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영업용 화물차의 차령제한은 없습니다만,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소형트럭의 경우 대차주기가 대형차에 비한다면 빠른 편입니다. 그럼에도 20년 이상 운용하는 차량들이 드문드문 보이는데, 이번에 목격한 뉴포터 역시 2002년 11월에 등록되어 지금껏 22년 가까운 세월을 영업용으로 운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노후경유차를 적폐로 규정하여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몰아가는 작금의 시대에 살아남기 위해 저감조치도 진행했습니다. LPG 개조를 마친 상태로 경기도 차적으로 영업용 번호판을 달고 있었습니다.

 

2002 HYUNDAI NEW PORTER

 

서해안고속도로를 달리는데 뉴-포터가 보입니다.

 

단종 20년이 지나긴 했습니다만 대다수 차량들이 폐차 혹은 수출길에 올라 이젠 상당히 보기 어려워졌습니다. 현행 1톤트럭의 초기형 모델들 역시 차령만 따져도 만 20년이 넘었고 함께 환경적폐로 규정되어 조기폐차라 쓰고 적폐청산이라 읽는 행위로 갈려나가는 마당에 이전 세대 모델이 온전히 살아있을 확률은 드물기만 하지요.

 

상당히 잘 달립니다.

 

22년의 세월을 달렸습니다만, 요즘 차들 사이로 잘 밟고 나갑니다.

 

저감조치로 LPG 개조를 진행한지라 경유를 저장하는 연료탱크가 있던 자리에 LPG 봄베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디젤대비 상당한 출력저하가 LPG 개조 차량들의 단점으로 부각되고, 상대적으로 열을 더 받는 LPG 엔진의 특성상 엔진 내구성에도 문제가 생긴다고 하는데 그럼에도 잘 달리고 있습니다.

 

심지어 정체가 풀리는 구간임에도 빨리빨리 밟지 않아 정체를 유발하는 차량 사이를 추월해가며 잘 달리고 있었습니다.

 

부식

 

적재함 문짝은 중간에 한 번 교체했는지 상대적으로 멀쩡했습니다만

문짝과 휠하우스에선 부식의 흔적을 쉽게 볼 수 있었습니다.

 

물론 차령 10년 이상의 부식 없는 생계형 1톤 트럭이 얼마나 있겠냐만, 다음 세대 모델 차량들도 휠하우스 끝단에 관통부식이 생긴 경우가 많은데, 그에 비한다면 아주 심각한 관통부식은 없어보입니다. 그래도 올라오는 부식이 신경쓰이셨는지 파란색 락카 페인트를 뿌려놓은 흔적도 보이는군요.

 

그래도 별다른 사고는 없었는지 문짝의 데칼과 직사각형 형태의 연비 스티커도 그대로 살아있었습니다. 비록 찌그러지고 부식이 생기긴 했지만 사고로 인해 교체하거나 도색을 하진 않았다는 얘기라 봐도 무방할겁니다.

 

포터

 

흔히 개구리 포터라 부르던 3세대 델리카를 기반으로 한 뉴-포터입니다.

 

아직 간간히 보이긴 하지만 영업용 노란 번호판을 달고 고속도로를 활보하는 모습은 앞으로도 쉽게 보지 못하리라 생각됩니다. 지금도 건재하게 잘 달리고 있긴 합니다만, 앞으로도 부디 주인아저씨와 함께 전국을 누비며 오랜 세월을 달릴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원래 그냥 6개월 정도 굴리면서 기간만 채운 뒤 조기폐차나 시킬 생각이던 차라 그냥 타려 했습니다만, 미국산 대우 전기차보다 더 정이 붙고 최소 1~2년은 탈 예정인지라 평소 거슬리던 퓨즈박스 커버를 구입했습니다.

덩달아 지난번데 에어혼을 제거한 뒤 깨지거나 사라져서 그냥 비워뒀던 헤드라이닝 핀도 두개 사다 끼워줬네요.

품번


이거 가져다 끼울 사람이 있겠나 싶지만 품번입니다.

84755 4F010 커버 어셈블리 - 퓨즈 박스 ₩1,265
85326 4F00FI 플러그 ₩110

현대차답게 매우 착한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퓨즈박스 커버의 경우 년식마다 퓨즈박스 배치도가 조금씩 달라지는 경우가 있어 품번이 상이하긴 합니다만 04년 초기형부터 유로5 이전 11년형까지의 품번은 동일합니다.

퓨즈박스


다른 커버는 뒤져보면 다 나오는데.. 저것만 없네요.

보기 흉하게 저 모습으로 여지껏 다녔습니다. 1265원짜리 기름값보다 저렴한 커버를 끼워주도록 합시다.

퓨즈박스 배치도


퓨즈박스 배치도와 함께 퓨즈를 뽑을 수 있는 핀이 들어있네요.

현대차 다운 혜자스러운 구성입니다. 영어 한글 아랍어로 경고문이 적혀있네요. 신차도 아랍권으로 수출이 나가나 봅니다.

장착완료.


퓨즈박스 커버는 그냥 잘 끼워주면 됩니다.

2008년 10월부터 사용되어온 대시보드와 새로 끼워진 퓨즈박스 커버 사이의 약간의 틈이 보입니다만, 그냥 속이 훤히 보이는 모습보다야 훨씬 낫지요. 저렴한 가격에 좀 더 깔끔해졌습니다.

정식 명칭 플러그


정식 명칭이 플러그인 헤드라이닝 핀도 달아줍니다.

재질은 플라스틱이지만 십자 피스가 걸려있는 이중 구조입니다.

빈 공간


가운데 하나만 걸고 잘 버텼습니다.

하나는 사라졌고 하나는 깨졌음에도 잘 붙어있어 굳이 걸지 않아도 되겠습니다만 비어있는 모습이 싫어 새 핀을 꼽아줍니다.

완료


헤드라이닝이 매우 더럽지만 새 플러그가 잘 꼽혔네요.

역시 자리를 잡은 뒤 십자 피스를 꾹 눌러서 끼워주면 죕니다. 저 더러운 헤드라이닝을 볼 때 마다 떼어낸 뒤 세척하고 싶어지네요. 조만간 싹 다 떼어내고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