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주로 기억합니다. 당진의 한 원룸촌 골목에서 본 옛 서울 지역번호판을 부착한 엑센트네요. 매우 준수한 상태로 보존중이였습니다. 물론 서울번호판을 달고 있습니다만 서울이 아닌 당진에 세워져 있었습니다. 물론 주소를 서울에 두고 당진에 업무차 와서 주말에만 서울로 돌아가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상태가 매우 준수한 지역번호판을 부착한 차량이 당진에 그것도 원룸 주차장에 있는것이 신기하게 느껴졌습니다.


지역번호판이 사라진지도 얼추 20년 가까이 지났고, 대략 5년 전부터 전입시 기존 지역번호판을 전국번호판으로 바꿔야 하는 규정 역시 폐지되었기에 타지역으로 전입을 했더라도 소유자만 동일하다면 지역번호판의 유지가 가능합니다. 물론 차량 양도시 번호판의 지역과 동일한 지역에 거주한다면 규정상 지역번호판의 유지가 가능합니다만, 일부 지자체에서는 국토교통부의 규정을 무시하고 강제로 지역번호판으로 교체하도록 강제하고 있습니다. 


민원인의 의지와는 달리 공무원의 편의만을 위해 오래된 차량의 가치를 현저히 낮추는 행위인데 일부 철밥통 공무원들의 편의를 위해 지역번호판 부착 차량의 이전시 희생당하지 않도록 잘 알아보고 가셔야 합니다.


여튼 당진의 한 원룸에서 본 엑센트는 1,500cc 5도어 모델인 유로 엑센트였습니다. 


94년형인데 95년 1월에 등록한 전형적인 12월 출고 차량이더군요. 일반적인 4도어 세단 모델과 더불어 3도어 프로 엑센트. 5도어 유로 엑센트가 함께 판매되었습니다. 세단 모델을 제외한 3도어와 5도어 모델은 해치백을 표방하고 있지만, 세단보다 꽁무니가 짧고 트렁크와 뒷유리가 붙어 함께 열리는 테라스 해치백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정통 해치백의 이미지와는 거리가 멉니다만, 후속모델인 베르나의 해치백 모델도 그랬고 비슷한 시기에 출시된 세피아의 해치백 모델인 '세피아 레오'와 '누비라 D5'등 경쟁사 역시 판매량은 많지 않았지만 테라스 해치백 모델을 출시하였습니다.



'서울2 어' 지역번호판이 꽤 준수한 상태로 살아있었습니다.


94년에 출고하여 95년 1월에 등록한 차량의 외관도 이정도면 준수하다 여겨지더군요. 컴파운드로 밀면 지워질듯한 범퍼 스크레치는 뭐 무방한 수준이고 스틸휠을 덮고 있는 플라스틱 휠커버가 바래서 하얗게 변한 부분 역시 부품만 사다 교체하면 쉽게 해결 될 부분이니 상태는 매우 완벽한 수준에 가깝다고 느껴집니다.


94년 4월. 엑셀의 후속모델로 출시된 소형차 엑센트는 나름대로 대한민국 자동차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차량 중 하나입니다. 그동안 고유모델인 포니를 시작하여 자동차의 핵심 부품 중 일부를 국산화시킨 모델들은 있었지만, 핵심 요소인 플랫폼과 엔진과 변속기 모두 국내 기술로 개발된 최초의 모델은 바로 엑센트였습니다. 


그 외에도 파격적인 파스텔톤 컬러를 채택했던 부분과 부분변경 이후 한정판으로 내놓았던 팩토리 튜닝 모델인 TGR 역시 자동차 역사를 논하면 빠짐없이 회자되곤 합니다.



사이드스텝 끝쪽에 작은 부식이 보이네요.


뭐 작은 부식이야 쉽게 해결이 가능하고 애교로 넘어가도 될 수준입니다. 여러모로 문콕 하나 없이 깔끔한 상태에 놀랐습니다. 아무래도 옆에 벽이 붙어있어 운전석에서 내리기 힘든 상황임에도 벽에 바짝 붙여 주차한다는 얘기는 문콕을 차단하겠다는 이야기겠죠. 차주분의 엑센트 사랑이 눈에 보입니다.



여러모로 뒷범퍼의 작은 스크레치를 제외하면 매우 준수한 상태입니다.


플라스틱 번호판 가드 역시 바래거나 깨진 흔적 없이 매우 준수한 상태 그대로 부착되어 있습니다. 번호판과 볼트 봉인 그리고 플라스틱 가드 역시 25년 넘는 세월을 엑센트 트렁크에 붙어 함께하고 있습니다. 25년이라는 긴 세워을 버텨왔지만, 앞으로의 25년도 충분히 버티고 남을 상태로 보이네요.




운전은 양보와 질서 그리고 여유... - 현대자동차


그렇습니다. 출고 당시 붙어나온 스티커가 그대로 살아있었습니다. 노란 병아리가 백기를 들고 있는 그림과 함께 양보와 질서 그리고 여유로운 운전을 강조하고 있는 스티커입니다. 색이 바래고 떨어져 나간 부분도 있습니다만 25년간 직사광선과 비바람에 노출되었음에도 식별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이 놀랍게 느껴집니다.



그 시절 OK스티커.


물론 지금의 현대차는 일부 차종에 한해 앞유리 혹은 뒷유리에 스티커라고 보기 애매한 종이 형태로 부착되어 나옵니다만, 대부분 틴팅 작업과정에서 제거되어 그 모습을 보기 힘듭니다. 최근 출시된 제네시스 브랜드의 고급 SUV GV80 역시 출고장에서 확인하니 붙어있기는 하더군요.


세월이 흘러 어느정도 누렇게 변색되었지만, 그래도 온전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연비스티커. 13.8km/L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대략 두번정도 공인연비 측정방식이 보다 엄격하게 변화했음을 감안하고 현재의 기준으로 연비를 측정하면 대략 10~11km/L 수준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2019년형 엑센트 1.4 세단 CVT 모델의 복합연비가 13.4km/L임을 감안한다면 대략 25년간 연료효율은 답보상태에 있다고 느껴지겠습니다만, 측정 방식이 달라졌음을 감안하면 그동안 연료효율에도 꽤나 많은 진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도난 방지 기능을 탑재한 순정오디오가 적용되었음을 알리는 스티커도 붙어있습니다.


차량에 비정상적인 움직임이 감지되면 크락션과 함께 비상등을 점멸하거나 비정상적인 전원이 들어오는 경우 오디오 자체에서 락을 걸어 비밀번호를 해재해야만 오디오의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그런 기능입니다. 물론 오디오를 탈거하는 경우 무력화 되어 차도둑에게 오디오 전원부터 먼저 제거하라고 친절히 알려주는 역효과를 내기도 합니다만, 이러한 스티커는 대략 2000년대 초중반 생산된 차량에도 붙어있었습니다.


지금은 보기 힘들어진 스티커지요. 이 역시 추억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렇게 원룸 주차장에 잘 모셔진 엑센트를 뒤로하고 볼 일을 보러 떠났습니다.


짧은 만남을 뒤로하고 주차장의 엑센트와 작별했습니다. 서울이 아닌 타지에 어떠한 연유로 굴러왔는지는 모르겠지만, 25년의 긴 세월을 버틴 만큼 앞으로의 25년도 무탈히 버텨주었으면 좋겠습니다. 앞으로의 25년. 서울 지역번호판을 부착한 엑센트가 지금처럼 무병장수하기를 기원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당진의 한 주택가 공영주차장에서 본 구형 포터입니다.


1986년부터 1993년 부분변경 모델의 출시 직전까지 대략 7년간 판매되었던 흔히 말하는 '각'포터는 전두환 정권 시절 시행되었던 자동차공업합리화조치의 해제 이후 다시 트럭을 만들 수 있게 된 현대자동차가 미쓰비시의 2세대 델리카 트럭 모델을 그대로 라이선스 생산하였던 차량입니다. 


포터는 구형 모델인 2세대 델리카 트럭을 기반으로 라이선스 생산을 하였는데 이후 3세대 델리카를 기반으로 하는 승합차 그레이스와 비슷한 형태의 부분변경 이전까지 미쓰비시 델리카 트럭과 비슷한 모습으로 판매되었습니다.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의 주인공 역시 흔히 말하는 각포터. 후기형 차량입니다.



공사 자재가 가득 적재되어 있습니다.


비계(아시바) 발판 및 파이프들로 보이네요. 당시 미쓰비시 소형트럭이 하늘색과 흰색 조합의 도색을 사용하였기에 그 차량을 그대로 들여온 현대의 포터 역시 같은 디자인의 문짝 도색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세월이 세월인지라 여기저기 부식의 흔적이 보이곤 하는데, 심각한 수준은 아니라 여겨집니다.


1993년 3월에 최초로 등록되었으니, 최후기형 차량으로 대략 만 27년의 세월을 버텨왔습니다.



여기저기 찍히고 녹이 슬었습니다만, 그래도 원형 그대로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사이드미러만 부분변경 이후 모델용으로 교체되어 있었고, 그 외에는 각포터용 부품 그대로 보존되어 있었습니다. 번호판은 신형 지역번호판으로 천안에서 발급되었던 번호판이네요. 충남80 '마'인것으로 보아 아마 2000년대 들어 번호판을 교체하지 않았나 추정됩니다.



포터 레터링과 함께 슈퍼캡(SUPER CAP) 엠블렘까지 살아있습니다.


각그랜져 뉴쏘나타 각그레이스 스텔라 등 그시절 현대차의 레터링들은 모두 같은 폰트를 사용합니다. 포터 역시 마찬가지고요. 포터 레터링만 붙은 차량은 흔히 보았지만, 그 옆 슈퍼캡 엠블렘까지 붙은 차량은 그리 쉽게 보지 못했습니다. 우연찮게 제치 그대로 붙어있는 모습을 목격하네요.



각포터 특유의 일자 핸들. 80년대 일본차 특유의 각지고 투박한 진청색 인테리어.

핸들 뒤에 붙은 칼럼 시프트형 기어가 아닌 지금도 흔히 볼 수 있는 기어봉 형태의 수동기어입니다.


초기 및 중기형 모델까지만 하더라도 핸들 뒤 기어봉이 붙어있는 칼럼 시프트형 기어가 적용되었습니다만, 이후 개선을 거쳐 현재까지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식의 기어로 변경되었지요. 이 차량 역시 후기형인지라 핸들 대신 운전석 옆으로 기어봉이 솟아있습니다.



다른 휠에는 커버가 붙어있지 않았습니다만, 운전석 앞바퀴에만 뉴쏘나타용 휠커버가 붙어있네요.


뉴쏘나타(Y2)와 일부 뉴그레이스에 적용되었던 휠커버입니다. 당연히 포터에는 붙어 나오지 않았으니 어디서 구해다가 직접 부착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왜 다른 휠에는 남아있지 않고 하나만 남아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포 터    HYUNDAI

차량총중량 2630kg


적재함 문짝도 제치입니다. 스티커도 그대로 붙어있습니다. 90년부터 93년까지 이와 같은 배열의 스티커를 사용하였고, 부분변경 이후 모델도 적재함 문짝의 형태는 좀 더 완만하게 바뀌었지만, 같은 배열로 스티커를 부착하였습니다. 


만 30년을 바라보는 노장입니다만, 아직도 현장용 차량으로 큰 문제 없이 이용중인 모습입니다. 90년대 초반에 태어나서 2020년대 초반을 보내고 있는 우리의 각포터가 부디 오랜 세월 현장을 누빌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