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00년 3월 1일자로 폐교되어 합덕초등학교로 통폐합 된 합덕읍 옥금리의 흥덕초등학교..

합덕평생교육원으로 사용되나 싶더니만, 당진시에 매각된지 오래 전 일입니다.



뭐 폐교 될 적만 하더라도 이 근처에 역이 들어서고 추후 역세권으로 개발이 될 여지가 있을 줄 상상이라도 했던 사람 역시 없습니다만, 위에 계신 분들께서 떡하니 이 근처 논바닥에 역을 만들어 주신다 하는군요.


부동산 전문가를 자처하며 아무것도 모르는 외지인에게 투기를 권유하는 일부 공인중개사나 기획부동산 업체의 장미빛 전망만 보고 무턱대고 투자를 하는 분들 덗에 땅값은 이미 오를대로 올랐습니다. 당장 지역 부동산 카페에서도 전망이 엇갈리는 마당이긴 한데.. 여튼 시에서 농기계 대여소를 목적으로 매입을 했던 요 학교 부지에 한라건설 현장사무소가 들어온다고 해서 찾아갔습니다.


서해선 복선전철 공사 관련해서 이 근처 공구의 사업권을 한라건설에서 획득했으니 그러겠지요.



아직 합덕평생교육원 명패를 달고 있습니다. 조만간 주식회사 한라 명패로 바뀌겠지요.


잡초가 무성하던 초등학교 운동장엔 자갈이 깔리고 이승복어린이 동상이라던지 이순신장군 동상 역시 철거가 된 상태입니다. 무성하게 자라던 플라타너스 나무도 사라졌고, 철봉도 놀이터도 모두 사라졌습니다.



학교 본건물 자리 앞까지 요렇게 아스팔트를 깔아뒀습니다.


아무래도 사무실로 활용할 부지이니 차량들이 속 편히 다니도록 아스팔트를 깔아둔걸로 보이는군요. 한편에서는 기존 학교건물 옆으로 창고를 헐고 새 건물을 지을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폐고가 되지 아니했더라면 아마 매점정도로 쓰였을 건물... 


어르신이 사시는 집 같은데 잔디가 잘 깔려있습니다. 아마 30년 후 이곳에 도시개발이 완료되고 진정 취학 예정 아동이 많아진다면 초등학교가 다시 부활할지.. 흥미롭게 지켜볼만 하겠습니다.



학교 뒷편 아름드리 나무들 역시 죄다 잘려나갔습니다.


나름 시야가 탁 트인 기분이라 좋긴 합니다만, 대기업 한라 아저씨들은 나무를 썩 좋아하시진 않으신가 봅니다. 적당히 가지치기나 솎아주기 선에서 마무리 했으면 어떨까 싶었는데 죄다 잘려나갔더군요.



학교 본건물 옆으로 고소작업대를 가지고 철구조물을 짓는 공사를 하는걸로 보아선..


아무래도 부속 건물을 하나 더 지으려는듯 보입니다. 저 뒤에 있었던 오래된 창고는 철거가 된 상태구요. 그나마 부속건물로 있던 단층건물은 철거를 면했습니다. 아마 숙소등의 용도로 활용되지 않을까 싶네요.



한쪽으로 만들어진 작은 차고, 그리고 무성한 잡초들 뒤로 보이는 조립식 건물..


그래도 깔끔해진 모습이 보기 좋습니다만, 이곳이 학교였다는 흔적은 거의 다 사라졌습니다.


운동장 자리에 세워진 조립식 건축물은 식당이나 숙직실등으로 이용중이더군요.


본격적으로 서해선 복선전철 공사가 시작된다면 분주하게 활용되리라 여겨집니다. 아직까진 크게 활용되거나 한 흔적이 보이진 않지만 말이죠. 팻말에 (주) 한라 로고가 박혀있습니다.



플라타너스 나무는 밑동만 남았고, 작은 가지 하나만이 살아남은 상태.


저거 하나쯤은 남겨두면 어떨지 싶습니다.



구닥다리 샷시 철문 역시 깔끔한 통유리로 변경되었습니다.


작은 창틀 하나하나 역시 PVC 샷시로 모두 교체되었습니다. 화장실 등 역시 LED로 바뀐듯 하네요.



한켠에는 학교 건물에 남아있던 가재도구나 집기류들이 쌓여있습니다.


비닐하우스가 있던 자리 역시 철거되었고, 저 물건들 역시 폐기가 될 운명인듯 합니다.


곧 공사가 시작될테고, 공사 역시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명절 연휴는 잘 보내고들 계신지요. 평화로운 빨간날도 이제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차례도 지내고 벌초도 다 지냈습니다만, 그래도 뭔가 심심한지라 스파크동호회 벙개모임에 잠시 나갔다 왔습니다. 뭐 조금 멀다면 멀게 느껴질 보령입니다만, 그래도 재미삼아 더 먼거리도 다니고 하는데 그정도면 뭐 먼것도 아니죠.


점심벙개였습니다. 장소는 횟집.. 고로 회를 먹으러 보령에 내려갔습니다. 회센터나 식당 밀집지역 요런데 생각하고 갔습니다만, 한적한 도로변의 횟집이네요. 이름도 '시골횟집'입니다.




12년식 흰색 수동을 12만 넘게 타시다가 넥스팍이 아닌 15년형 수동을 다시 구매하신 벙주님부터


7월에도 한번 뵈었던 포승에 사는 회원님 가족 그리고 저까지. 세팀이 나왔습니다. 매번 모이면서 느끼지만 나오는 사람만 나오게 되지 않나 싶더군요. 시간 나면 마음껏 돌아다니겠지만.. 10월도 주말마다 여기저기 갈 곳이 정말 많습니다.



시골 한적한 도로변에 소재한 시골횟집.


영어로는 Seafood restaurant, 평범하게 적혀 있습니다만, 밑에 이나카야(INAKAYA)라는 문구와 함께 전사가(田舎家)라는 한문이 적혀있습니다. 일본말로 いなかや, 그리고 일본식 한자 표기. 시골집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뭔가 감성돋는 카페 분위기의 간판인데.. 역시 그랬습니다. 감성돋는 식당입니다.



횟집이라기 보다는 분위기 있는 카페 느낌이 납니다. 


그래도 앞에 수족관이 있고 취급하는 메뉴 역시 회 초밥 칼국수 등 횟집에서 취급하는 식사류입니다.



오픈한지 약 2개월정도 지났다고 그러십니다. 그래서 그런지 정갈하고 깔끔한 분위기더군요.


요런 분위기 마음에 듭니다. 보통 횟집이라 하면 바닷물로 인해 녹이 슬은 바닥이라던가 관리가 잘 되지 않는 천장을 연상하기 쉬운데 전혀 그런 느낌은 없습니다. 그냥 정갈하고 깔끔합니다. 카페에서 커피 대신에 회를 먹는 기분이라 할까요.



사장님께서 원피스를 참 좋아 하시는지, 완성된 퍼즐을 자랑스럽게 액자에 담아 걸어놓으셨습니다.


무려 하나도 아니고 다섯개 가까이 됩니다!


저 작은 조각들 하나 하나 언제 다 맞추셨을지.. 전 저런거 하라고 해도 못합니다. 섬세함이라곤 쥐뿔만큼도 없는 사람인지라.. 반도 못하고 힘들어 할 듯 보이네요.



일단 에피타이저로 고구마 튀김이 나옵니다.


타 횟집에 비해 착한 가격과 조용하고 쾌적한 분위기, 그리고 튀김마저도 원목 식탁 위에 올려둔지라 감성이 묻어나오는 그러한 시골횟집입니다.



쌈장과 간장에 회를 찍어드시는 분들을 위한 와사비, 그리고 고추와 마늘이 나옵니다.


여타 다른 횟집들처럼 전반적인 밑반찬이나 쌈과 곁들여 먹는 장류나 고추 마늘등은 다르지 않았습니다.



칠판페인트로 마감해둔 벽에는 분필로 9월 일정이나 가격에 대해 적어두었습니다.


이 시골횟집이 횟집보다는 카페 분위기가 물씬 풍겨지는 이유도 바로 이런데 있어서가 아닐까요. 카페 혹은 포차형 술집과 비슷한 분위기를 주고 있습니다. 그나저나 스끼다시로 나오던 꽃게튀김도 따로 주문하면 2만원이나 하나봅니다.



꽃게튀김과 삶은 갑오징어 그리고 멍게가 나옵니다.


꽃게튀김도 신선한 꽃게를 가져다 튀겨야 맛이 난다는데.. 역시 신선해서 그런지 맛깔납니다. 게장 먹고 장염에 걸린게 불과 한달도 지나지 않은 일인데.. 그런거 상관 없이 정말 맛나게 먹었습니다.



회를 먹지 못하는 아기는 칼국수로 점심식사를 대신합니다.


칼국수도 푸짐하게 나오더군요.



메인요리인 회가 나왔습니다. 푸짐하게 식기 위에 올라간 먹음직스러운 회입니다.


그냥저냥 맛있게 먹었네요. 억센 감은 하나도 없이 순한 상추 위에 쌈장 찍은 회를 넣고 쌈을 싸서 입에 넣으면.. 그냥 녹습니다. 이번 연휴 내내 회를 두번씩이나 먹는군요.



회로 어느정도 배를 채우고, 그래도 아직 허기진 배는 매운탕으로 달래봅니다.


그냥 회 뜨고 남은 잔여물들로 끓인게 아니라 꽃게까지 들어갔더군요. 땀 뻘뻘 흘려가며 맛나게 먹었습니다. 깻잎이라던지 오징어젓갈 고추장아찌같은 대중적인 백반 반찬들도 먹을만 했습니다.


요 식당 근처엔 해수욕장이 있습니다. 무창포랑 대천해수욕장 사이에 용두해수욕장인데, 나름 연휴를 맞이하여 놀러나온 가족들이 꽤 보이더군요.






10월을 바라보고 있는 9월입니다. 그럼에도 백사장에서 노는 사람들이 좀 보이는군요.



한편에선 물에 들어가고 싶은 딸과, 놀아주느냐 애먹는 아빠의 모습도 볼 수 있었답니다.


여튼 바닷바람 쐐어가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다가 날이 저물 즈음 집으로 돌아가려 도로 위로 올라왔습니다. 내려가던 길엔 상행선에 극심한 정체가 있었는데, 올라갈 시간쯤 되니 다들 올라간건지 정체는 없었답니다.



는.. 집에 다 와서 정체가 시작되는군요.


서해대교 구간 정체때문에 당진분기점을 거쳐 수도권으로 올라가는 차량들이 고덕ic에서 내려와 합덕을 경유해서 삽교천 방향으로 진출합니다. 그러한 연유때문에 종종 주말에도 고덕에서 합덕으로 나오는 40번 국도에 차가 많은 경우가 있는데.. 차가 많은 수준을 넘어서 정체가 생겨버렸습니다.


살다살다 이 도로에서 거북이처럼 운행 할 줄 누가 알았겠습니까..


여튼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