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 토요일 스파크 이타샤 오너들끼리 다같이 한번 모여보자기에 약속을 잡았습니다. 


다섯대 중 꼭 한대씩은 사정이 있어서 자리를 비우니 다같이 사진을 찍을 기회가 없더군요. 이래저래 지난주 작업을 마쳤던 유키미쿠와 블랙록슈터 차량의 본넷 작업이 있기에 이타샤의 성지이자 언제나 사랑방처럼 여겨지는 비비데칼에서 모임을 가지기로 했습니다.


스파크 오너 뿐 아니라 다른 회원님들도 자리를 빛내주셨지요.



합덕에서부터 같이 온 갓 천키로 넘긴 코란도 스포츠 익스트림


예전에 뉴코란도 이타샤로 프리랜서 활동을 하시던 히토미님께서 새 차를 뽑아서 오셨습니다. 멀리서 천안 성환에 들렸다가 합덕을 거쳐 아산까지 왔네요. 뭐 여튼간에 요즘 쌍용차 많이 좋아졌습니다. 22인치 겁나게 큰 X6 휠만 보더라도 앞으로 이 차가 어떤 모습으로 우리들 곁에 찾아올지 기대됩니다.



종종 수배되는 요 노란색 벨로스터.


요 상태로 돌아다닌지도 상당히 오래되었고, 아산 사는 사람들은 최소 한두번쯤 보셨을법한 차량입니다. 누구 차인지는 딱히 말 하지 않아도 다 알겠죠. 대한민국 이타샤의 80% 이상을 만들어 낸 이타샤의 어머니 비비데칼 사장님 차량입니다.


P.S 합덕의 모 다방 상호가 찍혀있는 라이터를 쓰시더라던...



지난주 작업을 완료했지만.. 불운의 사정으로 재작업이 진행중인 유키스팍스님 스파크.


불운의 사정이 있었지만 그래도 일사천리로 재작업을 진행하셨습니다. 개인적으로 녹색 미쿠보다는 하얀색 유키미쿠를 더 선호합니다. 본넷만 다시 작업하면 되는지라 차량이 입고되고 금방 작업이 끝나버렸습니다. 도로의 정체를 예상하고 상당히 이른 시간에 나오시기도 했지만 말이죠 ㅎㅎ



자! 본넷은 풀랩핑입니다!!!!!


대전에서부터 버스를 타고 비비데칼에 방문해주신 슈가블루님께서 옆에서 바람을 넣어(?) 결정되었다는 나름님의 블랙록슈터 본넷 풀랩핑입니다. 다른 스파크들은 다 본넷에도 작업이 되어있는지라 그 모습을 보시곤 작업 결심을 하셔서 결국 작접까지 진행하셨습니다.


그나저나 저도 본넷 작업을 다시 하던지 해야하는데.. 본넷만 하자니 시안이라고 뽑은게 좌우와 매치가 되지 않는 스타일이고, 이왕 갈거면 금전의 압박이 있더라도 좌우까지 새롭게 풀랩핑으로 가는걸 원하는지라 고민이 많습니다. 과연 어떤 선택이 옳을지.



풀랩핑 준비를 위해 열심히 차량 수치를 측정하고, 노트에 옮겨적는 히토미님.


풀랩핑 하신답니다. 옆에서 풀랩핑 뽐뿌를 넣어주십니다.



이건 정말.. 도색이라고 해도 믿겠습니다!!


검은 컬러와 이것이 과연 데칼인지 분간이 안갈 수준으로 정말 잘 나와줬습니다.



밖에서 봐도 위화감 제로!



여튼 그렇게 대전으로 이동하기 위해 도로에 올라탔습니다.


이상한 차가. 그것도 같은 차종의 이상한 스티커 붙은 차가 여러대 지나가니 여러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더랍니다.



지지난주 본넷 풀랩핑 작업을 진행하신 가레온님의 스파크.


비오는날 시공을 한지라 본넷이 들떠버려 A/S를 받으러 내려오셨답니다. 보수작업을 마치고 드라이브를 가던 중, 모종의 일이 생겨서 대전으로 내려가는건 포기. 일단 사태를 수습하고 근처 신정호로 갑니다.



신정호 민들레 카페에서..


참 아름답게 지어놓은 민들레 카페에다가 이상한 차를 나란히 세워둡니다.



2층으로 올라오니 신정호의 아름다운 모습이 보이는군요.



각자 팥빙수를 하나씩 시켜 먹고, 이래저래 이야기 꽃을 피웁니다.



안양에서 정체를 뚫고 내려오신 패월님.


무려 미쯔비시의 이클립스를 타고 다니십니다.  천장이 열리는 오픈카에요!! 일본 내수용인 우핸들 차량이 아니라 좌핸들 차량입니다. 여튼 오랜기간 주차장에 세워둔 차량이라 상태가 완벽하다 말 할 수준은 아니지만, 중국으로 가시기 전까지 그래도 많은 작업을 계획중에 있으십니다. 참고로 중국에서 고등학교를 다니셨고, 대학도 중국 대학으로 진학하신다네요.



소프트탑을 닫는 모습.


약 5년전에 푸조 206cc 뚜껑열고 탔다가 감기에 걸렸던 기억이 있는데.. 개인적으로 언젠간 꼭 오픈카를 소장해보고 싶습니다. 이타샤 보는 시선을 즐기는 정도인데, 오픈카의 시선을 버티는거야 뭐 그닥 어려운건 아니죠. 시선을 즐기려고 타는것도 있구요.



스파크만 나란히 주차를 해 둔 뒤에 사진을 찍어봅니다.


한대는 상봉을 못했고, 한대는 사정상 먼저 올라왔기에 세대만 남았네요.






그렇게 사진 촬영 이후 해산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모터쇼 사진 중, 신형 스파크(M400) 사진들만 추려서 모아보았습니다.


모터쇼 당시 최초 공개된 신형 스파크. 당시에는 Next Generation SPARK라는 이름으로 공개되었습니다. 물론 현재 정식 명칭은 The Next Spark로 명명 된 상태입니다. 여러 순정 튜닝파츠를 적용한 모습들과 종전 M300의 여러가지 한정판 에디션을 연상케 하는 커스텀 데칼이 적용된 차량들 위주로 출품이 되었습니다.


분명히 차값 200이상 오르겠다 싶었지만, 그래도 생각보다 인상폭이 높진 않았네요.



레드 포인트가 인상적인 신형 스파크입니다.



비상등 점멸상태. DRL은 아리따운 LED 라인이지만, 아직까지 방향지시등은 전구입니다.



센터페시아 트림. 에어덕트 밑 작은 수납함에도 포인트 컬러와 같은 레드색상의 논슬립재질로 마감처리가 적용된 상태입니다. 다만 이번에 정식 출시된 차량에선 빠져있더군요. 아무래도 순정용품으로 출시 될 모양입니다.



여러 사람들이 타고 조작을 한지라.. 지문이 여기저기 묻어있습니다.


마이링크가 적용되어 LCD 액정이 센터페시아 상단에 적용되었고, 르삼차 보는 느낌도 드네요.



라디오 주파수 조정중.



M400은 다시 도어캐치가 밑으로 내려온다는 말이 있었는데.. M300과 같은 자리에 붙어있습니다.



뒷문짝 도어트림.


그래도 디자인이나 전반적인 재질에서 느껴지는 싸구려틱함은 많이 상쇄되었지만 아직 그래도 저렴한 티는 납니다. 대시보드 그리고 운전석 조수석 도어트림에만 적용된 컬러몰딩을 후열까지 적용시켜줬으면 어땠을까 싶은 느낌도 드네요. 아마 개선모델 나오면 적용될지도 모르겠지만 말입니다.



직물시트. 예전만치 싸구려틱한 느낌은 아닙니다.


전반적인 실내 내장재 컬러가 회색톤에서 완연한 블랙톤으로 변경되었습니다.



B필러 트림은 M300과 크게 달라보이진 않습니다.



순정용품으로 출시 될 스포일러가 적용 된 사진.


M300 기준으로 동호회에선 순정용품 스포일러를 붙인 저 상태를 2단 스포일러라 부르며 대품 조건으로 종종 중고장터에 물건이 올라옵니다.



트렁크 번호판등 및 스위치.


전반적으로 M300과 달라진건 없어보입니다만, 후방카메라가 거의 정 중앙으로 왔고, 전자식 스위치로 변경되었습니다. 동급 모닝은 한참 전부터 적용된 물건인데.. 스파크는 이제야 적용됩니다.



트렁크 공간은 기존의 스파크와 별 차이가 없어보입니다.


다만 종전 M300의 경우 14년형 이후부터 전반적인 마감에 신경을 쓰는 모습이 보였는데, M400은 철판이 보이지 않는 수준으로 깔끔한 마감처리가 되었습니다.



스파크 엠블럼 폰트는 그대로..



이렇게 보니 모닝 느낌은 덜하고 펑퍼짐한게 칼로스 느낌도 좀 납니다.




나름 듀얼 그래픽 LED 테일램프라고 자랑스럽게 긴 이름으로 소개중인 데루등입니다.


반쪽짜리 클리어타입..



드디어 스마트키가 적용되었습니다. 그래도 열쇠구멍은 남아있네요



순정용품 파츠들로 구성된 블랙 & 레드 투톤휠


QM3 휠 느낌도 납니다.



마티즈 크리에이티브가 처음 출시되었을 당시에도 뭔가 맷돼지 스러운 인상이다 느껴졌는데..


신형 스파크 인상 역시 훨씬 더 무서워 진 느낌..?



LED 턴시그널 전동접이식 아웃사이드미러


드디어 전동접이 미러가 적용되었습니다. 기존 스파크는 암만 비싼돈 주고 풀옵으로 뽑아도 전동접이 기능이 적용되지 않아서 사제로 달곤 했는데.. 이젠 딱히 그럴 필요가 없어졌네요.



HUD 적용 사진



마치 아베오를 보는 느낌? 



스플래쉬 블루 컬러가 적용된 차량인데.. 개인적으로 이 컬러가 가장 마음에 들더랍니다.



시판용 차량에는 심플한 패턴의 시트가 적용됩니다만, 모터쇼 출품 차량은 이쁜 시트가 적용되었네요.



역시나 시트에까지 컬러를 넣어줬는데.. 내캐치 주변으로는 허전합니다.



운전석 탑승



보통 핸들스위치로 달려나오던 등화류 관련 버튼들이 대쉬보드 좌측으로 옮겨왔습니다.

유럽식이죠. 거기다가 계기판의 밝기 조절도 가능하네요.


시판용 차량에는 A가 그려진 버튼이 사라졌습니다. TCS OFF,시티모드,LDWS 세 버튼만 자리를 지키고 있네요.


2부에서 계속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