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본가에 있는 밥솥이 김이 새어 고무패킹을 교체했음에도 또 김이 샌다고 합니다.


그래서 할머니께서 쓰시던 밥솥까지 가져왔는데 그것도 마찬가지라 하네요. 여튼 요즘 주로 서산에서 일을 합니다만, 서산에 쿠쿠전자 서비스센터가 있으니 그곳에 가서 수리를 받아 오라고 합니다. 그렇게 주말에 본가에 가서 밥솥 두개를 가져다 삼각떼 트렁크에 넣어놓았습니다.


그리고 오늘, 일이 일찍 마무리 된 김에 쿠쿠전자 서산서비스센터를 찾았습니다.



트렁크가 매우 지저분합니다만, 여튼 트렁크에 전기압력밥솥 두개를 싣고 다녔습니다.


경남 양산시에서 LG전자의 밥솥 OEM 생산업체로 시작했던 성광전자는 IMF 당시 자체 브랜드인 쿠쿠를 론칭하여 대 성공을 이루고 사명을 성광전자에서 쿠쿠전자로 변경하였습니다. 그리고 여러 백색가전과 생활가전 및 정수기까지 손을 뻗어 2014년에 코스피 상장까지 하게 되었지요.


흔히 코끼리표라 부르던 일제 조지루시 밥솥을 최고로 쳐주던게 불과 20여년 전 일입니다만, 압력밥솥의 등장과 대기업이 밥솥시장에서 철수하며 사실상 국내 밥솥시장의 1인자로 군림하고 있습니다.



서산 부춘초등학교 옆에 있는 쿠쿠전자 서산서비스센터입니다.


물론 A/S와 함께 제품 판매도 하고 있습니다. 충남에는 천안과 아산 그리고 서산 보령 논산에 쿠쿠전자 서비스센터가 존재합니다. 뭐 천안 아산이야 동네 수요만으로도 충분히 먹고 사는 동네고, 서산 보령 논산은 주변 소도시의 수요까지 담당하고 있습니다. 출장서비스를 부르면 출장비가 추가됩니다만, 직접 가져가는게 훨씬 빠릅니다.


스쿨존이고 주차가 여의치 않은 공간인지라 차는 저 멀리 세워두고 밥솥 두개를 들고 들어갔네요.



두 밥솥을 동시에 접수합니다. 서비스기록표 하나로 될 줄 알았더니 두개 다 작성하네요.


여튼 테스트를 해본 뒤 둘 다 압력밸브(솔레노이드밸브)와 그 바킹을 교체해야 한다고 합니다. 가격은 2만 8천원. 소요시간은 개당 10분씩 20분이 걸린다고 합니다. 여튼 전시중인 밥솥을 구경하며 이곳에서 기다렸다가 제품을 받아가기로 합니다.


생각보다 밥솥 수리를 위해 찾는 사람들이 많더군요. 뭐 어지간해서 집에 밥솥 하나씩은 다 있고 쿠쿠 제품을 거의 삼성 핸드폰 수준으로 쓰고 있을테니 그러지 않나 싶습니다. 맏겨두고 갔던 제품을 찾으러 오는 사람이나 저처럼 밥솥을 들고 오는 사람들이 수시로 드나들었습니다.



일반 전기밥솥과 전기압력밥솥 그리고 IH압력밥솥의 가격차이가 상당합니다.


IH방식의 압력밥솥의 경우 비싼 물건은 60만원대 중후반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코끼리표 조지루시나 호랑이표 타이거 전기밥솥이 부의 상징이자 명품 취급을 받던 시절에 비한다면 격세지감이죠. 저렇게 비싸도 한국에 관광 온 외국인들이 환장하고 쓸어가는 물건 중 하나입니다.



조금 기다리니 수리가 완료되었습니다.


영수증의 공급내역은 뭐라 알 수 없는 문자가 적혀있지만, 가격은 2만 8천원으로 동일합니다. 그렇게 두개니 5만6천원을 결제하고 다시 밥솥 두개를 들어 가져왔네요. 보통 밥솥은 10년정도 쓰는 물건인데, 큰 돈 들여 고쳤으니 앞으로 몇년간은 별 문제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추석명절도 대략 한달 앞으로 다가왔네요. 올 추석 명절에도 맛있는 밥을 먹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삼각떼를 출고하면서 지넷시스템의 X2라는 블랙박스를 장착했습니다.



18년 연말. 사실상 19년 1월에 장착했었는데, 얼마 전 블랙박스 메모리가 수명을 다 한 것 같아 겸사겸사 장착했던 용품점에 가서 메모리 카드를 하나 더 샀는데 기존 메모리카드의 영상을 보시더니만 블랙박스 카메라 렌즈의 초점이 나갔다고 하시더군요. 


뭐 여튼 후방 영상과 비교해보니 후방 영상은 상대적으로 선명하게 보이지만, 전방 영상은 조금 흐리게 보였습니다. 그리고 같은 모델 블랙박스에서 정상적으로 촬영된 영상과 비교하니 초점이 맞지 않는 것이 확실하더군요. 여튼 A/S를 보내라 해서 지난 월요일에 지넷시스템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신청서를 작성한 뒤 택배를 보내기 위해 박스를 포장했습니다.



지넷시스템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AS신청서를 다운받아 출력한 뒤 인적사항과 증상을 기재했습니다.


그리고 고객센터로 전화를 걸어 어느 택배사로 보내야 하는지 물어보니 1년이 지난 제품은 택배회사 상관없이 그냥 선불로만 보내주면 된다고 하네요. 그래서 편의점 택배를 활용하여 화성시 송산면의 지넷시스템 AS센터로 발송했습니다.


월요일 오후에 택배를 접수하고, 수요일 늦게 택배가 AS센터에 도착했다는 알림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목요일 정오즈음에 지넷시스템 AS센터에서 연락이 왔고 카카오톡 알림메시지까지 도착했네요.



무상수리 사유는 모르겠지만, 포커스 틀어짐이 확인되어 무상으로 수리하여 택배로 보내준다고 합니다.


언제부터 초점이 틀어졌는지는 알 수 없지만, 여튼 근 2년 가까이 쓰고있는 블랙박스를 무상으로 고쳐서 보내준다고 하니 제 입장에서 딱히 거부하거나 마다할 이유는 없지요. 여튼 목요일 혹은 금요일에 택배로 발송된다는 연락을 받고 기다리니 금요일 오후에 택배가 도착했습니다.


월요일에 택배를 접수하여 AS센터를 거쳐 금요일에 다시 제 곁으로 돌아오게 되었지요.



제가 택배를 보냈던 그 상자에 그대로 포장만 다르게 담겨서 도착했습니다.


저는 완충재를 잔뜩 집어넣었는데 다 버리고 간소하게 담아서 왔네요. 포장을 뜯어봅시다.



기존 블랙박스가 그대로 오긴 했습니다만, 카메라 렌즈를 교체하여 렌즈에 비닐이 붙어있습니다.


투명한 컬러였으면 그냥 놔뒀겠지만, 파란색이라 녹화에 지장을 주기에 제거하기로 합니다.



후방용 카메라는 일련번호가 다르네요. 리퍼제품인지 아예 새제품인지는 모르겠습니다.


브라켓까지 새로 장착된채로 배송되어 왔습니다. 제 차에 장착된 브라켓 색은 완전 투명인데 이 후방카메라의 브라켓 색은 약간 검은빛을 내는 플라스틱이네요.



AS센터를 거쳐 다시 돌아온 블랙박스를 장착합니다.


먼저 전방부터 달아줍니다. 블랙박스를 탈거하고 브라켓만 다시 달아두었는데 다시 브라켓을 탈거하여 블랙박스 본체와 결합한 뒤 배선을 연결하고 고정시켜줍니다.



후방은 더 간단합니다.


그냥 브라켓에 카메라 모듈을 꼽아주고 배선 연결만 해주면 끝.



새로 온 후방카메라에 달려있던 브라켓에서 카메라 본체를 탈거하여 기존 브라켓에 장착 완료.



전방카메라 그리고 후방카메라까지 촬영이 잘 되는 모습까지 확인했습니다.


펌웨어 업데이트도 함께 진행된건지 일부 설정이 변경되어 있었는데, 그 설정까지도 하나하나 다시 돌려놓고 모든 셋팅을 완료했습니다. 뭐 다음에는 무상수리같은거 안해주겠죠. 4~5년 타고 문제가 생긴다면 그때가서는 블랙박스를 바꾸는 쪽으로 알아봐야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