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96년에 생산된 기아의 상용차량들입니다.

 

마침 두 차량의 번호판이 '서울80'으로 시작하고 비슷한 시기에 발급되었네요. 비슷한 시기에 발급되었던 번호판이지만, 아직 건재하게 고속도로를 달리는 모습으로 다시 목격했고 다른 한 대는 저감장치를 장착하여 적폐청산은 면했지만 폐차장 렉카가 걸고 가는 안타까운 상황이었습니다. 물론 차량 특성상 폐차 분해보다는 수출길에 오르겠지만 여러모로 안타까웠습니다.

 

먼저 96년 10월에 최초등록된 프레지오 6인승 글라스밴입니다.

 

1996 KIA PREGIO VAN

2022년 10월 13일에 평택제천고속도로 남안성IC 인근에서 촬영했던 사진입니다.

 

왜 이 차량을 올드카 목격담에서 깜빡하고 넘어갔는지 저도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만, 마쓰다의 3세대 봉고를 기반으로 하는 베스타의 후속으로 95년 11월 출시되었던 기아의 독자개발 모델입니다. 지금 봐도 세련된 유선형 디자인을 채택하였고 이 차량과 함께 개발했던 J2엔진이 적용되었습니다. 그렇게 자잘한 부분변경과 풀체인지급 부분변경 모델인 '봉고3 코치' 까지 약 10년간 생산된 뒤 단종되었습니다.

 

프레지오의 출시 이후에도 한동안 베스타와 15인승 롱바디 모델인 토픽이 병행하여 생산되기도 했지만 베스타는 기아자동차의 사정이 나빠지기 시작하던 97년 12월에, 토픽은 2000년에 부분변경을 거치며 프레지오의 롱바디 모델이 출시되며 단종되었습니다.

 

승합차 시장에서 벤츠제 파워트레인을 들고 나온 쌍용 이스타나, 현대 그레이스에 밀려 상대적으로 고전했던 차량이지만 2003년 단종되었던 두 차량보다 더 오랜 세월 살아남았고 초기형에는 남색이나 빨강색 그리고 이 차량에 적용되었던 청녹색을 비롯하여 다양한 색상의 선택이 가능했었습니다. 거기에 매우 보기 드물었지만 95년에 등록하여 한자리 지역번호판을 부착했던 차량들도 간혹 존재했었네요. 동네에 광동제약 도색이 된 프레지오 밴이 96년 이전의 한자리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2000년대 후반까지 돌아다녔던 모습을 봤던지라 기억에 남아있습니다.

 

1996 KIA PREGIO VAN

2023년 9월 19일 발안IC에서 다시 목격.

 

여튼 이 차량을 서해안고속도로 발안IC에서 약 1년만에 다시 목격하게 되었습니다. 서울방향으로 올라가던데 육안상 보이는 부식도 별로 없고 도장에서 광이 납니다. 휠커버도 분진이 조금 뭍어있긴 하지만 차령을 생각한다면 상당히 깔끔하고요. 트렁크 도어에는 최대적재량 스티커까지 그대로 남아있을 정도로 사실상 교환이나 도장 없이 공장 도색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경이로운 모습입니다.

 

대부분의 프레지오가 수출길에 오르거나 노후경유차를 적폐취급하는 정책으로 폐차장의 이슬로 사라졌습니다만, 서울이나 수도권에 차적을 두고 있는 이상 스티커는 없지만 높은 확률로 DOC나 DPF같은 저감장치를 장착하셨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러니 27년 가까운 세월을 버틸 수 있지 않았나 생각되네요.

 

아직까지 고속도로 운행도 가능한 모습으로 보아 앞으로도 문제 없을듯 합니다. 부디 오랜 세월 살아남아 다시 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1996 KIA JUMBO TITAN

다음은 2023년 8월 당진의 국도 32호선에서 목격했던 96년 8월 등록 점보타이탄입니다.

 

마쯔다의 초대 타이탄을 기반으로 71년에 출시된 기아 타이탄의 부분변경 모델인 점보타이탄입니다. 초기형 모델은 말소처리가 되지 않아 서류상으로만 남은 차량을 제외하면 사실상 잔존개체가 없다고 봐야 맞을테고, 후속 모델인 트레이드의 출시 이후의 후기형 모델들을 이렇게 간간히 볼 수 있습니다. 올드카 목격담에서도 수차례 다뤘었지요.

 

 

아시아자동차 AM420CS 견인차, 기아 점보타이탄 피견인차.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한 운전학원에서 사용중인 견인차와 피견인차가 그 주인공입니다. 아시아자동차의 AM420CS 8톤 렉카트럭과 피견인차로 이용중인 기아자동차의 점보타이탄. 물론 시골에

www.tisdory.com

 

1991 기아자동차 점보타이탄 1.4톤 (1991 KIA JUMBO TITAN 1.4TON)

당진시와 예산군의 군계. 신촌이라 부르는 작은 시골마을에서 목격한 점보타이탄입니다. 지난해 여름에는 아시아자동차의 AM420CS 견인차와 함께 피견인차로 사용되던 후기형 점보타이탄을 짧게

www.tisdory.com

 

이 차량은 이전에 목격했던 차량들과 달리 95년에 그릴의 형상이 약간 변경된 최후기형 모델입니다. 93년까지는 소하리 공장에서 생산되었지만 이후 단종시까지 광주공장에서 생산되었으며 이 차량은 광주공장 생산분이지요. 잘 보면 적재함에 저감장치 혹은 LPG 개조 스티커가 붙어있던 흔적이 있습니다. 저감조치를 마친 차량인지라 더 달릴 수 있을텐데 폐차장으로 향하고 있었습니다.

 

깔끔하다.

적재함 문짝 하단의 일부 부식을 제외하면 27년 가까운 세월을 달렸음에도 상당히 깔끔합니다.

 

데칼도 살아있고요. 온갖 폐차를 견인하며 칠이 벗겨지고 녹이 생긴 견인차보다 더 깔끔합니다. 확실히 대도시에서 차생을 보낸 차량들이 시골에서 농업용으로 이용하는 차량들 대비 준수한 상태를 보여줍니다. 이렇게 깔끔한 차량이 저감조치까지 마쳐 더 타도 큰 문제가 없음에도 폐차장의 이슬로 사라지는 모습을 보고 있으니 안타깝기만 합니다.

 

잘 가 점보타이탄

한참을 같이 달리다 헤어졌습니다.

 

차생의 마지막을 낮선 지방에서 마무리하게 되는군요. 높은 확률로 부품 혹은 완차로 수출길에 오르겠지만, 승용차도 아니고 짐차인 타이탄의 마지막 가는 모습에 관심을 갖는 사람은 저 말곤 없었습니다. 타국에서 새 삶을 살아갈지 분해되어 제강소로 향할지 모르겠지만 그간 고생했던 타이탄에게 수고했다는 이야기를 전하고 싶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당진시와 예산군의 군계. 신촌이라 부르는 작은 시골마을에서 목격한 점보타이탄입니다. 


지난해 여름에는 아시아자동차의 AM420CS 견인차와 함께 피견인차로 사용되던 후기형 점보타이탄을 짧게나마 보고 갔었고, 올해 2월에는 점보타이탄의 후속모델인 트레이드를 목격했었죠. 안타깝게도 천안에서 목격했던 2.5톤 트레이드는 얼마 전 폐차장의 이슬로 사라졌고 그 자리를 2012년식 마이티가 대신하고 있었습니다.



여튼 이번에 목격한 점보타이탄은 동명의 마쓰다 타이탄을 기반으로 제작된 차량입니다. 기아자동차는 1세대 타이탄을 1971년 출시하여 판매하였고, 처음에는 사실상 마쓰다 타이탄과 큰 차이가 없었지만 기아자동차의 독자적인 부분변경 움직임에 의해 1987년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점보타이탄이 탄생했습니다. 이후 자잘한 변화를 거쳐가며 후속모델인 트레이드의 출시 이후로도 1997년까지 생산 및 판매되었습니다.


물론 트레이드 역시 2세대 점보타이탄을 기반으로 생산된 차량이지만, 장축 및 고급형 차량으로 후속모델인 트레이드를 판매하면서 6년 이상 1세대 타이탄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구형 모델인 점보타이탄을 병행하여 판매하였습니다. 지금도 현대자동차에서 신형 마이티(WQ)를 판매하면서 폭이 좁은 내로우캡 전용 2톤 모델로 구형 차량을 판매하는것과 같은 상황이라 보면 되겠습니다.



한적한 시골 도로변에 세워진 점보타이탄 1.4톤 모델입니다.


물론 지금은 봉고 기반의 1.4톤 트럭이 생산되고 있습니다만, 이 시절만 하더라도 타이탄의 고유 영역이였습니다. 아직 마쓰다의 색채가 강하게 남아있던 초기형 타이탄과 슈퍼타이탄을 시작으로 일본에서 2세대 모델의 등장으로 사실상 구형모델을 판매하게 된 시점부터 동명의 마쓰다 타이탄과는 다른 독자적인 디자인을 가지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지금 도로 위에 보이는 타이탄들은 위와 같은 87년 이후 생산된 점보타이탄입니다. 점보타이탄 역시 기아자동차 로고가 바뀌기 전의 초기형과 타원형 로고가 적용된 중기형 그리고 그릴의 형상이 변경된 후기형으로 나누자면 나눌 수 있는데, 이 차량은 1991년 8월 최초로 등록되었으나 그릴은 타원형 로고가 박힌 그릴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적재함은 예전에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다가 덧칠을 올린건지 옛 칠의 흔적드이 보이기도 하네요.


여러모로 시골에서 농기계를 옮기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점보타이탄입니다만, 지금의 임무를 부여받기 전에는 회사 도색을 하고 돌아다녔으리라 유추가 가능합니다. 적재함의 형태와 구조는 같은 년식의 2.5톤 트레이드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등화관제등은 우측만 살아있네요.


물론 정상적으로 작동하리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그래도 우측 등화관제등만이 살아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차령 30년을 바라보고 있는데다가 누가 보더라도 등화관제등이 작동하는게 신기하게 여겨지는 상태이니 말이죠.



이미 다 부식된 휠과 하체. 시골에서 굴리는 낡은 트럭들의 상태가 뭐 다 그렇지요..


생각보다 시골에서도 차를 오래탑니다. 물론 농번기에 여러 농기계를 수송하는 목적으로나 사용하고 별다른 주행이 없다보니 큰 고장이 나지 않는 이상 차를 바꿀 이유가 없지요. 도시에 비한다면 검사 기준도 느슨하고 진짜 최소한의 차량관리만 된다면 굴러다니는 상황입니다.


물론 이러한 낡은 농업용 트럭들 역시 근 1~2년 내에 대다수가 폐차될 위기에 처했습니다. 올해 7월 1일부터 충청남도는 금산군을 제외한 모든 시/군이 대기관리권역에 포함됩니다. 다른 도에서는 주요 공업도시와 그 주변의 군단위 지방자치단체만 대기관리권역에 포함되지만, 충청남도만 내륙 오지인 금산군을 제외하고 모든 지자체가 대기관리권역에 포함된다고 하네요. 


물론 대기권리권역에 포함된다면 수도권과 광역시 그리고 인구 50만 이상의 특례시에 적용되는 부하검사 방식으로 훨씬 엄격한 기준의 종합검사를 통과해야만 합니다. 검사비용은 두배 수준이고, 여러모로 어지간히 매연을 뿜는 차가 아닌이상 대부분 합격 기준 안에는 들어오는 정기검사 허용치의 절반 수준인지라 시골의 관리 안된 대다수의 차량들이 부적합 판정을 받으리라 생각되네요. 


중국발 미세먼지에는 별다른 언급이 없고, 국내 요인만 휘어잡다보니 중국하고 바다를 두고 맞닿은 충청남도의 시골까지도 수도권 및 광역시 수준의 까다로운 검사기준을 요구합니다. 노후경유차는 아니 저감장치가 달린 요즘 나온 경유차까지도 적폐이자 미세먼지의 주범취급을 당하고 있습니다.



번호판은 '충남80 가'

위에 링크를 걸어놓은 천안에서 목격했던 트레이드와 같은 기관에서 발급된 번호판입니다. 


천안에서 대략 96년 즈음에 발급된 번호판인데, 아마 그 즈음에 번호가 변경되어 대략 25년을 같은 번호판을 달고 운행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릴의 기아자동차 엠블렘은 타원형인 신형입니다. 와이퍼암 한쪽은 도망간지 오래고 캡 역시 흰색으로 재도장이 된 상태인데 그 위로 부식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누가 보더라도 매우 노후된 상태임을 알 수 있습니다.



타이탄 1.4톤 모델의 모델명인 K2500. 그리고 낡은 사이드미러.


백색 도장이 벗겨진 상태를 보아하니 캡도 한번 더 도색이 된 상태로 보입니다. 아마 적재함과 짝을 이룬 도색이였을건데 세월은 흐르고 흘러 덧칠 속에 숨어있는 본래의 색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시골에서 농번기에나 사용되는 목적으로도 20년이 넘었으니 상대적으로 주행거리는 짧고 실내의 노후화는 도시에서 매일같이 주행을 하는 차량에 비한다면 덜 되었겠지만, 외관은 매우 험합니다. 



낡은 휠과 트레드가 얼마 남지 않은 낡은 타이어. 

현재도 생산중인 타이어 모델인 한국타이어의 AH03이지만 옛 로고가 박혀있습니다.


한국타이어의 로고가 소문자로 표기된지도 10년이 넘어습니다. 그 이전에는 한국타이어의 영문 상호를 대문자로 표기하였는데 OO자리를 타이어 모양으로 표기하게 된 것은 대략 20여년 전 일입니다. 그런고로 최소 15년정도 지난 타이어라는 이야기겠죠. 타이어의 트레드도 거의 다 닳았습니다만, 아마 새 타이어로 교체되는 일은 없을 것 같은 느낌입니다.



내부 상태는 농업용임을 감안해도 깔끔한 축에 속합니다.


후속모델이자 병행 생산되었던 트레이드와 같은 핸들이 적용되었습니다. 그 외의 차이점이라면 1971년 출시부터 97년 단종시까지 핸들컬럼식 수동변속기가 적용다는 부분입니다. 실내 디자인 역시 그 당시의 기아차와 별 차이 없는 형태로 디자인 되었고, 여러모로 70년대 초반 출시되어 부분변경만 여러번 거친 차량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는 수준의 내부 인테리어입니다.



가죽 아니 비닐시트와 도어트림의 상태도 30년 된 차량 치곤 준수했습니다.


시트 아래가 조금 찢어진것을 제외하면 순정상태의 시트와 도어트림은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물론 얼마 타지 않더라도 시트가 찢어지거나 도어트림이 갈라지는 문제가 생기는 차량도 많은데 암만 시골 농업용 트럭이라 한들 그래도 그늘이나 차고같은곳에 세워 상대적으로 온전한 실내상태를 보이지 않나 싶네요.


못해도 1년 안에 최소한 충청남도 안에서는 이러한 시골 트럭들이 사라질 위기에 처했습니다. 


정기검사 대신 종합검사가 시행된다면 검사에 합격하기 위해 큰 돈을 들여 차를 고칠 확률보다 검사를 포기하고 폐차를 하게 될 확률이 높으니 말이죠. 시골에 숨어서 단거리만을 움직여 잘 포착되지 않는데다가 승용차가 아니라 큰 관심을 받지 못하고 저같은 사람들이나 주목하는 이런 낡은 트럭들 역시 금산을 제외하고 모든 시/군이 수도권 및 광역시와 동일한 기준에서 검사를 통과해야 하는 충청남도에 한해서는 대부분 자취를 감추리라 생각됩니다.


30여년의 세월을 뒤로하고 떠나갈 점보타이탄의 명목을 빕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