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포스팅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블로그기자단 과제 관련 포스팅입니다."



이번시간에는 "디지털카메라(이하 디카)"에서의 색온도 변화에 따른 촬영테스트를 진행해보려합니다. 지난번 비슷한글의 지정된 화이트밸런스를 이용하는것도 많은 분들께서 대부분 자동으로 놓고 다니실테지만 직접 수치로 된 색온도를 변화시켜 촬영하는경우는 더더욱 없으실 거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색온도의 수치도 적절하게 활용만 한다면 좋은 작품을 만드실 수 있습니다. 조금 심오하고 사차원적인 느낌을 내기 위해서 낮은 색온도를 활용할 수도 있을테고 말이죠. 그렇다면, 이번에는 색온도 변화에 따른 촬영테스트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이번에는 소니의 중급기 "Sony a700"과 "Minolta AF 24-85 F3.0-4.5"의 조화를 통해 확인해보았습니다! 구름의 이동이 굉장히 많은 상태라(즉, 하늘에 구름이 많았다.) 원하던대로 제대로 나오진 못했습니다;;ㅠ



참고로 이 이미지는 색온도를 모두 자동으로 놓은 상태에서 촬영이 된 이미지입니다.


낮은 색온도에서부터 쭈욱 올라가봅니다.

낮은 색온도에서는 차가워보이는 파란색이, 점점 색온도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따뜻한 빛을 내는것이 확인됩니다. 하늘을 본다면 조금 미세하게 느껴지겠지만(구름이 많이 끼어있던 날씨다보니..) 아파트 건물의 색상을 보면 확연히 조금씩 따뜻한 색감으로 변해가고 있다는것이 보입니다. 

개인적인 견해로, 조금 흐린날은 7000K~7500K정도가 가장 적정한 수준의 색온도라는 생각이 드네요ㅎ 화이트밸런스도 그렇고, 색온도도 그렇고 우리가 무심코 자동으로 맞추어놓고 잘 이용하지 않는 기능이였지만.. 생각난 김에 우리 한번 이용해보는건 어떨까 싶습니다!



내용추가. 피사계심도 테스트.

피사계 심도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흔히 말해서 아웃포커싱 효과가 있느냐 없느냐입니다. 조리개값을 조금씩 올려보면서,심도가 깊은 사진이 나오느냐 낮은사진이 나오느냐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참고로 쭉 내리시면서 보시길 권합니다.



수치가 점점 올리가면 올라갈수록 배경까지도 선명하게 나오며, 점점 낮아질수록 아웃포커싱 효과로 인해 초점이 맞는 곳만 선명하고 그 이외의 부분은 점점 흐릿해지는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글을 잘 읽으셨다면 손가락버튼을 눌러주세요. 로그인 없이도 가능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얼마전부터 부친의 패밀리카를 바꾼다고 해서 중고차 매물들을 자주 보고 있습니다. 이미 조금은 품격있게 살아야 할 50대 줄에 들어오셨고 그동안 경제적인 여력에 비해 오래되고 작은차를 타고 있었으며 이 차 역시나 좁아서 그리 다 큰 가족이 타고다니기에는 굉장히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지난 10월 말부터 저도 차 매물을 많이 인터넷으로 찾았고 그러던 어느 월요일 저한테 전화로 생활정보지에 나온 차를 본다는 말씀만 하신 뒤 설마 했건만 풀옵션에 혹하여 덜컥 계약금을 내고 오셨습니다.(오일 비치는거 잡아오고 이리저리 경정비가 필요한 부분을 모두 지적 하고 계약했답니다.)

당시 딜러의 말대로는 교환내역이 "좌측 앞 휀다" 및 "우측 뒤 휀다"(용접흔적이 없음으로 판금으로 추정) 이정도였고. 판사가 타다가 신차로 바꾸게 되어 내놓은 매물이라고 했습니다. 그렇지만, 자세히 확인해 본 결과 운전석 문짝도 제짝이 아닌걸로 의심이 갔고.(딜러는 아무 말 없었다 함) 자신도 전문가인데다가 옆에 잘 아는 현직 중고차 딜러 두명을 같이 끼고 봤지만 무엇에 홀린것인지 모두들 그 이외의 큰 흔적은 잡아내지 못했다고 합니다. 그렇게 차를 계약하고 와서 필자의 권유로 5000원을 들여 "카히스토리"를 확인하는데..


"소유자 변경횟수 5회" "자차 6회 및 견적 1800만원"

아무리 딜러와 상사를 옮겨다녔다고 하더라도, 석연치 않은 명의이전은 많았고. 결국 판사가 이전 오너였더라도 앞에 잠깐 탄거 그 이상은 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자차견적이 1800만원이나 나온것도 굉장히 석연치 않았는데..


최근 7월에만 총 세번의 수리가 있었습니다. 워낙 부품이 비싼차량이다보니 살짝만 긁고 가도 백만원 가까이 보험처리가 된다는건 어느정도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휀다 교환 및 판금과 어느정도 이전 기록은 맞아떨어짐)

7월 17일 하루에만 천 백만원이 넘는돈이 자차처리가 되었다는게 무언가 석연치 않았습니다. 이건 무사고라도 단순교환이라고도 보기 힘든 대파차량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고 뭡니까.
(처음에는 탑갈이 한 차라고도 추측했으나. 탑갈이는 아니였다.)

딜러에게 항의차원에서 전화를 해 보니 7월 17일 문제의 1200만원 가까운 견적은 에어서스를 교환한 내역이라 내역서를 뽑아다 준다고 했고.. 결국 대파차라는 중요한 사실을 알리지 않았던 이 계약은 파기되었고 계약금은 돌려받았습니다.

P.S 앞 번호판도 살짝 구겨진것을 편듯한 느낌이 있었고 이후 내역서를 본 결과 에어서스 교환이 된 차량이였으나, 무슨 서스에 도색하는것도 아니고. 논바닥같은데로 굴러떨어져서 서스가 나가고 주변도색을 한 차량으로 결론내렸습니다.(+앞문짝)

↑ 그 차량의 인터넷상 매물을 구글링을 통해 찾아내었다.

결론적으로. 단순교환도 아니고 무사고는 더더욱 아닌 차량이 되어버렸죠.

아무리 상사를 옮기거나 딜러간의 거래로 인한 명의변경이라 하더라도 중간에 한번 매물로 나왔다가 다른사람이 타다가 다시 상사로 넘어왔던 차량이 어떻게 1인신조라 말할 수 있을까요.

세상에 개인직거래만큼 정직한 딜러분들도 많으실거라 믿습니다.
대파차라고 먼저 고객에게 말을 해주는것과, 이후 알아서 찾으면 재수가 없던것이고 그냥 차와 함께 양심도 팔겠다며 말을 해주지 않는 것은 큰 차이가 있습니다. 이 사실을 인지하고라도 차량을 구매해 갈 의사가 있던 소비자더라도 자신이 속았다는 사실에 큰 분노를 느끼겠죠.

지금은 많이 근절하기위해 노력을 해왔고 많이 근절되어왔지만, 허위매물들이 실 매물인것마냥 활개치는것과 주행거리에 따라 차값 차이가 많다보니 주행거리 조작도 꽤 있었고 이러다보니 너도나도 중고차를 믿을 수 없다고 느껴지는 현실까지 도달하게 되었습니다. 한명의 딜러의 잘못으로 인해 다른 딜러들까지 피해를 보는 지금의 상황속에서, 아무래도 중고차를 믿고 구입하긴 힘들 것 같습니다.

언제쯤이면 중고차를 사는 소비자도 알 권리를 모두 누려가면서 딜러를 믿고 살 수 있을까요. 그날이 꼭 오기만을 기다려봅니다.

"이 글을 잘 보셨다면 손가락버튼을 눌러주세요. 로그인 없이도 가능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