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울 시내에 무슨 똥이 있냐고 얘기하는데 우면산로 한복판에서 똥(분뇨)을 밟았습니다.

근데 그 똥이 흙받이에 튀어서 냄새가 엄청나더군요.

거기에 하차는 2시간 30분 소요. 하루 말아먹은 김에 오랜만에 화물차를 세차장에 넣었습니다. 

 

트럭이나 버스 같은 대형차들은 여건상 세차가 어렵습니다. 그나마 윙바디 같은 탑차류나 버스는 자동세차기라도 받아주니 사정이 나은 편이지만, 그 외 카고나 트레일러 같은 차종들은 주유소에서 대충 물을 뿌리고 솔질을 하는 수준으로 만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승용차 같은 디테일링은 꿈도 꾸기 어렵고요. 내내 같아 보이는 알루미늄 휠이라도 휠마다 관리방법이 다르기도 하고 승용차에 사용하는 철분제거제나 기타 케미컬로 씨알도 먹히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내려가는 길에 근처 대형세차장에 전화를 하니 대기하는 차량이 한 대밖에 없다고 하더군요. 정말 누구보다도 기다리는 걸 싫어하는 사람이라 대기차량이 많으면 그냥 내려가려고 했는데 대기하는 차량이 없기에 세차를 넣으러 왔습니다.

 

 

화성 양감 구석에 경기대형트럭매매상사라는 트럭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중고차 매매단지가 있습니다.

그 부지 안에 있는 세차장이라네요.

 

검색하니 죄다 사진만 다를 뿐 내용은 비슷한 바이럴 블로그만 떠있습니다. 작년에는 화성 우정에 있는 세차장에 다녀왔었죠. 요즘 그 글로 유입이 좀 있습니다만, 이렇게 다니다 보면 대형차를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세차장들이 좀 있습니다.

 

 

프리마 카고트럭 세차. [화성로이 대형세차장]

사실상 어디서나 세차가 가능한 승용차도 마음먹고 세차하면 꽤 많은 시간을 소비합니다만, 화물차의 경우 세차 공간의 제약은 물론이고 여러모로 한계에 부딪히는 일들이 많습니다. 일반적인

www.tisdory.com

 

 

경기대형트럭세차장

 

매매단지 안에 방수천막이 씌워진 공간이 세차장입니다.

 

매매단지 안에 있다 보니 상품화를 하는 차량을 맡기는 딜러들이 주요 고객이고 저 같은 뜨내기손님들은 문의하고 찾아오는 경우가 많은 듯합니다. 11톤 냉동탑차가 먼저 들어가 있는데 번호판이 없는 걸로 보아 딜러가 매입하여 상품화를 진행 중인 차량이었습니다.

 

경기대형트럭매매단지

 

꽤 넓은 부지에 대형트럭들이 촘촘히 주차되어 있었습니다.

'경기대형트럭매매단지(주)'라는 간판이 걸려있네요.

 

평범한 공장이었다가 약 10여 년 전부터 대형차 전문 매매단지로 이용 중이라고 합니다. 통로를 제외하고 다양한 상품용 트럭들이 빼곡히 주차되어 있었네요. 매매단지 말고도 세차장이나 용품점 정비소 같은 시설들이 입주해 있었습니다.

 

용품점 정비소

 

세차장 옆으로 무시동히터 장착점도 보이고 오토바이 수리점도 보입니다.

그리고 저 안쪽으로 카센터도 보이네요.

 

주차된 상품용 차량들과 지나다니는 차량들이 뒤섞여 복잡합니다. 기다리며 주변 구경을 하는 동안 냉탑의 세차가 끝나서 제 차를 집어넣었네요.

 

세차중

 

세차를 진행합니다. 하체가 더러운 편이라 약품세차를 하자고 하네요.

 

고압수를 뿌리고 약품을 뿌리고 다시 고압수를 뿌리는 방식입니다. 작년에 다녀왔던 세차장과 세차 방식은 크게 다르지 않으나 이곳은 따로 카샴푸로 비누칠을 하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약품에 거품기가 좀 있네요. 세차장에 오는 이유도 대부분 밖에서 닦기 어려운 휠이나 하체에 물을 뿌리러 오는 경우가 많기에 그런진 몰라도 말이죠.

 

세차중

 

어딜 가나 대형차 세차는 최소 2인 이상이 진행합니다.

 

파란 옷을 입은 외국인 직원이 약품을 뿌리고 양쪽에서 사장님과 한국인 직원이 고압수를 뿌리는 방식이네요. 그냥 대충 뿌리는 것처럼 보여도 약품과 고압수가 지나간 자리는 거짓말처럼 깔끔해집니다.

 

약이 독하긴 독한가보다

 

약품이 확실히 독한가 봅니다.

 

공구통 철판 문짝의 녹까지 같이 지워지네요. PB 계열의 독한 약품으로 보입니다. 

 

세차진행중

 

때가 벗겨지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관전합니다.

 

어느 정도 진행되니 차를 좀 뒤로 빼라고 하네요.

 

차를 뒤로 뺌

 

차를 좀 뒤로 빼고 계속 세차가 진행됩니다.

 

휠하우스 안쪽에서 흙탕물이 계속 나옵니다. 지난번에 현장에 들어갔다 웅덩이에 빠졌었는데 그때 묻은 흙들입니다. 아무리 사무실에서 호스로 뿌려도 닦이지 않던 건데 고압 앞에선 싹 사라지더군요.

 

약이 독하다

 

약이 독해서 페인트까지 날아가네요.

 

연료통을 잡아주는 밴딩의 검은 페인트와 요소수통을 고정하는 각관의 페인트도 날아갔습니다. 난간대 스티커도 고압에 거의 다 날아갔네요. 조만간 봐서 파손된 건 새 걸로 교체하고 랩핑이나 싹 해주려 합니다.

 

에어혼

 

진짜 별 지랄을 떨어도 지워지지 않는 에어혼 커버에도 약품과 고압수를 뿌려줍니다.

 

신차 출고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바로 겨울을 맞이했기에 눈과 염화칼슘을 맞아 금방 더러워졌고 잘 닦이지도 않아 거의 방치했던 부분입니다. 약품 빨로 조금 깔끔해지긴 했으나 너무 오랜 세월 놔둬서 어쩔 수 없네요.

 

11만원

 

부가세까지 110,000원.

약품세차까지 들어가서 비싼 편입니다만, 그만큼 약은 독하네요.

 

물기가 마르고 보니 범퍼 하단은 외국인 직원이 약품을 뿌리지 않아 흙먼지가 그대로 남아있었습니다. 다음에 가게 된다면 이런 부분까지 꼼꼼히 체크해야겠네요. 다시 휠에서 광이 나기 시작하고 차는 깔끔해져서 좋긴 합니다만, 가격대비 디테일이 좀 아쉬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사실상 어디서나 세차가 가능한 승용차도 마음먹고 세차하면 꽤 많은 시간을 소비합니다만, 화물차의 경우 세차 공간의 제약은 물론이고 여러모로 한계에 부딪히는 일들이 많습니다. 일반적인 승용차에 사용하는 휠클리너와 같은 케미컬은 소용없는 경우도 많고요. 똑같은 알루미늄휠처럼 보이지만 휠의 종류마다 관리 방법이 다르기도 합니다.

 

차라리 버스나 윙바디 같은 차량들이라면 자동세차라도 꾸준히 들어가겠는데, 일반 카고 형태의 트럭이나 트레일러의 경우 대형 자동세차기도 받아주지 않습니다. 그런고로 사무실에서 대충 물을 뿌리거나 셀프세차장에 가곤 하는데 항상 한계에 직면하고 맙니다.

 

그럼 조금 비싸도 알아서 깔끔하게 닦아주는 손세차장을 가면 되지 않겠냐 말합니다만... 전국적으로 놓고 보면 대형차 손님을 전문적으로 받는 세차장은 그렇게 많지도 않고, 있다고 해도 상당한 대기시간을 자랑합니다. 물론 몇 시간씩 기다려서 세차를 하는 분들도 계시지만 성격도 급하고 기다리며 시간낭비 하는 것을 상당히 싫어하는 사람이기에 그간 화물차 전문 세차장의 긴 줄을 보고 그냥 포기하고 넘어가는 일이 많았습니다.

 

근데 오늘 인천 오류동에 갔다가 정체를 피해 국도로 돌아서 내려오던 길에 웬일로 대형차 세차장에 대기하는 차가 없어 세차를 하고 왔습니다. 화성 우정읍의 기아 사원아파트 지나서 서평택 IC 방향으로 내려가다 보면 있는 대형차 세차장입니다.

 

 

 

윙바디 하나 들어갔고 대기인원은 0명이다

곧 장마철이 시작된다고 하니 다들 세차를 하지 않는 것인지 대기인원이 없습니다.

평소 같으면 진입로 이전부터 화물차들이 줄줄이 서서 기다리고 있는데, 이런 일은 상당히 드뭅니다.

 

이쪽 길로는 고속도로가 막혀야 가끔 지나다니지만, 항상 지나다니는 길목의 송악 IC 나와서 안쪽에 있는 대형차 전문 세차장도 마찬가지로 긴 대기행렬을 자랑합니다. 쭉 가서 포승에도 대형차 세차장이 있는데 그곳 역시 마찬가지고요. 물론 엔진오일을 교체하면 무료로 세차를 해주는 정비소들도 있지만, 보증기간엔 정식센터를 다니는 것이 낫고 물론 그런 정비소들도 날 좋을 때 가면 기다리기는 마찬가지입니다.

 

계산

먼저 계산부터 합니다.

65,000원에 부가세 포함 71,500원.

 

실내클리닝 없이 외부세차만 해주는 가격인데, 차종마다 다를 겁니다. 상대적으로 작거나 버스처럼 상대적으로 손을 덜 타고 자동세차를 돌릴 수 있는 차들은 좀 더 저렴할 테고, 덤프처럼 오물이 상당히 많이 떨어지는 차들은 좀 더 비쌀 겁니다.

 

왜들 이런 비싼 돈을 주고 세차장을 찾는지는 결과물을 보시면 알 겁니다. 하체나 휠의 세정을 위해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

 

앞차 세차 마무리

앞차의 세차가 거의 끝나가고 있습니다.

 

윙바디는 마지막에 그냥 자동세차 쭉 한번 돌려주나 보네요. 윙바디가 나가고 드디어 제 차례가 왔습니다.

 

더럽다

사실 전날 대충 물을 뿌리긴 했는데, 휠하우스나 계단 쪽 자리는 더럽습니다.

 

차에서 내리고 고객대기실에서 믹스커피를 한잔 타서 마시며 기다려 봅시다.

 

도무지 답이 안나오는 연료탱크

도무지 답이 안 나오는 연료탱크와 요소수탱크입니다.

 

과연 얼마나 깔끔해질지 기대하며 기다려 봅시다.

 

세차대기

세차를 대기하는 상황입니다.

 

저 뒤로 파비스 윙바디 한대가 더 기다리고 있긴 하네요. 곧 직원분들이 오시고 세차가 시작됩니다.

 

양쪽에서 진행한다.

양쪽에서 고압수와 약품을 동시에 뿌리며 세차가 진행됩니다.

 

확실히 두 명이 붙으니 세차 진행과정이 빠르네요. 조금 빨리 끝난 쪽에서 앞으로 이동해서 캐빈 쪽으로 폼건을 뿌려줍니다. 약 20분 만에 마무리 작업까지 들어가네요.

 

세차중

세차장을 한 바퀴 돌아봅니다. 폼이 흘러내리고 있네요.

 

미트질 대신 밀대로 쓱쓱 밀어주지만 제가 사무실에서 하는 것보다 훨씬 꼼꼼하게 닦여있었습니다.

 

세차장

도로변에서 보면 이 간판이 보이는데, 대기 줄을 서려면 진작 사거리 전에 진입하여 기다려야 합니다.

 

그래서 간판을 보고 들어갈까 고민하다 기회를 놓쳤던 적이 몇 번 있었습니다. 바로 옆에 오일집도 있었는데, 손님이 없으면 구리스라도 치고 가려다가 손님이 있어 그냥 나오기로 합니다.

 

세차완료

세차가 끝났습니다. 대형차량 특성상 다 닦을 수 없는지라 물기는 자연건조 시키기로 합니다.

 

애초에 물 자체가 수돗물이라 잔사가 남지 않는지라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벌레도 다 사라짐

유리창에 묻어있던 벌레도 다 사라졌습니다.

 

열심히 사무실에서 물 뿌리고 버그클리너 뿌려가며 빡빡 문지르는 것도 한계가 있는데 확실히 세차장 약품이 좋아 흔적도 없이 사라졌네요. 그렇게 다시 사무실로 복귀했고, 세차가 된 모습을 확인합니다.

 

신차느낌

마치 출고장에서 갓 가져온 신차느낌이 납니다.

 

차를 10월 말에 출고하여 11월부터 일을 했던지라 바로 눈과 염화칼슘을 맞으며 더러워져서 이 느낌을 그리 오래 살리진 못했는데, 당분간은 비를 맞고 다니며 물만 잘 뿌려줘도 이런 깔끔한 상태를 유지할 겁니다. 좀 더러워진다 싶으면 또 가서 해야죠. 7만 원을 써도 아깝지 않았습니다.

 

주유구에서 광이 난다.

연료탱크에서 광이 납니다.

 

고체 광택제를 사용하여 문질러 주면 약간 희뿌연 부분까지 사라지겠지만, 이 정도만 해도 상당히 깔끔해졌습니다. 정말 돈이 아깝지 않네요.

 

언제까지 지속될지는 모르겠으나....

화물차는 휠이 생명이라 생각합니다.

 

1년밖에 되지 않은 차도 휠이 더러우면 한 5년은 탄 차량처럼 보이고, 10년이 넘은 차량도 전반적으로 깔끔하게 다니면 몇 년 안탄차처럼 느껴집니다. 닦더라도 유리창만 닦고 다니거나 분진이 덕지덕지 붙어있어서 씻겨나가지 않는 상태로 타고 다니는 분들도 계시지만, 저는 최대한 깔끔하게 다닐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