획을 제외한다면 현재 건설사들이 지나치게 비싼 합덕읍의 땅값으로 인해서 합덕읍 원도심 내에 아파트를 짓는 사업을 꺼려하는 분위기이다.

실제로 합덕읍땅에 가장 최근에 지어진 아파트들로 보자면, "뉴페이스B" "홍인아이리스" 이정도로 꼽을 듯 하다. 현재 뉴페이스의 경우, 2008년에 완공되었지만 건설사의 부도로 인해 하도급업체들이 받지못한 공사대금때문에 이 아파트를 점거하고 있는 중이다. 역시나 흉물스럽게 유리창이 깨져있고 물이 새고.. 다 지어진 새 아파트는 그렇게 방치되고 있다. 그리고 홍인아이리스는 2004년 준공되었으나 한때 미분양으로 인해서 4년 후인 2008년에 저렴한 가격으로 입주가 모두 완료되었다. 그리고 홍인아이리스 아래에 "태성크리스탈"이라는 아파트가 현재 신축중인데.. 작년 가을정도까지 기초공사를 하더니만, 자금문제때문인지 무엇인지 몰라도.. 현재 공사가 중단되었다. 현재 합덕읍 시내를 중심으로 봐도 턱없이 아파트가 부족한 것이다. 이런데도, 오를데로 올라버린 땅값때문에 수많은 건설사업자들이 아파트가 부족한 이 동네에 아파트를 짓는걸 꺼려하는게 현실인 것이다.


본론으로 돌아와서, 아직 합덕역의 정말로 정확한 위치는 확실하지 않다는 것이다. 다른 역들처럼 정확히 딱 어디라고 콕찝어서 말 하기가 힘들다는것이다. 국토해양부 고시에는 "합덕읍 도리 일원"이라고 나와있는데.. 합덕리 도리 점원리 이 주변까지도 역세권으로 편입이 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과연 정말로, 많은 사람들이 이 주변에 투자하라고 홍보하는것처럼 이곳이 역세권으로 발전해서 이쪽이 거대한 신도심으로 형성될 수 있을까?

여러 지역사람들의 의견을 들어봐도.. 대부분이 이 주변이 굳이 합덕읍의 중심으로 형성되기까진 힘들다는 의견이다. 그냥 고가도로처럼 고가다리로 철도를 놓고.. 그 중간에 역을 하나 놓는 형태로 개발될텐데 그 주변으로 택시정류장과 버스정류소와 상가 몇개를 제외하고 당장에 뭐 생산성있는게 생길지는 모른다.. 아무래도 기껏해봐야 산업단지와 원도심 주변의 배후도심정도의 기능을 할 수 있을것이라는 생각이다.


산업단지에서 합덕역까지의 거리는 약 5km다.. 역시나 직선거리로.. 원도심(현재 합덕읍의 가장 중심지인 약손약국사거리 기준으로 측정)에서도 2.5~3km정도 나온다.. 역시나 직선거리를 나타낸 것이니 실제로 도로를 통해 가본다면 그 이상이 될 수도 있는것이다. 결코 합덕역은 원도심에서도 택지개발을 하는 산업단지에서도 걸어가기는 매우 불편한 곳이다. 나중에 이 두곳에서 합덕역으로 가는 버스가 자주 있어서 보행자들이 얼마나 편하게 다닐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현재로 봐서는 어마어마하게 멀다는것 자체가 확실하다. 조금만 더 역이 원도심이나 산업단지 가까이로 왔다면은 모를까, 일단 접근성에서는 떨어지는것이다. 

이미 군의 계획으로는 산업단지와 원도심 그리고 역세권 주변을 잇는 도로를 건설한다고 하지만, 그 도로가 자동차 전용도로가 될 수 있고 뚜벅이의 입장에서는 그리 환영할만한 위치는 아닌것이 분명하다. 앞으로 역세권이 발전된다고 해도, 아직까지 합덕의 중심을 담당하는 원도심에 가기도 불편할 뿐더러 당진여객에서 당진과 송악의 노선처럼 이쪽 세군데를 순환하는 노선을 신설해서 계속 이곳만 돌아다니는 버스를 몇대나 둘지도 일단은 미지수이다.

역 신설이라는 호재.. 하지만 뚜벅이의 입장을 생각한다면.. 그냥 저 멀리 논바닥에 있는 역이라는 생각 뿐 그저 뚜벅이들이 이용하기에는 불편한 역이라는 생각밖에 들지않는다는점도 입지가 그리 좋은편이 아니니 주민들이 역을 외면할 수 있다는 점도 어느정도 감안해줬으면 하는 바램이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싸구려 철티비의 무한변신!"

이전 글들.. 굉장했었다.. 그리고 그 글의 마지막을 오늘 장식하게 된다.. 모든 제품을 다 장착했기 때문이다.

자전거를 고치고 또 고치고.. 그런다음에 상품화된 자전거용 LED바인 바라바를 붙였다.. 맨 처음에는 부러뜨려먹었지만.. 줄 곧 방법을 터득하여 전기장판 속에 바라바를 넣어서 녹이고, 붙일때도 일일히 드라이기를 켜가면서 붙였다.. 그래서 처음에 겪었던 결국 바가 부러지는 시행착오는 다시 겪지 않게 되었고 다행히 작업을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었다.

이전글에 있었던 바라바 부착계획표는 아래를 참조하세요.



이제 전반적인 LED 부착작업은 마무리가 되었다.. 그리고 이제 앞 뒤로 오렌지색 LED를 빼는것만이 남았다.

(근데.. 나 이 싸구려 철티비 몸값을 호가하는 금액을 이번 한번에 지름으로 부엇다..;)


방금 전 붙였던 긴 LED바에서 45cm 연장선을 이용하여 짐받이 위로 선을 빼놉니다..
(이건 뒤에 번호판 붙이고.. 나중에 할 작업을 위해 여기까지만 해둡니다.)

앞에는 이미 Y잭 한부분을 남겨뒀기에.. LED사이드미러를 만들겠다는것을 포기하고 대신에 속도계에 감기로 합니다. 그리고 싸구려 중국제 아날로그 속도계에 LED를 박는 작업을 이행합니다.


이미 속도계 LED 작업을 위한 재료가 준비되었습니다. 12V(승용차용 전압)을 맞추기 위한 재료들과.. 스위치.. 그리고 배선입니다.


이 배선으로 되어있는 칩LED를 일일히 속도계 속에 넣어서 붙여줍니다..


붙인 후, 속도계를 고정하고.. 그런 다음에 나름 거구인 배터리(노란테이프 떡칠)을 고정해 줍니다..

그런데.. 여기서 큰 문제가 하나 발생했는데....

중간에 선이 하나 끊어져버렸네요..;;;


그 선을 다시 잇기 위해서 납땜을 단행합니다. 땜질을 위한 인두와 땜납 그리고 선....

그런데.. 인두가 뭉툭한 관계로.. 옆에 잘 있는 저항까지 건드려서 결국은 하나를 못쓰게 되었습니다..

에라이XX 내가 이 비싼돈들여서 이걸 하려고 얼마나 고생했건만.. 이런... 된장.. 온갖 욕을 다 쏟아낸 후

마음을 좀 안정시킨 후, 결국 이 촌동네를 모두 돌아서 그 하나를 대체할만한 대체제를 찾기위해 돌아다닙니다.

동네 전파상 자동차부품점 전자제품수리점 카오디오 튜닝점.. 결국 튜닝점에서 아홉발이 박힌걸 하나 구입해옵니다..

사실 구입하기 이전에, 지나가다가 소렌토 한대가 사고나고 남긴 잔해들중에 LED가 있기에 몇개 주어왔습니다. 


아래 세개가 사고난 소렌토의 잔해에서 주어온것들..(이거 세개 모두 주황빛이 났습니다..)

그리고 위에 하나는 사온겁니다....

이 사온거 모두를 연결하고 싶지만, 필자의 전기적인 지식으로는 굉장히 부족하고, 이전에 박다 하나 못쓰게 된것을 결국 하나 자르고 선을 연결하여, 불을 밝힙니다.


불이 밝아옵니다.. 밤에 이게 굉장한 역활을 하게 됩니다.. 이정도만해도 만족이네요..

(나중에 저 나머지 LED는 외부로 빼봐야죠..)


그리고 그 둘레를 30cm짜리 오렌지색 바라바로 감아서 오렌지색 둘레를 연출해줍니다. 참고로 밤에 운전자의 입장에서 본다면 밝은 속도계 뒤로 주황빛이 굉장히 인상적입니다.

그리고, 뒤 바라바 부착을 위해 남겨둔 기다리던게 하나 있습니다..

50cc미만의 배기량을 가진 스쿠터들은 의무등록제가 아니기에..(지금은 얼마전부터 의무등록으로 바뀐걸로 알고있습니다) 이런저런 패션번호판을 많이 달고다녔습니다.. 그 패션번호판.. 자전거에 뭐 달아보죠..

P.S 자전거용 번호판이라고 판매되는것은 오토바이용보다 훨씬 작고 비쌌기에, 결국 오토바이용 짭 번호판을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고래와 도쿄 자전거 데스네!"

스쿠터에 하는짓을 나라고 못할일있냐... 난 싸구려 철티비지만, 스쿠터를 능가한다..!


이 바라바를 도대체 어디로 빼야하나 고민도 많이 했지만, 우여곡절끝에 자리를 잡아놨습니다..

자리도 잘 잡아놨겠다... 케이블타이는 나중에 자르고, 일단 불부터 켜보죠..


마지막 뒷처리가 아쉽지만..(구부러지지 않아서.. 여름에 다시 손봐야할듯..) 이정도면 만족입니다..!


어느정도 만족했고, 좀 흔들리고 조만간 수명이 다 되서 갈아버려야 될 듯한 BB랑 크랭크를 조만간 시마노로 갈려고 계획한것을 제외하고는 이제 조만간 철티비에 돈을 들일 일이 없을것 같습니다..

밤에 보면 안전과 멋을 다 챙길 수 있는 굉장한 작업!! 무언가 미흡하지만, 나한테는 굉장한 작업이였다..

조만간 소렌토에서 주어온 LED와 직접 산 LED까지 부착하면 몰라도 말이다..ㅎ

(언제 밤에 찍은 샷도 함께할게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