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김해시 외곽에 우후죽순 크고 작은 공장이 들어서 있는 지역에서 오랜만에 이 차를 봤네요.

 

지금이야 중국산 버스가 발에 치일 정도로 많이 보입니다만, 중국산 버스가 수입된다는 사실 자체가 생소했었던 그 시절에 수입되었던 독일제 네오플란 스타라이너를 기반으로 중국의 진화청년기차에서 생산하여 430마력의 출력을 내던 두산엔진을 적용하여 정비성을 높여 국내에 잠시 수입되었던 중국산 버스입니다. 

 

2019.04.13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 - 2010 진화영맨 네오플란 스타라이너유로 (JNP6126KE)

 

2010 진화영맨 네오플란 스타라이너유로 (JNP6126KE)

오늘(토요일) 업무차 호남고속도로의 여산휴게소에 들어갔는데, 귀한 버스가 한 대 있었습니다. 보기 힘든 레어템입니다. 선롱버스보다 먼저 국내에 상륙했었던 비운의 중국제 고급버스.2000년

www.tisdory.com

 

지난 2019년 영업용으로는 사실상 막바지로 굴리던 시기에 호남고속도로 여산휴게소에서 목격했었고, 그 이후로 약 5년 만에 김해 외곽에서 이 버스를 보게 되었습니다. 2011년에 수입이 중단되었기에 현재 영업용으로는 사실상 전멸. 가끔 광고랩핑용 버스로 돌아다니는 모습이 보이긴 한다고 합니다.

 

진화영맨 네오플란 스타라이너 유로(JNP6126KE)

 

밀양에 소재한 '뉴금강산관광'이라는 회사에서 운용했던 차량으로 보입니다.

 

2007년형에 2008년 최초등록으로 보아 아마 국내 수입 초기에 도입되었던 차량으로 보여집니다. 후륜 조향축은 없는데 중문도 보이고요. 보통 벤츠 로고를 붙이고 다니며 벤츠 코스프레를 많이 하는데, 이 차량은 MAN 레터링을 붙어놓았습니다. 애초에 원판 메이커인 네오플란이 MAN과 함께 폭스바겐 그룹에 소속되어 있긴 하니 중국산 차량이여도 벤츠보다는 좀 더 MAN에 가깝겠지요.

 

2000년대 후반만 하더라도 꽤나 크고 웅장하게 느껴지던 이 버스도 국산 버스들이 스포일러 크기를 키운 지금 시점에서는 아주 크다고 느껴지지는 않았습니다. 2019년에 휴게소에서 봤던 느낌도 그랬었고요. 이 자리에 왜 세워져 있는지는 모를 일이지만, 앞으로 언제 또 볼 수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명절 연휴 막바지에 일본에 다녀왔고 월요일 오후에 대한항공 788편을 타고 귀국했는데 귀국하자마자 바로 개처럼 일을 했었습니다. 장거리 왕복 당일착을 한 주에만 두 번씩하고 있었으니 말이죠. 그렇게 피곤에 쩔어 살다가 겨우 일요일에 푹 자고 일어나서 포스팅을 하고 있네요.

 

여튼 2월 첫 주 내내 철근을 싣고 내려가서 잡짐을 아무거나 하나 잡고 오는 일상이 반복되었었습니다.

 

시트파일

 

울산에서 시트파일을 싣고 예산으로 올라왔습니다.

 

시트파일은 꿀짐 중 하나죠. 결박만 잘해 놓으면 흔들리며 느슨해지는 일도 없고 무게도 가벼운 편이며 사실상 크게 신경 쓸 부분이 없습니다. 비가 내리고 눈이 내려도 말이죠. 여튼 저걸 하차하고 돌아오는 길에 갑자기 턴시그널이 빠르게 움직입니다. 승용차나 대형차나 특히 전장이 약한 대우차 특성상 그냥 놔뒀다간 분명 또 어딘가에서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농후하기에 빠르게 고치기로 합니다.

 

내려서 확인해 보니 전후 방향지시등에는 문제가 없네요. 다만 문짝에 달려있는 차폭등 겸 사이드램프에서 방향지시등이 들어오지 않습니다.

 

생각해보니 반대편은 사고로 한 번 교체하긴 했습니다만, 운전석은 출고 이후로 단 한 번 도 교체하지 않았던 제치네요. 3년 조금 더. 27만 km 가까이 타고 수명을 다했습니다. 일단 오는 길에 전구를 두 개 구입하고 익일착 철근을 상차한 뒤 공구통을 꺼냈습니다.

 

문제의 사이드램프

 

문제의 사이드램프입니다.

 

타타대우의 프리마 그리고 같은 캡을 활용하는 맥쎈과 구쎈에 동일한 부품이 들어갑니다. 24V 더블소켓 전구가 적용된다네요. 막상 차에 있는 여분의 전구들 중 이 전구는 없었던지라 구입하여 들어왔습니다. 미등을 점등하면 미등이 켜지고 방향지시등을 점등하면 방향지시등도 켜집니다. 더 어두워지기 전에 빠르게 탈거합니다.

 

탈거는 간단

 

탈거 자체는 매우 간단합니다.

사이드램프에 고정된 십자 피스 하나만 풀어주고 당겨내면 빠져나옵니다.

 

탈거완료

 

빠르게 탈거합니다.

 

3선의 배선과 연결된 소켓을 돌리면 전구가 나옵니다. 22년 가을에 랩핑을 새로 한 이후로 약 1년 반 만에 다시 탈거되었습니다.

 

필라멘트가 나갔다

 

탈거된 전구를 확인합니다. 필라멘트가 하나 끊어졌네요.

 

3년 넘는 세월동안 고생 많았던 전구는 그렇게 퇴역합니다. P21규격에 더블소켓입니다. 기존 전구를 탈거하고 새 전구를 끼워주는데..

 

새 전구가 점등이 안 됨

 

새 전구가 점등되지 않네요.

 

반대로 끼우니 살짝 불이 들어오긴 합니다만 고정이 되지 않습니다. 불량이네요. 두 개 사오길 잘 했습니다.

 

혹시몰라 소켓 확인

 

혹시 몰라 소켓의 접촉이 불량한가 싶어 접촉부위를 일자드라이버로 조금 당겨줍니다.

 

그리고 같이 구입했던 다른 전구를 끼워줍니다. 다행히 잘 되는군요.

 

문제 없이 잘 들어옴

 

미등도 방향지시등도 정상적으로 작동됩니다.

 

더 어두워지기 전에 작업을 마무리하고 원복하고 퇴근했습니다. 3년 조금 더 타고 한 번 교체했으니 앞으로 3년정도 뒤에 교체하겠지요. 아마도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