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서산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목격한 91년식 초기형 콩코드입니다.


신군부의 자동차공업 합리화조치가 해제된 이후 1987년. 기아자동차 역시 다양한 승용차를 출시합니다. 프라이드도 이 시기에 출시되었고요. 오늘의 주인공인 콩코드 역시 같은 시기에 출시되었습니다. 


당시 막 단종되었던 마쯔다(MAZDA) 카펠라의 3세대 모델인 GC형을 그대로 도입하여 라이센스 생산하였는데, 당대 함께 경쟁하던 중형차인 대우자동차의 로얄과 현대의 소나타가 고급스러움과 크고 넓은 공간으로 승부를 보던 시기에 준중형차 수준의 짧은 전장과 휠베이스로 크고 넓은 차를 선호하는 한국 시장의 특성상 열세를 보일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후 콩코드보다 조금 작은 캐피탈의 등장으로 같은 차체로 중형차와 준중형차를 판매하게 됩니다.


엔진 역시 마쯔다에서 사용하던 1.8 SOHC, 2.0 SOHC F엔진이 초기형에 적용되었고, 이후 2.0 DOHC와 택시형 모델을 위한 1.8 LPG와 2.0 디젤인진이 추가되었습니다. 이번에 본 차량은 초기형 1.8 SOHC 모델입니다.



그렇습니다. 뉴 콩코드도 아니고 초기형 콩코드의 모습입니다.

최초등록은 90년 4월. 만 30년이 넘은 진귀한 올드카입니다.


하얀색 전국번호판이 상대적으로 깔끔한 상태인지라 아마 비교적 근래에 복원을 위해 누군가가 이 콩코드를 구입하여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세워두지 않았나 싶습니다. 흰색 전국번호판이 깔끔하다는 얘기는 오래된 지역번호판을 철거했다는 얘기겠지요.



다만, 콩코드 옆으로 엔진오일로 보이는 기름이 누유되고 있었습니다.


떨어지는 수준이 아닌 흘러내리는 수준이네요. 자력으로 운행을 하다간 폐차장에 갈 처지이니 아마 추후 견인차의 힘을 빌려 지하주차장을 빠져나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렇게 오일이 흘러내리는데 관리사무소에서도 아무런 얘기가 나오지 않는다는게 신기하게도 느껴지네요.



전반적인 상태는 좋지 못합니다.


여기저기 기스와 스월마크 칠이 벗겨진 부분들과 덧칠의 흔적들. 간간히 부식도 보이네요. 최대한 출고칠을 살리면 좋겠다만 이렇게 가망이 없는 경우에는 부식을 잡고 새로 칠을 하여 깔끔한 차량을 만드는것이 최선책입니다. 여러모로 이 콩코드를 가져온 차주분 역시 큰 돈 들여 복원작업을 할 생각을 가지고 차를 구입하셨겠지요.



주유구 주변으로 보이는 무수히 많은 기스. 주유구 역시 단차가 맞지 않습니다.


주유구가 고장이 나 직접 수동으로 열어야 할지도 모릅니다. 혼자 푹 들어가 있는 모습이네요.



뒤로 넘어와 봅니다. 콩코드 레터링과 옛 기아자동차 굴뚝로고.

그리고 마치 스모키 필름을 씌운 느낌의 후미등의 모습도 보입니다.


물론 실제로 양카들처럼 스모키필름을 덮어씌우지는 않았습니다만, 본래 신차 시절에도 콩코드의 후미등은 조금 어두운 느낌이였습니다. 거기에 세월이 흐르며 점점 더 검게 그을려 마치 스모키 필름을 씌운 느낌의 후미등으로 변하게 되는것이죠. 혼자만 상대적으로 색상이 보이는 우측 후미등은 아마 중간에 교체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리고 차보다 더 귀한 휴지곽을 만났습니다.


LG정유가 계열분리로 GS그룹으로 넘어간게 2004년. 그 이전에 LG정유 보너스 카드 광고가 대략 제가 일곱살때 TV에서 흘러나왔고, 신중현이 부른 미인이야라는 곡의 가사를 개사한 그 노래를 유치원 버스에서 다같이 흥얼거렸던게 기억납니다. 대략 98년 99년 광고 모음을 보니 그 시기에 LG정유 보너스카드 광고가 방송을 탔던 흔적이 보이네요.



위 영상은 당시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던 개그맨 김진수가 출연하였고, 한석규 강부자 전원주 버젼이 있었음을 기억합니다. 아마 그 즈음에 주유 후 증정용으로 제작된 휴지곽으로 보이네요. 휘발유 브랜드를 테크론에서 시그마6로 변경한 뒤 광고 역시 시그마6로, 휴지곽 역시 시그마6 로고로 바뀐걸로 기억합니다. 못해도 20년 이상 된 휴지곽이라 보면 되겠죠. 제가 어릴때 봤던 휴지곽이니 말입니다.


차는 그래도 몇대 남아있겠지만, 저 휴지곽은 아마 유일하게 콩코드 안에 남아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여러모로 여기저기 바래고 긁히고 덧칠을 하게 된 흔적들이 보입니다.


뒷범퍼의 크롬라인은 이미 락카칠로 더럽혀진 상태. 아마 신품 범퍼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인지라 복원을 한다 해도 이 범퍼와 크롬몰딩을 어떻게든 살려내야만 합니다. 당시 콩코드의 고급형 모델에는 알루미늄휠과 전자식 계기판이 적용되었지만, 1.8 SOHC 엔트리 모델인 이 콩코드는 스틸휠과 휠커버가 적용되었습니다.



크롬과 락카는 반응하지 않습니다. 락카 덧칠이 크롬에 드문드문 묻은것을 볼 수 있네요.


락카신나로 닦으면 닦이려나요? 비슷한 굵기의 크롬 몰딩을 사다 붙이는것도 한 방법이겠지만, 차량의 본질을 흐리지 않고 복원하기 위해서는 꽤나 고된 작업이 예상됩니다.



넥센타이어 CP661. 지금은 경차 깡통모델에나 적용되는 14인치 휠과 타이어입니다.


생각보다 촘촘하게 구성되어있는 휠커버. 물론 황변현상이 오긴 했지만, 충분히 칠만 잘 해준다면 깔끔했던 상태 그대를 어느정도 재현하는데에 큰 문제는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유독 기아차 휠커버가 저렇게 황변이 오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어릴적 패밀리카였던 세피아의 휠커버 역시 저랬으니 말이죠.



나름 깡통모델로 보여도 당대 최신기술인 자동변속기가 적용된 오토매틱(AUTOMATIC) 차량입니다.


지금은 9단 10단 자동변속기도 선보이고, 높은 연료 효율을 만들기 위해 탄생한 무단변속기와 빠른 변속을 위한 수동변속기 기반의 자동변속기인 DCT도 등장했습니다. 애초에 자율주행 기술도 자동변속기에 기반을 둔 기술이고 막상 수동변속기 차를 사고싶어도 살 수 없는 상황입니다만, 대다수의 자동차가 수동변속기를 사용하던 이 시절만 하더라도 일일히 클러치를 밟고 변속을 해 줘야 하는 수동변속기와 달리 악셀만 밟고 있으면 알아서 변속이 되는 오토매틱은 엄청난 자랑거리였습니다.



짧고 뭉툭하고 각진 사이드미러.


물론 원본 모델인 카펠라 GC형은 앞 휀다에 미러가 달려있었습니다. 이미 마쯔다는 신형 차량을 생산하기 시작했고 한물 간 카펠라를 라이센스 생산하던 기아차가 사이드미러의 자리를 옮긴것이라 봐야 맞겠습니다. 80년대 자동차의 사이드미러는 모두 이런 각진 형태를 지니고 있었습니다. 그나마 90년대 초반에 출시되는 차량들부터 더욱 커지고 다양해진 사이드미러가 등장했지요.



실내 상태는 매우 준수했습니다.


특유의 노티나는 직물시트. 도어트림도 큰 훼손 없이 유지중이였고요. 특유의 3스포크 핸들과 뼈다귀만 앙상하게 보이는 자동변속기의 모습도 보입니다. 



다시 앞으로 돌아왔습니다. 전조등과 앞범퍼의 상태는 상대적으로 준수합니다.


앞범퍼 역시 코너에 긁힌 부분이 있지만 덧칠을 했던 흔적도 없고 크롬라인까지 살아있습니다.



공장기아 엠블렘과 세로로 나열된 라인까지 크롬이 살아있습니다.


크롬광택제로만 한번 잘 닦아준다면 별 문제 없어보이는 상태네요.



우측 방향지시등도 깨져있습니다.


아무래도 본격적인 리스토어 작업을 위해 잠시 쉬고 있는 상황으로 보여집니다. 전반적인 상태는 그리 좋은 수준이 아니지만, 말끔한 모습으로 다시 태어나 지나온 30년의 세월만큼 오래오래 살아남았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그동안 프라이드는 꽤 많이 봤고 다뤘습니다만..

홍성의 한 정비소 뒷편 주차장에서 본 프라이드입니다.



1987년부터 1999년까지 꽤 오랜세월 생산되기도 했던지라 아직까지는 그럭저럭 찾아보면 보이는 차량이긴 합니다만, 뉴트로 붐을 타고 구형 프라이드도 리스토어라 쓰고 빈티지 튜닝카를 만들며 올드카를 사랑한다 말하고 거들먹 거리는 사람들 탓에 꽤나 많은 차량들이 인스타그램 배경용 소품으로 수준의 빈티지카로 전락하여 본질을 잃어버렸고 차값 역시 그런 사람들이 꽤 많이 올려놨습니다.


이번에 본 프라이드 역시 어느정도 개조가 되어있긴 하지만, 옛 지역번호판 그대로 꽤 온전한 상태로 남아있었기에 사진으로 남겨보았습니다.



1991년 8월 등록. 5도어 DM. '충남1 모' 지역번호판이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물론 번호판의 경우 한번 더 덧칠을 한 흔적이 보이지만, 당시 타지역에서는 승용차에 할당된 숫자인 1,2,3,4를 모두 혹은 2까지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충청남도에서는 승용차에 부여된 숫자 중 1을 제외한 숫자를 사용하지 않았고 대신 각 지자체별로 식별기호를 다르게 줬던것으로 기억합니다. 


구형 지역번호판이 1995년까지 발급되었으니 신규 발급이 중단된지도 벌써 25년이 지났고 지금은 구형 지역번호판을 부착한 차량이 얼마 남지 않았지만 기억상으로는 당진이 충남 1 '루'와 '코' '쿠'를 사용했었고, 예산이 '오' 홍성이 '모' 논산이 '누'를 사용했습니다.


여튼 기억나는 식별기호별 상세 발급지역은 그렇고요. 홍성에서 30년 가까운 차생을 살아왔고 또 지금도 홍성군에 등록되어 홍성 땅에 세워진 프라이드입니다.


라이트는 초기형 대비 약간 둥글둥글해진 신형 라이트 적용 초기 모델입니다. 이후 년식변경에서 그릴도 둥글게 변해버린 라이트에 맞춰 조화롭게 변경되었지만 이 당시 과도기 모델들은 마치 라이트를 억지로 끼워놓은 느낌을 들게 합니다.



전반적인 차량의 관리상태는 우수했습니다.


자잘하게 찌그러진 부분과 애초에 제치 칠로 30년을 버티며 바래버린 부분을 감안하고 본다면 별다른 수리가 필요 없는 수준의 상태였습니다. 올드카라 하면 막상 신품으로 갈아끼우고 새로 도색을 한 느낌이 물씬 풍기는 차량보다는 적당한 세월의 흔적이 보이는 좀 더 좋아하는 사람인지라 제 기준으로도 외관만 놓고 본다면 정말 마음에 듭니다.



새로 가져다 붙였는지, 원래 붙어있던 엠블렘과 레터링인지 몰라도 반짝거리는 엠블렘.

그리고 지붕 칠도 태양에 의해 바랬습니다.


바래버린 본넷과 지붕을 비롯한 일부 칠만 해주면 깔끔하리라 생각됩니다. 다만, 실내는 이미 직물시트 대신 아쉽게도 빨간색 레자가죽시트와 도어트림으로 리폼이 된 상태였습니다.



세월의 흔적이 가득한 핸들과 기어봉 대시보드. 

비교적 최근 씌워진듯 보이는 인조가죽시트커버와 도어트림커버.


조금 더럽고 험하게 보이더라도 직물시트와 직물 도어트림으로 남아있었더라면 좋았을텐데 빨간 인조가죽시트와 도어트림 작업이 비교적 근래에 시행된듯 보여 아쉽게만 느껴집니다. 그 외에는 모두 순정상태로 남아있었습니다.



조수석에는 옛 기아자동차의 굴뚝로고가 찍힌 스피커가 탈거되어 있네요.


아마 30년간 고생했던 오래된 스피커를 탈거하고 신품 스피커를 장착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물론 실내가 조금 아쉽게 느껴집니다만, 디젤이나 5등급 차량도 아닌지라 적폐로 몰릴 일도 없고 30년이라는 세월을 깔끔하게 지내왔던 차량인지라 앞으로의 미래도 깔끔한 상태 그대로 오랜 세월 보존되지 않을까 싶은 생각입니다.


앞으로도 홍성에서 계속 굴러다닐테니 언젠가 도로 위에서 함께 달려보기를 소망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