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래저래 요즘 정신이 없습니다. 이사문제니 이런저런 복합적인 문제가 겹치고 겹친 와중에 티코 복원사업에 어느정도 지분을 가지고 있는 친구가 요즘 출퇴근용으로 티코를 사용하고 있답니다. 


그동안 한구석에 쳐박아두고 부품을 긁어모으거나 시동이나 가끔 걸어주던 티코가 매일매일 운행되고 있는 와중에 일단 눈에 가장 쉽게 보이고, 교체의 필요성이 있던 헤드램프를 교환하기로 합니다. 종전에 부품은 구매해뒀고, 약 3일간의 수배기간을 거쳐 손안에 들어왔답니다.



일단 기존의 헤드램프 상태를 말씀드리자면.. 뭐 폐급입니다.


나름 차주 아저씨께서 애지중지 하셨던 차량이라지만, 무사고 무빵차에 누군가가 박아서 좌측 휀다만 한번 교환했던지라 아무래도 출고 당시 제치로 추정됩니다. 한쪽은 반사판이 녹슬었고, 한쪽은 미등부분에 금이 가 있습니다. 구조상 미등과 헤드램프가 분리되는 줄 알았는데 일체형이더군요.



딱히 라이트를 켜도 켠 것 같지 않습니다.


이건 뭐 심각한 수준이니 당장 교환하도록 합니다. 장비야 다 있으니 우리의 손만 있으면 모든걸 해내겠지요. 분명히 그러리라 믿습니다.



미리 준비해둔 헤드램프 한쌍입니다.


헤드램프 유니트 - 좌 35301A78B10-000

헤드램프 유니트 - 우 35101A78B10-000


당진 대우부품점의 태그에는 초가집이 그려진걸로 기억하는데, 홍성사업소 태그에는 타지마할 비슷한 건물과 소 그림이 그려져 있습니다. 대체 저게 무얼 의미하는진 모릅니다. 가격은 각 4만 7000원씩. 차값에 비하면 비싼게 아닐까 싶긴 합니다만.. 요즘차량들보단 저렴하니 패스.



신품은 아주 빛이납니다.


다만, 4만 7000원씩이나 주고 산 물건임에도 라이트 전구 하나 끼어져있지 않더군요. H4 규격의 노오란색 필립스 전구와 T10 미등용 LED를 준비합니다. 어딘가에 깊숙히 박혀있다가 주인을 찾아서 제 역활을 하기 위해 나타난 우리의 헤드램프입니다. 부디 오래가길 소망합니다.



먼저 좌측 헤드램프부터 탈거하도록 합니다.


탈거를 위해 풀어줘야 할 자리를 먼저 파악합니다. 가뜩이나 좁고 꽉막힌 티코의 본넷 안에 연장이 들어가거나 사람 손이 들어갈 자리는 거의 없다시피 합니다. 무언가를 계속 탈거하거나 뜯어내서 공간을 만들어야 하고 카센터처럼 작업환경이 좋은 경우가 아니고서는 그냥 쌍욕만 나오는 수준입니다.



너무 과분하지 않나 싶은 필립스제 웨더비전 할로겐 램프 옐로우.

무려 인터넷 최저가가 삼만원대인 제품입니다.


스파크에도 비슷한 물건 중 싼거 끼웠는데 이건 차량가액 20만원대 차량에 과분한 수준의 전구가 아닐까 싶습니다. 친구가 하나 남는거 있다고 해서 그냥저냥 새 헤드램프에 새 전구를 조립해서 장착하기로 했습니다.


고정용 볼트를 풀어내는 과정까진 성공했지만 욕이 절로나옵니다.


고정볼트를 풀어봐야 뭐합니까. 더이상 안빠집니다. 헤드램프 전구를 물고있는 컨넥터가 빠지질 않습니다. 근 20년 가까운 세월동안 삭고 또 삭아서 그렇지 않나 싶네요. 거지같아서 그냥 단선시켜버리고 직접 선을 이을까 생각도 해봤지만 지렛대의 원리를 활용하기로 합니다.


수차례 지렛대에 힘을 주니 빠지긴 빠집니다. 


그래도 빠지니 다행이네요. 컨넥터가 빠지니 헤드램프 본체 역시 쉽게 잘 빠집니다.


순정품은 55W의 오스람 제품이군요.



근 20년동안 단 한번도 닦지 않았을법한 헤드램프 습기방지용 고무를 잘 닦아줍니다.


그러곤 물기를 단 한방울도 빠짐없이 깔끔하게 닦아서 끼워주네요.



미등 전구도 바꿔주고, 필립스제 노오란 라이트는 제 성능을 발휘합니다.


그 어떠한 이상증세 없이 아주 잘 맞습니다. 작동도 잘 되고 말이죠.


신품 라이트와 반사판이 다 썩어버린 구품 라이트(우측)의 비교.


시간문제상 일단 좌측만 교환하고 끝냈습니다. 조만간 우측 교체작업 역시 진행해보려 하네요. 곧 우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3월 1일에 차를 모셔왔기에 당일 이전은 불가했고, 등기우편으로 전 차주분께 인감과 양도증명서를 받는 방식으로 이전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등기우편물이 하나 도착했고, 곧 양도증명서와 매도용 인감을 가지고 당진시청으로 향했습니다.


이전에도 자동차 이전등록과 번호판 변경에 관련된 포스팅을 여러번 했던 사실이 있으니, 귀찮고 거창하게 구구절절 쓰지는 않겠습니다. 그럴만한 시간도 없어서 빨리 처리하고 시청을 빠져나오기도 했구요.





타 지역의 경우 차량등록사업소가 시군구청이 아닌 독립된 공간으로 나와 있는 경우도 있고, 대도시 지역에는 광역권으로 등록사업소가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합니다. 여러군데를 돌아다녀야 하는 타 지자체와 달리 우리 당진시의 자동차 등록 관련 된 업무는 시청에서 원스톱으로 해결이 가능합니다.



종전에는 자동차 등록 관련 업무창구가 제일 구석에 있었는데.. 잘 보이는 자리로 옮겨왔습니다.


은행 출장소를 제외하고는 시청 건물에서 유일하게 번호표를 뽑고 순번에 따라 일을 처리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연히 찾는 사람이 많은 민원창구이니 그렇겠죠. 창구도 다섯곳으로 확충된 상태이며, 등록면허세 창구와의 거리도 상당히 가깝습니다.


점심시간임에도 민원인이 꽤 있더군요. 제 앞에 계시던 분은 신규등록인데 주소지가 당진이 아니라 타지역 공채를 매입하는 문제로 담당 공무원이 열심히 설명을 해 주고 있더랍니다.



전 차주분께서 주신 양도증명서와 자동차매도용 인감. 그리고 자동차등록증입니다.


여기에 이전신청서를 하나 더 작성해서 제출하면 41번 42번 창구에서 취득세 고지서를 발부받은 뒤 건물 내 농협 출장소에서 취득세를 납부하고 오라 합니다. 불과 수개월 전만 하더라도 개인 매도용 인감의 매수자란에 수기로 작성해서 제출하던 모습을 분명히 봤는데, 어느순간에 바뀐건진 몰라도 법인인감처럼 타이핑으로 깔끔하게 나옵니다.



과세표준액은 346,000원. 그래봐야 납부금액은 0원. 도장만 찍어주면 됩니다.


삼십만원대 가치를 가진 차량입니다. 어짜피 경차라 취등록세는 면제고, 경차가 아니더라도 과세표준액 50만원 미만의 경우 취등록세가 붙지 않는걸로 압니다. 부동산 경매로 조그마한 땅을 여러필지 낙찰받아본 바 그렇다고 합니다.


그리고 3000원짜리 정부수입인지를 구매해서 가져옵니다. 전자수입인지로 바뀐 뒤론 a4용지 한장에 인지를 프린트해서 줍니다. 인터넷으로 인지를 구매한 결과물이나, 오프라인에서 구매한 결과물이나 별 차이가 없네요.



그동안 열심히 작성했던 신청서, 양도증명서, 인감. 

그리고 도장만 찍어온 취득세 고지서와 수입인지를 접수창구에 건네줍니다.


자동차등록증 발급수수료 천원을 더 내면 새 등록증을 바로 발급해 줍니다. 양윤경기자의 명대사 "이 차는 이제 제겁니다. 제 마음대로 팔 수 있는겁니다."를 여러분들께선 외칠 수 있습니다. 



등록원부를 한번 살펴보았습니다. 등록증에 나온 내용처럼 이전이 완료된 모습입니다.


생각해보면 간단하고 허무한 행정절차입니다. 바쁘다면 대행을 맏기고 하는게 당연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당사자들이 직접 등록기관에 내방하여 진행해도 무방한 작업이지요. 여러 사람들의 염원과 소망이 담긴 리스토어 프로젝트도 본격적으로 첫 발을 내딛었습니다. 앞으로 부디 별 탈 없기만을 기원하는 바램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