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월 언젠가 명확히 기억은 나지 않습니다만 루프박스와 윈드가드를 이타샤의 성지라 불리는 비비데칼에 내려놓고 왔었습니다. 그렇게 별 생각 없이 지내던 나날에 드디어 작업을 진행한다고 연락이 왔네요. 스케쥴이 이리 밀리고, 저리 밀렸던 탓에 꽤 오랜시간을 기다렸던 것 같습니다만 측면 재시공과 함께 일정이 잡혔습니다.


일단 내려놓고 갔던 루프박스와 윈드가드 먼저 작업을 마치고, 달러 갔을 때 측면 작업을 진행하자는 식으로 이야기가 되었습니다만, 일도 없고 스케쥴도 비는 관계로 측면 보수작업을 위한 출력물이 구비되지 않았을 때 잠시 다녀왔네요.



작업이 완료되었을 때 받았던 사진입니다.


검정색에 볼품없던 툴레 윈드가드가 화려하고 새롭게 변했습니다. 처음 구상했던건 캐릭터를 가운데에 올려놓고 부각시키는 효과를 주려 했었는데, 구상만 했던거지 실질적인 시안은 사장님 손에서 만들어졌고 어떻게 브라켓 구멍을 교묘하게 피해가면서 저런 작품이 완성되었습니다.


시라이 쿠로코의 '적당한 표정'과 'This car is superior to your car.'라는 적당한 문구.

의역 조금 보태면 '이 차가 네 차보다 나아'라는 이야기가 되겠죠. 어짜피 앞차가 볼 문구인지라 좌우반전을 하는게 옳을까 싶었습니다만, 그냥 저대로 놔뒀습니다.



루프박스 역시 완성되었습니다.


커다란 이미지 하나를 덮어씌우기보다 반복패턴을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아래까지는 다 덮을 경우 작업 선례에 비추어 보아 금방 떠버리는 탓에 일단 위에서 컷팅을 했습니다. 그럼에도 크게 뭐 차이가 나는것도 아니고, 차체는 검정색 루프렉은 주황색인 상황에서 나름 '아래는 검정-위에는 주황'이라는 공식이 성립되게 되더군요.



본격적으로 장착작업을 진행합니다.


처음 가로바와 루프박스를 올렸을 당시엔 업체에 힘을 빌렸습니다만, 이번엔 제가 직접 올려보기로 합니다. 종전엔 윈드가드 장착 없이 루프박스만 올렸었기에 루프박스 장착을 위해선 가로바의 조절이 필요했습니다. 짧은 육각렌치로 노가다를 했던지라 약 2시간에 걸쳐 윈드가드와 루프박스를 올렸습니다.



새로 구매한 에어로바용 윈드가드 고정 아답타를 조립해서 장착합니다.



가로바는 유일. 윈드가드는 툴레제품입니다만, 유일 아답터를 구매했습니다.


툴레니 유일이니 쿄토니 구형 윈드가드는 그놈이 그놈입니다. 툴레용 아답타의 T자볼트가 유일 가로바에 들어가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들었던 관계로 유일 제품을 구매했네요. 여튼 볼트와 와셔를 끼우고 가로바 전체를 감싸는 방식으로 고정하는듯 보입니다.



대략적인 모습은 이렇습니다.


이렇게 자리를 잘 잡아주고, 루프박스까지 혼자 올렸습니다. 뒷 가로바 역시 위치를 조절해주고 루프박스를 들고 올라가서 고정작업까지 직접 해줍니다. 보통 둘이 작업을 해도 한시간 정도 걸립니다만, 오르지 혼자 해서 두시간정도 걸렸네요.



전반적인 모습은 이렇습니다.


여러모로 차에 정이 많이 떨어졌었습니다만, 화려해진 새 모습을 보고 있노라니 다시 없던 정이 생기네요. 며칠 전 트렁크 누수를 처리하면서 이왕 바닥 방음도 하겠다고 방음자재도 잔뜩 사놨고. 이거 뭐 다시 정붙여서 가루가 될 때 까지 열심히 타야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이제 2년차 예비군훈련도 모두 끝났습니다.


전반기 작계 6시간, 그리고 한참 더웠던 7월에 동미참훈련도 다녀왔구요. 마지막인 후반기 작계훈련 역시 이수했습니다. 오후 5시부터 6시간. 오히려 해 떠있을 때 하는 훈련이 훨씬 낫습니다. 밤에 암것도 안보이는데 돌아다니는 그 자체만으로도 꽤나 힘드네요.



전날 밤을 새서 일을 하고 들어왔고. 대낮까지 자다보니 벌써 세시 네시.


요래저래 씻고 훈련장(집결지)으로 나가봅니다. 충남도청 문예회관이라고 도의회처럼 충남도청 부속 건물중 하나입니다. 사실상 공연장인지라 그냥 시청각자료 교육으로 대체하리라 오늘은 좀 편하겠거니 판단하고 갔던게 큰 오산이죠. 공연장엔 들어도 가보지 못했습니다.



도청 주차장에 차를 주차합니다. 마치 아파트 지하주차장 느낌이 드는 충남도청 주차장입니다.


충남도청 자체가 홍성군과 예산군의 경계지역에 걸쳐있다보니 홍북읍 예비군임에도 삽교읍 목리에 소재한 집결지로 가는 행태가 되어버렸습니다. 올해부터 '향방'이라는 글자가 빠진지라 크게 의미는 없습니다만 말이죠.





충남도청 문예회관으로 오라고는 했는데 문예회관 어디로 모이라는 얘기는 없었습니다. 


거기에 7시에 공연도 있네요. 혹시나 싶어 예비군읍대에 전화를 해보니 105호 세미나실 앞으로 오라고 하더랍니다. 지하1층 출입구에서 헤매던 다른 분들과 함께 1층으로 올라갔습니다. 여튼 다음부터는 도청 문예회관 1층 105호 앞이라고 확실히 통보해주었음 좋겠단 생각이 들었네요.



105호 앞에서 신분증과 휴대전화를 내고 훈련에 필요한 장구류를 받습니다.


이 이후론 사진이 없네요. 시간이 시간인지라 밥부터 먹고 시작했습니다. 도시락이 아닌 전투식량을 제공해줬는데, 말이 짜장밥이지 짜장떡밥이더군요. 여튼 유사시 주된 임무와 관련된 설명을 듣고, 용봉산 근처까지 내려가서 검문소 설치 및 운영 그리고 포획과 관련된 교육을 받았습니다.


요즘 낮에도 그리 덥지 않으니 낮에 훈련을 받았더라면 좋았겠습니다만, 타지역도 그렇고 대다수의 후반기 작계훈련이 밤시간대에 편성되어 있다고 하네요. 적이 낮보다는 밤에 침투하는건 기정사실이다보니 밤에 훈련을 하는 방향으로 가게 되었다곤 합니다만 여러모로 낮보다 더 피곤하네요.



여튼 무사히 훈련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2년차 교육도 이제 끝났습니다. 벌써 내년이면 3년차 예비군이네요. 세월 참 빠릅니다. 폐급 공익의 예비군 훈련 이야기는 앞으로도 계속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