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내 유일 편도 1차선 왕복 2차선 고속도로! 그 이름도 유명한 쌍팔번 고속도로!


티스도리닷컴에서도 수년전부터 '88올림픽고속도로' 이야기를 종종 다루곤 했었습니다만, 실로 오랫만에 그 이야기를 한번 다뤄 볼 까 합니다. 마침 휴가 목적지 중 한군데를 가기 위해서는 이 고속도로를 타야만 했습니다. 언덕배기 구간도 아니고 아주 잠깐 88을 경험했네요.


전 재산이 29만원밖에 없으시다는 전두환 대통령 각하께서는 5.18이후로 냉랭해진 전라도 민심을 달래보자는 차원에서 동에서 서를 잇는 고속도로를 기획합니다. 소백산맥을 지나서 소백고속도로나 지리산을 통과해서 지리산고속도로등의 이름이 물망에 오르긴 했다지만, 우리의 전두환 대통령께서 서울올림픽 유치를 기념하여 88올림픽고속도로라는 이름을 제안하여 결국 고속도로에 88올림픽이라는 이름이 붙게 됩니다. 물론 서울올림픽과는 전혀 관련이 없지만 말이죠...



고령분기점을 앞두고 있습니다. 쌍팔번 고속도로로 진입해야죠.


이름은 쌍팔이지만, 도로번호는 88번이 아닙니다. 88번인 도로는 서울의 올림픽대로.. 88올림픽고속도로는 도로번호가 12번입니다.



전라도와 경상도를 가로지르는 이 고속도로.


급경사 급커브와 국도만도 못한 선형으로 유명하지요. 일전엔 60km/h 구간이나 선형이 불량한 구간도 가 보았지만 이번엔 전라도쪽까지 88로 넘어 갈 계획은 없기에.........



대구방향과 광주방향으로 나뉩니다. 대구방향으로 더 가면 중부내륙지선이랑 이어집니다.


아 물론 여기까지는 크고 넓고 아름답게 확장공사가 마무리 되어 있습니다^^



광주방향으로 가는 길 역시 아주 잠시동안은 3차선을 감상 할 수 있답니다.



곧 2차선으로 줄은 다음에 차선이 좁아진다는 표지판이 보이죠..



그리고..........



쌍팔의 랜드마크!!!!! 편도 1차선 고속도로!!!!!!



이제 앞으로 쭉 1차선입니다. 


물론 확장 및 선형개량공사가 고령방면은 어느정도 완성이 되어가더군요. 기존의 고속도로가 우회 해 가던 산을 터널을 뚫어 직선화를 한다던가.. 이런 공사가 얼추 마무리 되어갑니다.



아스팔트 뗌질을 해 둔 곳도 있습니다. 어짜피 우리나라 고속도로 노면은........



저는 80km/h 정속주행으로 잘만 가고 있었습니다만...


성격급한 검은색 YF 택시께서 상향등을 켜고 지x을 하고 난리아닌 난리를 피우시더군요. 그냥 무시하고 쭉 갔습니다. 교통체증은 없었습니다. 택시혼자 난리를 피웠죠..



메스컴에 알려진 통행량 없는 고속도로 수준은 아닙니다.


생각보다 차량이 지나가긴 합니다. 물론 대구에서 광주로 가는데에는 이만한 대체재가 없으니 울며 겨자먹기로들 이용하는거죠...



이렇게 평범한 시골 국도에서 볼 수 있을법한 풍경들도 펼쳐집니다.


지나가다보면 2차선 고속도로에 알프스산맥을 횡단하는듯한 이국적인 풍경들도 볼 수 있구요.



선형개량 및 확장공사가 진행중이기에 공사자재들이 상당히 많이 보입니다.



안전속도는 70km/h.. 성격급한 택시는 뒤에서 상향등....


도로의 지대가 높아 질 예정인가 봅니다. 물론 좌측 공사가 마무리 된다면 좌측으로 2차선 통행을 시킨 뒤에 우측도 얼추 높이를 맞추고 다시 포장하겠죠..



본레는 터널이 없던 구간입니다. 산을 돌아서 고속도로가 지나갔는데 말이죠..


고령4터널입니다. 한쪽 터널은 개통되어 차들이 지나다니고 마저 반대쪽도 개통이 되겠죠. 비록 현재는 광주방향 터널 하나에 봉을 박아놓고 편도 1차선으로 사용하고있지만, 조만간 2차선으로 개통되리라 믿습니다.



최근 지어진 터널이란 모습을 보여주듯 가드레일도 반짝반짝 합니다. 터널도 깨끗하구요.



터널을 지난 뒤 교각을 건넙니다. 그리고 고령3터널을 맞이합니다.


이 터널 역시나 4터널과 마찬가지로 산을 우회해서 지나가던 구간을 직선화 하며 개통한 터널입니다.



역시나 이곳도 직선화와 함께 새로 지어진 교량입니다.



고령 2터널입니다. 이 터널은 아직 한군데 더 공사중이거나 이런 모습이 확인되지 않네요..


88올림픽고속도로의 고령2터널과 3터널 그리고 4터널은 있지만 현재 1터널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건 고령ic 지나서 산을 하나 더 관통하는걸로 보입니다.


P.S 참고로 중부내륙고속도로의 고령1,2,3터널과도 이름이 겹칩니다. 



시원한 교량구간을 거쳐 고령ic를 안내하는 이정표가 보입니다.


고속도로는 그래도 나름 최신의 도로 건설 트랜드를 따라서 선형이 개량되고 새로워졌지만, 아직까지 톨게이트는 쌍팔년도 스타일입니다.



톨게이트 구간 역시나 확장공사로 인해 어수선한 분위기입니다.



쭉 BMW X5를 따라갑니다. 생각보다 고령ic에서 진출하는 차량은 많았네요..



쌍팔년도 스타일! 고령IC


톨게이트 이름을 나타내는 간판 역시나 웬만해서는 2000년대 초반에 일체형으로 변경했을텐데 이곳은 아직도 그대로입니다. 나름 당대에는 최신의 서구식 고속도로이자 톨게이트였지만, 지금은 그저 그런 구닥다리 쌍팔년도 스타일 요금소일 뿐입니다.



다시 돌아가는 길에는 무지개도 볼 수 있었네요....


7부에서 뵙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지난 1월, 티스도리 신년기획으로 홍성에 소재한 토지 한 필지를 경매로 낙찰받아 직접 이전까지 했던 일을 기억하시는 분이 계시리라 생각됩니다.


물론 그 이후로도 법원경매를 열심히 보고 있었습니다. 다음 표적지로 삼을 토지를 찾기 위해 전국 각지의 경매물건을 열심히 눈팅 한 결과 집 가까이에 알박아놓기 참 좋은 토지가 나왔더군요.



(지난번 사진 재탕)


합덕터미널 앞에 우강송산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 된 구역에서 도로 건너편에 붙어있습니다.


현재 우강송산도시개발구역이 분양률 저조와 공사비 문제로 인해 공사의 진전이 없습니다만, 앞으로를 두고 본다면 분명히 뭐라도 생기겠지요. 시간은 약 10년정도 두고 봐야겠지만 길 건너편까지도 분명히 개발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물론 제가 잡은 필지 주변의 토지 대다수의 소유자가 40여년전에 땅을 사 놓은 서울사람이 캐나다와 미국 국적을 가진 자녀에게 증여를 해 준 땅들이니 소유자가 많지 않아 보상 과정 역시나 수월하겠죠.


제가 경매로 잡은 자리는 하다못해 보도블럭이라도 깔릴 자리입니다. 도로랑 붙어있거든요.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입찰표를 작성하고 보증금과 함께 입찰봉투를 냈습니다. 아침에 가서 매각물건명세서를 확인하는데, 바로 앞에 계시던 아저씨께서 같은 사건을 확인하고 계시더군요. 혹시나 자투리땅까지 잡으려는게 아닌가 싶어서 생각보다 높게 써냈습니다. 


물론 그 아저씨께서는 자투리땅은 빼고 같은 사건에 포함된 주유소를 5억에 잡으셨답니다.



제가 잡은 사건번호가 불려지고, 물건번호 1번과 2번에 각각 한사람씩 입찰을 했다고 합니다.


입찰봉투를 열어보는데 집행관님께서 높게 써서 냈다고 한마디를 하십니다.

사정 설명하고 서류상 이상 없으니 영수증을 써주시고 마이크를 잡아 낙찰자를 선언해주시네요..


"2013타경129*7번 사건의 1번물건은 당진시 합덕읍에서 오신 김정수씨께 낙찰되었습니다."


저도 차례를 기다리며 재미있는 낙찰가격을 써낸 분들을 여럿 보았습니다. 제 낙찰가격을 듣고서는 다들 웃으시더군요.. 뭐 작은돈 가지고 경락대출 받을것도 아니지만 나중에라도 필요하면 전화라도 달라고 이번에도 명함만 여러장 받아왔습니다.


100%까진 대출이 불가능하니 경락대출 받아도 될만한 돈을 벌어서 나중에 꼭 아파트라도 하나 잡아보고 싶습니다. 경매의 꽃은 아파트인데.. 차근차근 자잘한걸로 기본기를 다져서 올라가야죠 ㅎㅎ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