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티스도리닷컴 새 콘텐츠 초딩일기는... 


초등학교 재학 당시 작성했었던 일기장을 펼쳐 당시 있었던 일을 회상하고 여러분께 공유하자는 취지에서 공개하는 콘텐츠입니다. 좋은일도, 그렇지 않았던 일도 있었겠지만 한 시대를 살아가던 평범한 어린이의 일기장을 본다는 마음으로 재미나게 봐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일기장은 무작위로 공개됩니다.


오늘의 초딩일기는 선거철을 맞이하여 선거와 관련된 에피소드를 가지고 왔습니다.


막상 총선이 있었던 2000년과 2004년에는 일기를 썼던 기억이 없어 총선 에피소드를 가지고 오지 못한게 아쉽지만 그럭저럭 선거와 관련된 에피소드가 있어 오늘은 2002년 6월 6일에 있었던 일기를 가지고 왔습니다.


월드컵 열기가 한참 무르익던 2002년 6월 13일. 제 3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있었습니다. 6월 6일 현충일은 공휴일인지라 학교도 쉬었고, 학교에서 군수후보 합동 연설회를 한다고 하더군요. 군수 후보가 누군지는 당시 초등학교 3학년이던 저는 큰 관심도 없었고 그저 지루했습니다만, 엄마 아빠를 따라 모교인 합덕초등학교 운동장으로 가 군수후보 합동 연설회를 보았습니다. 이후로 이런식의 합동 연설회는 더이상 개최되지 않더군요.


후보 합동 연설회가 끝난 뒤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탄핵당했던 전직 대통령이자 당시 한국미래연합의 박근혜 상임위원장이 소속 정당 후보의 선거 유세차 지역에 와서 악수도 했었습니다. 이 내용은 일기에 마저 담지 못했는데, 이 이야기도 일기와 함께 마저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목 : 군수후보 합동 연설회


오늘 우리학교에서 '군수후보 합동 연설회'가 있었다. 엄마께서는 오늘도 후보운동(선거운동)을 나가셔서 우리가 먼저 왔다. 그런데 첫번째 연설에서와, 두번째 연설은 '노무현' 대통령 후보를 비방하였다.

'내가 이런 곳에 나오면 비방을 하지 않을 텐데' 하고 들었다. 나는 목소리가 적당하고, 당진군을 더욱 좋게 만들고, 우리고장을 좀 더 발전시키고, 다른 고장보다 좋은 당진고장을 만들 수 있는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다.

나도 공부를 잘하고, 부모님 말씀을 잘 들어서 무럭무럭 씩씩하고 건강하게 자라 오늘 후보들 처럼 군수후보도 되고, 국회의원 후보도 되고, 대통령 후보도 되어 보아야 겠다.

"선생님 만약에 후보 나오면 한표 부탁해요"


당시 당진군수 후보로 여섯명이 출마하였고, 그 중 군수에 당선되셨던 김낙성 전 군수님께서는 이후 재선 국회의원을 역임한 뒤 3선 도전에 실패하여 정계에 은퇴하였습니다. 여튼 그것은 중요하지 않고, 당시 엄마는 미래연합 후보의 선거사무소에서 전화로 선거를 독려하는 운동원으로 활동하셨습니다. 당시 미래연합 후보가 어떻게 건너건너 아는 지인으로 기억됩니다. 여튼 엄마는 오전 근무를 마친 뒤 합류하였습니다.


당시 기사를 보니 무작위로 추첨하여 연설 순서를 정한듯 보였습니다. 처음으로 연석에 올라섰던 민주당을 탈당한 무소속 구자생 후보와 두번째로 연석에 올라섰던 한국미래연합의 민영근 후보의 연설에서는 당시 새천년민주당의 대통령 후보였던 노무현 전 대통령의 비방이 포함되었고, 김낙성 후보의 비방도 포함되었던것으로 기억합니다. 여튼 두 후보가 특정 인물을 비방하다보니 사회자가 경고를 하고 더이상 특정 인물을 비방하는 내용의 연설은 더이상 없었습니다.


당시 초등학생이던 제 모습에는 특정 인물을 비방하는 모습이 그리 좋게 보이지 않았음이 일기 내용에 여실히 드러나 있습니다. 물론 지금도 자신의 공약과 비전을 유권자들에게 알리는 자리에서 다른 경쟁 후보나 대통령선거 후보와 같이 타인을 비방하는 일은 당연하게도 좋지 않게 생각합니다. 물론 20여년이 지난 지금은 시민의식도 성숙해져서 이전만큼 원색적인 비난을 퍼붓는 일은 많이 줄었습니다.


여튼 연설을 듣던 중 지루해서 학교 뒷편의 놀이기구를 타고 놀다가 주변 어른들이 박정희 딸이 터미널에 온다는 얘기들을 하며 썰물처럼 빠져나가고 있었습니다. 마지막 연사의 연설이 끝날 즈음 부모님과 동생 그렇게 넷이 살살 걸어 합덕터미널쪽으로 갔고, 합덕터미널에서 유세를 위해 방문했던 당시 한국미래연합의 박근혜 상임위원장을 보았습니다.


당시 초등학생이던 저는 당시에도 유력한 대통령 후보였고 10년 뒤 대통령에 당선되는 박근혜가 누군지도 몰랐고 당연히 관심도 없었습니다. 박정희 대통령의 딸이라고 설명하는데 박정희가 누군지조차도 잘 몰랐지만, 키작은 아줌마 근처로 많은 사람들이 인사를 나누고 있었습니다. 옛 합덕터미널 내부 공중전화 앞에서 이후 대통령이 된 박근혜 상임위원장을 보았습니다. 부모님은 인사를 건네고 정중하게 악수를 나눈 뒤 저와 동생에게도 인사를 하라고 하더군요. 주춤거리던 저는 쭈뼛쭈뼛하게 인사를 했고 동생은 멍하게 있자 '아이들이 절 알겠어요 ㅎㅎ'라는 얘기를 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분은 부모님과 덕담 몇마디를 더 나눈 뒤 다른 시민들을 만나러 갔습니다. 이후 2012년 대선 당시에는 두분 모두 그분을 뽑지 않으셨긴 하지만, 그 당시만 하더라도 이미지가 좋았던 정치인 중 하나였습니다.


여튼 지방선거 얘기로 시작해서 박근혜로 회상은 끝이 납니다. 막상 선거철이 다가왔지만, 아직 누구를 찍을지 결정하지 못했습니다. 비례야 대략 어느 당을 찍을지 결정을 했습니다만, 지역구 후보가 막상 마음에 드는 사람이 없어 선거일 전까지 고민에 고민을 거듭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민주주의의 꽃 선거. 물론 코로나 사태로 적극적인 선거운동은 없지만 정당과 정파의 구분 없이 진정 지역발전과 국가발전을 위해 헌신하실 의원님들만 선출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참고자료

http://www.dj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531

군수후보 합동 연설회,당진시대 2002.06.09


http://www.dj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527

박근혜 상임위원장 당진방문,당진시대 2002.06.09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남양주 사릉의 도로변에서 목격한 차량입니다.


병문안을 위해 방문했던 동네인데, 도로변에 세워진 타우너가 가장 먼저 눈에 띄었습니다. 결국 지나던 길 차를 세우고 다마스와 라보보다 훨신 더 보기 힘든 타우너를 잠시 탐구하고 지나가기로 합니다.


1991년 대우국민차가 스즈키(SUZUKI)의 2세대 에브리와 8세대 캐리를 다마스와 라보라는 이름으로 라이센스 생산을 개시합니다. 당시 국내에 존재하지 않던 개념의 경상용차를 도입하여 나름 괜찮은 판매고를 올리는 모습을 지켜보던 기아자동차의 상용차 생산 전문 자회사 아시아자동차 역시 경상용차를 출시하기로 결정합니다.


1992년 5월 일본 다이하츠(DAIHATSU)의 7세대 하이제트(HIJET) 밴과 트럭을 현지화하여 광주공장에서 생산하게 된 차량이 바로 타우너입니다. 그렇게 생산을 시작하여 자잘한 부분변경만 거친 뒤 아시아자동차가 기아자동차에 흡수합병되어 현대자동차그룹에 인수된 이후 2002년 10월 환경규제 강화로 단종되게 됩니다. 단종 이후로는 지금껏 다마스와 라보가 경쟁차종 없이 경상용차 시장을 독점하고 있고, 경상용차의 특성상 내구성이 좋지 못해 폐차가 되거나 수출길에 올라 사실상 구형 다마스와 라보보다 훨씬 더 보기 힘든 차량이 되었지요.



지난 2017년에 초기형 가솔린 모델을 폐차장에서 목격하기도 했습니다만, 그 이후 오랜만에 보네요.


오늘의 주인공은 아시아자동차가 기아자동차에 완전히 병합된 1999년 7월에 등록된 차량입니다. 



도로 한복판. 폐차장 광고용 차량으로 사용중인 다마스입니다.


대부분 이런 차량들은 압류가 많아 말소를 하지 못하거나 여러 사유로 인해 말소가 불가한 차량들입니다. 차령초과말소를 진행하거나 압류나 저당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 광고판으로 사용을 하는 것이죠.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어 말소가 가능한 경우 소리소문없이 사라지게 되는데, 이 타우너 역시 그러한 서류상의 문제로 도로 위에서 쓸쓸한 말년을 보내고 있을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녹색 전국번호판을 부착하고 있습니다. 

97년부터 타우너의 그릴이 변경되었는데, 그 이후 출시된 차량입니다.


번호판이 차량 우측에 붙어 일본차의 흔적은 남아있습니다. 년식변경과 함께 자잘한 부분들이 변경되었습니다만, 이러한 체크무니의 그릴은 아시아자동차가 기아자동차와 동일한 로고를 사용하게 된 97년부터 적용되어 2002년 단종 직전까지 적용되었습니다. 물론 기아자동차의 로고를 사용하게 된 이후에도 아시아자동차라는 상호의 법인은 존속되었으나 1999년 6월 30일자로 기아자동차에 합병되었기에 99년 7월에 등록된 이 차량은 생산일자를 알 수 없기에 기아자동차 타우너로 표기하였습니다.



타우너의 실내가 훤히 보입니다.


운전석과 조수석 그리고 2열 3열 시트의 패턴이 모두 다릅니다. 운전석은 등받이에만 시트커버가 씌워진 직물시트. 조수석과 2열은 비닐 재질의 시트. 3열은 직물시트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어떤 이유에서 각기 다른 패턴의 시트가 장착되었는지는 저도 잘 모르겠네요.



핸들과 오디오 위치를 제외하고는 7세대 하이제트와 큰 차이점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타우너의 경우 오디오가 대시보드 상단에 위치하는데 이 차량은 탈거가 된 상태네요. 하이제트의 경우 오디오가 공조기 아래에 자리잡고 있습니다만, 타우너는 그 자리에 파워윈도우 스위치와 여러 스위치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타우너와 하이제트의 미묘한 차이점이 이렇게 하나 둘 보이긴 하는군요.



2열 좌석은 접혀있고, 3열 좌석은 펼쳐져 있습니다.


이 비좁은 차량은 그래도 형식상 7인승입니다. 물론 안전은 장담 못합니다.



리어와이퍼는 빠져 도망간 상태. 폐차 광고 스티커가 크게 붙어있습니다.


나름 고급사양인 SDX입니다. 그런고로 경상용차에는 어울리지 않게 여겨질지도 모르는 리어스포일러와 보조제동등이 적용되어 훨씬 더 멋진 자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래봐야 경상용차라 생각할지 몰라도 있고 없고의 기능상 차이보다 미관상의 차이는 꽤 큰 편입니다.



자세히 살펴본 리어스포일러와 보조제동등.


상단의 색이 좀 바랜걸 제외한다면 크게 파손되지 않은 상태로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물론 굴러다니는 타우너의 개체수가 많다면 나름 비싼 가격에 동호인들에게 거래가 될텐데 사실상 거의 다 전멸한 차량인지라 찾는 사람도 없을테고 결국 폐기되거나 잘 해봐야 부품으로 수출이나 나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범처 좌측에 매우 작은 후진등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당시 다마스는 구형이여도 양쪽 후미등에 후진등이 부착되어 있어 나름 후진시 시야 확보에 문제가 없었으나, 타우너는 단종 직전까지도 이와 같은 형태의 후진등을 고수하였습니다. 물론 2005년 출시된 올뉴마티즈 역시 출시 당시에는 범퍼 좌측 하단에 후미등이 하나만 적용되었습니다만, 건설교통부의 안전기준 강화로 인해 리콜조치가 단행되었고 이후 개선형 차량부터는 범퍼에 후미등이 두개가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여러 스티커가 덕지덕지 붙어있는 좌측면과 달리 우측면은 매우 깔끔한 상태로 보존되어 있었습니다.


우측으로는 큰 도로에 합류하는 차량들이 지나가는지라 사실상 뒤돌아 볼 일이 거의 없기에 우측에는 아무런 스티커도 붙이지 않았나 싶습니다. 물론 이 자리가 아니라 다른 자리로 이동하여 세워두는 일을 염두했더라면 사방팔방으로 붙여놓았겠지요.



휠은 조수석 전륜을 제외하고는 모두 청색으로 도색이 되어있었습니다.


나름 영롱한 컬러입니다. 어떤 이유에서 스틸휠을 도색하였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차를 꾸미는 작업에 관심이 있었던 차주의 작품으로 보입니다. 그랬던 시기를 뒤로하고 지금은 그저 폐차 광고용 방치차로 여생을 보내고 있습니다.



사제 썬루프의 모습도 보입니다.


수동 썬루프입니다. 지금이야 순정 옵션으로도 썬루프가 대중화되었습니다만, 그 당시만 하더라도 거의 사제 튜닝 품목 중 하나였습니다. 이후 물이 새거나 문제가 생겨 실리콘으로 막아두는 경우가 다수였지만 말이죠.



미미하지만 출고 당시 부착되었던 바코드의 흔적도 남아있습니다.



유리에는 옛 아시아자동차 로고가 박혀있네요.


물론 아시아자동차 역시 기아자동차와 동일한 로고를 사용한지 대략 2년정도 지난 시점에서의 아시아자동차 로고입니다. 따로 기아로 변경하지 않고 계속 생산한듯 보이네요.


그렇게 도로 위에서 여생을 보내던 7인승 타우너. 언젠가는 사라지겠지만 사라지는 그날까지 부디 괴한에 의한 파손 없이 잘 서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