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부에서 이어집니다.



2부 이후로는 전국 각지에서 올라온 시장 부스들과 시장박람회의 볼거리들 위주로 서술을 해 보겠습니다. 전국 각지에 시장이 모두 모인 자리인만큼 다양한 볼거리와 각 시장과 지역별 특색 또한 볼 수 있었습니다. 시장 박람회로 즐기는 전국여행인 셈이네요 ㅎㅎ



어느정도 입소문을 듣고 온 주변의 시민분들로 인산인해를 이룹니다.


각 지역 상인분들은 이제 손님을 맞을 준비를 모두 마쳤고, 여기저기서 시선을 이끄는 파격할인행사나 이벤트 또한 성대하게 펼쳐지고 있었습니다.



지금은 창원시로 합병된 진해의 진해중앙시장입니다.


진해하면 벚꽃이죠. 진해중앙시장에서는 일년 내내 LED 벚꽃을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일제가 심어두고 간 벚나무가 자라서 장관을 연출하는 형태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진해하면 벚꽃이고 매년 4월 열리는 군항제는 전국적인 축제로 자리매김 했지요. 약 10여년전에 군항제에 갔었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이러한 진해중앙시장에서는 마스코트 캐릭터인 장나래와 벚나래의 이름으로 삼행시를 짓는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었습니다.


P.S 통합 창원시에서 얼마전 진해시 분리 건의안이 통과되었다고 합니다. 다시 진해시로 복귀를 하느냐, 혹은 광역시급의 매머드시티 창원시로 계속 남느냐의 기로에 서 있네요.



아 저는 벚나래가 걸려서 벚나래 이름으로 삼행시를 지었네요 ㅎㅎ

톡톡 튀게 지어서 미공개 모자이크를 했습니다. ㅋㅋ


이름과 연락처를 작성한 뒤에 직원분께 전달해 드리면 추억의 뽑기기계에서 뽑기를 하나 뽑게 됩니다!



과연....?! 제 앞에서 뽑기를 돌렸던 아주머니는 온누리상품권을 받아가셨습니다...


저는 과연 무엇을 받게 되었을까요??



경★축!! 연필세트 당첨!!!


고급스러운 케이스 속에 큐빅이 박힌 고급스러운 연필이 열자루나 들어있었습니다 ㅎㅎ



장나래 캐릭터와 행사를 담당하시던 직원분이 포즈를 취해주셨습니다 ㅎㅎ



이래저래 창원에서 열린 박람회기때문에 경상남도 부스와 창원 지역 시장 부스가 특히 흥했습니다.


반송시장에서는 조금 특이한 팥빵을 판매하고 있더군요. 부산 해운대구의 반송을 생각했었는데, 부산의 반송이 아니라 돼지칼국수로 유명한 창원의 반송시장이라고 합니다.


이 부스에서 특이하게 봤던건, 조금은 희안한 팥빵이네요?



이런 팥빵도 있어요? 이런 팥빵은 처음보네요?!


그랬습니다. 반송시장에서는 이런 팥빵을 판매하신다고 하더군요. 물론 밥을 먹은 상태라 하나 사가긴 부담스러워 그냥 물어만 보고 갈 수 밖에 없었습니다. 직접 끓인 팥으로 빵을 만드신다고 하는데.. 아아 지금보니 군침돕니다. 못먹고온게 후회되요ㅠㅠ



반송시장의 팥빵은 그렇게 성황리에 팔리고 있었습니다^^



반송시장 옆에는 경남거창시장이 있었습니다^^


뭐 사과 산지로 유명한 거창에서 나온만큼 사과가 주를 이루고 있더군요. 전국적으로 유명한 사과 산지가 여러군데 됩니다. 그중 거창도 하나지요.. 딱히 거창에 가보거나 한 적은 없지만, 거창고속 시외버스가 전국적으로 돌아다니는 노선이 몇군데 되다보니 여기저기 돌아다니는 거창고속 시외버스를 본게 거창하면 생각나는 이미지네요.


주변의 함안이나 산청같은 동네에서 몰려드는 상인들로 군단위치고는 큰 규모의 시장이라네요.



경남거창시장의 마스코트 캐릭터인 오홍이 사진을 찍어서 sns에 인증하면 사과를 준답니다!!


오홍이는 상당히 쉽게 찾을 수 있었습니다^^ 부스 바로 앞에 있었어요...!



성은 손! 이름은 오홍!! 거창한 거창시장의 마스코트 오홍이입니다!!


거창시장 옆에는 주변지역인 함양중앙시장이 나와있었습니다.



아니 이것은 산삼인건가요!!!!!!!


산삼은 생각보다 저렴했습니다. 그래도 이게 어딘가요 ㄷㄷㄷㄷ 시장에서 산삼을 보았습니다 ㅎㅎ



이래저래 산삼을 포함해서 밤과 땅콩같은 견과류도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ㅎㅎ



혼수와 원단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부산진시장의 부스입니다.


한복을 입은 마네킹들이 있는데요..ㅎㅎ 이 옆에서 사진을 찍으면 동전지갑을 준다고 하더군요.


101년 전통의 부산진시장은 1350여개의 점포들로 이루어진 초대형 시장입니다. 서울의 동대문시장과 대구의 서문시장과 함께 3대 시장 중 하나로 불리고 있다고 합니다. 그중 약 600여개의 점포가 한복이나 원단 및 혼수용품등을 판매하는  점포라고 하네요. 또한 현대식 건물로 마트와도 같은 모습을 하고있답니다.

(홍보 책자를 쭉 읽어보니 생각보다 크고 아름다운 시장이네요)



그리고 그 옆에, 도매상품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부산자유시장의 부스가 있었습니다.



자유시장이라는 이름처럼 정말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많은 관람객들이 신발이나 의류를 직접 입어보거나 신어보고 구매해가고 있었습니다. 이게 바로 도매시장의 위엄이 아닐까요..



이런 시장 부스들 사이로 청년상인관의 이름을 달고있는 부스들이 있습니다.


말 그대로 젊은 사장님이 전통시장에서 창업을 하고, 성공적인 사례로 꼽히는 시장과 업소의 부스를 내 준겁니다. 통영중앙시장의 부스에서 통영굴을 저렴한 가격 단돈 만원에 팔고 있다기에 냅다 사왔네요.



이 무거운 굴을 계속 들고다닐수는 없다보니.. 프레스센터 구석에 일단 박아두기로 합니다.



역시 시장하면 신나는 분위기 아닙니까!! 각설이 엿장수가 왔어요!!!!


대구 달성의 현풍시장(현풍 백년도깨비시장)에서 오신 분들이라고 합니다. 현풍하면 생각나는게 역시 고속도로 ic와 분기점입니다. 옛 구마고속도로 시절부터 고속도로가 지나가기도 했구요. 중부내륙고속도로로 저 끝까지 도로가 이어져서 올라간 지금은 현풍분기점이 생겨서 대구로 가는 기존의 구마고속도로 지선과 저 끝까지 올라가는 중부내륙고속도로가 분기하는 구간이 생겼습니다.


고로 창원에 올라가고 내려가면서 현풍을 이래저래 지나 왔습니다. 다만 이리 생기넘치는 각설이가 있는 시장이 있단 사실은 처음 알았네요(추후 3부에서 부스로 소개)



시장이라고 해서 단순한 볼거리만 있는게 아닙니다!


이렇게 직접 캐리커쳐를 그려주는 부스도 있구요. 창원 시민들과 여러 관람객들을 위한 하나의 성대한 문화행사가 아닐까 싶습니다. 물론 줄이 길게 서있어서 저는 그냥 지나쳤지만요..



저 멀리 제주도에서도 여러 전통시장이 참여했습니다!


딱 제주도 시장이다 느낄만한 시장의 대표적인 물품들이 출품했지요!



제주 동문시장에서는 신선한 회를 떠서 저렴한 가격에 판매를 하고 있었습니다.



평소에 비싸서 먹지 못했던 회가 무조건 한접시에 만원이랍니다!!


뭐 차도 있고 당일날 올라가야하는 처지라 소주 한잔 들이키기도 그랬고, 집에 가져가자니 시간이 오래걸려 변질될 우려가 있기때문에 그냥저냥 군침만 삼키고 지나갔네요. 창원도 바닷가에 접한 지역이라면 지역이다만, 그래도 제주도에서 올라온 싱싱한 회는 많은 창원시민들의 사랑을 받았습니다!



민속오일장 부스에서는 횟감이 아니라 반찬용으로 밥상에 오르는 생선들을 팔고 있었습니다.


고등어와 제주의 명물 은갈치! 제주도 산지에서 올라온 싱싱한 생선들이 역시나 지나가는 아주머니들의 지갑을 열게 했습니다. 사방이 바다인 제주도의 명물은 역시 어류죠!



또한 서문시장에서는 조금은 남다른 제품이 출품했습니다.


제주도스러운 가방, 감물염색으로 원단을 물들이고 직접 수작업으로 가방을 만드는 일을 하신다고 합니다. 제주 서문시장의 자랑거리이자 이곳저곳에서 상당한 호평을 받으신 사장님이시더군요.



기존의 가죽가방에서 볼 수 없는 분위기와 함께 화학염료가 전혀 들어가지 않아 건강에도 좋다네요!


아기자기하니 이쁜 가방을 만드시는 서문시장의 갈아트 사장님에 관련된 이야기는 지역신문 기사에서도 찾아 볼 수 있습니다.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137764



엥? 웬 트럭이죠....??


로봇밴이라는 이름의 트럭이 행사장 한켠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과연 무얼 하는 트럭일지요...

3부에서 계속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그동안 주말 내내 여기저기 돌아다니고 하다보니 세차를 할 시간조차 없었습니다..


보통 세차를 일주일에 한번정도는 해주곤 했는데 세차를 할 시간도 없이 이래저래 돌아다니니 당연히 차 상태가 어땠을까요.. 개판 오분전이였겠죠. 지난 주말엔 꼭 세차를 하겠다 마음을 먹고 모처럼만에 셀프세차장으로 향하게 되었습니다. 


창원으로 내려가면서 비를 맞긴 했는데 그때 조금 깔끔해지긴 했어도 왁스칠이 거의 벗겨진듯 했습니다. 광은 상관 없는데, 차량 도장면의 미끌미끌한 유분이 없다는 얘기죠.. 고로 왁스칠도 같이 해줍니다.



샤워 및 하부세차까지 같이 되는 세차장입니다..


뭐 이래저래 물을 위 아래로 뿌려주니까 시간 절약이 되서 비용절감의 효과도 있지요. 셀프세차장에 가는 경우도 있고, 할머니댁 차고로 가서 세차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그때는 DIY가 수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비스토 탈적에도 마찬가지였지만 스파크는 차가 작아서 2500원정도만 넣어도 충분히 시간이 남습니다.



뭐 이래저래 물기를 제거해줍니다.


가끔 세차 결벽증 환자분들이 보이곤 하는데, 저는 그수준까지는 아니니 그냥저냥 저 혼자 만족할 수준의 세차만 하고 맙니다. 데칼을 붙인 뒤로 세차방법이 조금 까다로워지기는 했는데 그래도 크게 신경쓰일 수준은 아니니깐요.


은색차라 세차를 하나 안하나 사진상으로는 똑같아보입니다.



번호판가드에 칠한 락카가 고압에 떨어집니다.


이거 보면 참.. 심혈을 기울여서 여러번 덧칠하고 투명페인트로 마감까지 한건데 왜 이리 벗겨지나 싶습니다. 비스토탈적엔 어떻게 칠이 까지지 않고 잘 탔었는지 이해가 가질 않네요. 불과 얼마 지나지 않은 일인데 말입니다.



스티커의 디자인상 문제로 저렇게 물때가 남습니다.


애초에 디자인할때 그런건 염두하지 못해서 그런가, 캐릭터 머리카락 아래로 흐르는 물때가 꼭 남습니다. 솔질을 세게 하지 않기때문에 솔질로 지우진 않구요. 그냥 걸레나 물티슈로 살짝 문질러주면 지워지는 수준이니 살짝 지워줍니다. 아니라면 왁스칠 할때 그대로 문질러줘도 지워지구요.



물기를 다 닦아내고 왁스칠을 합니다.


"왁스는 어느 제품을 사용하느냐구요?" 


"저 돈없는 거지라 좋은거 안써요.."


그리고 데칼 붙은 차라 고체왁스 쓰다간 찌꺼기 다 남아서 보기 흉합니다. 고로 물왁스를 이용하는데, 국내산 저가 브랜드 제품 위주로 사용을 하고 있네요. 그냥 편하게 쓸 수 있는 제품들 위주입니다.



타이어 광택제는 휠에도 같이 뿌려주고

(잘하는 짓인지는 모르겠지만, 무광블랙이라 같이 뿌려주니 광이 함께 살더군요.)


손이 미끄러질 정도로 물왁스를 문지르니 차가 얼추 광이 나는듯 합니다. 

그래봐야 은색이라 별 차이는 없지만 말이죠;;;


여튼간에 날씨가 많이 추워진게 느껴졌습니다. 이제 좀 더 지나면 물 뿌리자마자 얼어버리겠죠;;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