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 2004년 하이텔과 한미르의 통합으로 탄생한 포털사이트 파란이 결국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작년 말, 올해 초부터 파란의 서비스 종료에 대한 루머가 많이 돌았지만 그동안 KTH측에서는 이 사실을 부정해왔습니다만 얼마전 최종적으로 포털사이트 파란의 존폐에 대한 논의를 마치고 결국 포털사이트로써 파란은 문을 닫게 되었습니다.


나름 깔끔한 UI와 티스토리 못지 않은 자유도를 자랑하는 블로그. 

그리고 우리나라 포털중 처음으로 기가바이트급 메일 저장용량을 지원해주었던 파격적인 포털임에는 틀림없었습니다만, 결국 네이버공화국인 이 나라에서 2위 포털인 다음조차도 네이버 의존도가 높은데.. 살아남기는 힘들었습니다.



파란닷컴의 서비스 종료 안내메일이 지난 6월 15일 발송되었고, 같은날 언론에도 이 사실이 공개되었습니다. 많은 이용자들이 안타깝다는 의견도 남겼지만, 한편에서는 전혀 수익이 날 것 같지 않은 포털서비스를 접는것이 당연한 수순이 아니였나 라는 의견도 나오게 되었습니다.


뭐 푸딩얼굴인식을 비롯해서 아임인같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큰 대박을 낸 KTH로써는 앞으로 모바일분야에만 집중해도 될 명분이 생긴것입니다. 얼마전 버디버디가 역사속으로 사라진 이후, 한미르와 하이텔이 합쳐져서 그 명맥을 이어오던 또 여러사람들의 추억속의 포털이 사라지는 형국입니다.


위는 파란 메인페이지의 팝업 안내문입니다.


파란 메일은 다음메일로, 파란 블로그는 티스토리로 서비스가 이전됩니다. 

파란메일의 경우에는 DAUM메일로 이전되고, 파란 블로그의 경우에는 TISTORY로 이전된다는 사실입니다. 우리 티스토리에 새로운 이웃들이 대거 유입되는 것이지요. 확실히 다음블로그로 통합하는것보다는 포털사이트의 블로그임에도 자유로운 스크립트 수정이 가능하고 애드센스 삽입이 가능한 파란 블로그의 특성과 티스토리가 얼추 맞아떨어지다보니 다음 블로그가 아닌 티스토리로의 통합이 결정되었나봅니다.



파란 블로그와 메일은 다음으로 옮겨가고 몇가지 서비스는 유지됩니다만,

파란 메인포털과는 크게 관련이 없이 별도로 운영되던 서비스들입니다. 심지어 유지되는 서비스중 하나인 PLAYY의 모 게임에서는 KTH 파란아이디를 통해 접속을 하는 게임이면서도 네이버 검색창에 자신들의 게임 이름을 검색하면 하루에 몇번씩 포인트를 주기도 하더군요. 자사 서비스인 파란에도 검색서비스가 있지만 네이버 검색창에 검색을 하면 포인트를 주는걸로 생각하면 이미 파란검색은 자사 서비스에게도 천대받는 형편이 아니였나 싶습니다.


P.S 비슷하게 네이트에서 "왜 떴을까"를 50개 클릭하면 도토리 하나를 주는 이벤트를 진행했었는데, 이로인해 네이트는 검색점유율을 꽤 높일 수 있었다. 단순히 도토리 받기위해 열심히 클릭했을 사람들이 높여준 수치임에도 말이다. KTH PLAYY의 모 게임에서 보듯이 사내에서조차도 파란의 형편없는 검색점유율을 전략적으로 높이는것보다 네이버 게임검색순위에서 조금이라도 상위로 올려서 압도적인 네이버 이용자들로부터 관심을 받는 방법을 택한걸로 보아 파 이미 파란서비스의 망조는 보였던걸로 생각됩니다.



하지만 티스토리와 파란블로그의 통합은 조금 우려됩니다.


작년 7월 말. 파란블로그에서는 첨부파일의 외부링크를 제한했었습니다만, 정상적으로 보기 어려운 이용자들이 대다수인 파란블로그의 수많은 이용자들은 적반하장의 태도를 보이면서 반항하는등 논란이 있었습니다. 정상적인 이용자의 수가 현저히 적고, 비정상적인 이용자들이 웹하드의 용도로 이용하는경우가 더 많은 파란블로그의 특성상 쇼핑몰 용량을 아끼기 위해 파란블로그에 업로드한 이미지를 이용하고, P2P 상품홍보글에도 마찬가지로 이용하고 있었으며. 그러한 용도가 아니더라도 파란의 이미지 스크립트를 다음이나 네이버등 타사 서비스에 게시하는 경우도 다반사였답니다.



자신들에게는 득이될게 하나 없는 일들로 트래픽만 유발시키는걸 파란으로써는 당연히 차단하는게 옳은일이지만, 많은 이용자들의 반대에 부딪혀서 지금은 비정상적으로 이용하는 이들마저도 거의 떠나간 시점인데다가 베스트블로그로 선정된 블로거들중에도 약 30%정도는 새글이 올라온지 한달 이상 된 블로그인걸로 봐서도 정상적인 이용자의 폭이 좁다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이용자라면 모르겠는데, 비정상적으로 단순히 사진등을 링크하기 위해 이용하는 파란 블로그 이용자들이 티스토리로의 서비스 이전을 노리고 재등장 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파란 고객센터에 직접 확인한 결과 파란블로그 이전자의 경우에는 초대제로 운영되는 티스토리의 초대장 없이도 이전을 위한 티스토리 계정이 생성된다고 합니다. 정상적인 파란블로거들만의 이전이라면 참 좋은일이라지만 이전의 불량적인 이용을 해오던 이용자들이 티스토리를 비슷한 용도로 이용하기 위해 유입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반대로 생각해본다면 편법이긴 합니다만 티스토리 블로그 개설을 원하는 분들중에 초대장을 받기 힘들다면 지금이라도 파란 가입해서 7월 2일에 티스토리로 이전을 방법을 노려도 되지요. 


티스토리도 자주 링크되는 외부사이트 몇군데에 한해 플래시파일에 한해 외부링크의 제한을 걸어두었다고 하지만 이미지에 대해서는 큰 규제가 없습니다. 파란 비정상 이용자들이 이번 기회로 하여금 티스토리로 유입되어서 이전에 파란에서 행해오던 일들을 계속 해온다면 티스토리 또한 비정상적인 이용자들로 인해 선량한 이용자들이 피해를 상황이 일어날수도 있지요.


파란이라는 좋은 서비스가 사라지는것은 안타깝습니다만, 티스토리 이용자중 한명으로써 파란블로그에 정상적인 이용자의 비율이 적다는것을 생각해본다면 우려되는게 지금의 현실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구글 애드센스 수익이 나왔습니다.


이번이 네번째 환전인가 그랬던걸로 기억하는데, 그동안 한번은 국제우편으로 받게되어 집 가까운 농협에서 환전을 받았고 나머지 두번은 "웨스턴유니온"을 통해 지급을 받았기 때문에 기업은행 당진지점에 가서 환전을 받았었습니다. 기업은행 일반통장과 외화통장 두개를 개설해두고, 매번 반반씩 달러와 원화로 분할해서 돈을 넣어놓습니다. 외화통장은 빼서 쓸 일이 없다보니 그냥 놔두고, 일반통장은 연동된 체크카드를 통해 능동적으로 돈을 사용하고 있답니다.


마침 보강주간인데다가 강의가 없길레, 고장난 핸드폰 충전기도 A/S센터에 가서 맏기고 애드센스 수익금도 환전하기 위해 병원 외래를 보고 성정동쪽으로 나왔습니다.



당진지점 이외의 기업은행 지점은 처음가봅니다. 예전에 강남갔을때 통장정리 몇번 했던적은 있지만, 이렇게 그냥 창구로 들어가기는 아무래도 처음인가봅니다. 지점 이름이 굉장히 깁니다. 


"기업은행 천안성정롯데마트지점"


아아.. 이렇게 긴 은행 지점명은 처음보는 것 같습니다. 여튼 계산대 안의 물건이 있는곳에 위치해있는 형태가 아니라, 마트의 한구석에 입점해있는 형태입니다. 사실 이 주변에 기업은행 지점이 없는걸로 추정되서 쌍용동까지 가려고 했지만 다행히 이곳에 있더군요. 걸어서 조금만 걸으면 삼성 서비스센터도 그 옆에 바로 있고 말이죠.. 여튼 일석이조 아니 일석삼조의 효과를 볼 수 있었던 곳입니다.

(삼성전자 서비스센터와 반대편에 바로 농협이 있어서.. 농협도 가서 볼일좀 봤네요.)



기업은행 지점 안입니다. 기업고객들이 많이 찾는 은행이긴 하다보니 다들 한번 창구앞에 서면 꽤 오랜시간을 창구 직원과 업무처리를 하곤 합니다. 제가 갔을때만 봐도 어떤 회사에서 나온듯한 아저씨도 한참 얘기하고 계시고 베트남사람 몇명도 베트남으로 돈을 보내기 위해서 한참을 창구에 있더군요.


뭐 저도 이것저것 처리해야 할 일이 한두가지가 아니라 창구에 오랜시간 머물렀답니다.



이번에 지급받을 금액은 120.64달러입니다. 총 환전금액은 139,809원이 나왔네요.


MTCN번호를 능숙하게 적고, 이름은 당연히 영어로 적고.. 이렇게 저렇게 서류를 작성하고 잠시 후 창구직원이 열심히 자판을 두드리고 마우스를 클릭합니다. 한참이 지나서 120.64달러라는 쌀국 돈은 대한민국의 원화로 환전되어 나오더군요. 사실 구글측에서 지급하는 달러는 원화로 환전하여 지급되게 만들어두었기 때문에 외화통장에 넣기 위해서는 다시 환전을 해야합니다. 외화 그자체로는 외화통장에 들어갈 수 없다는 것이죠. 그렇게 때문에 지급된 금액중 6만원을 그냥 환전해서 외화통장에 집어넣어봅니다.


6만원을 다시 달러로 환전해서 외화통장에 집어넣었습니다. 딱 51달러가 맞추어지더군요.


사실 환전한 외화를 다시 산다는것 자체가 손해이긴 하지만 그냥 상징적으로 외화를 남겨두려는 의도이기 때문에 크게 여의치는 않습니다. 기업은행에서 이런방식으로 환전을 여러번 하다보니 이대는 우대환율을 적용받고 환율수수료도 면제를 받는 우수한(?) 고객이 되었습니다. 오래 거래해봐야 2년정도밖에 안됬을테고 그렇게 오래 거래한것도 아닌데 창구직원도 여튼 의아해하더군요. 그렇게 외화통장도 애드센스 한번 환전할때의 금액정도가 모였습니다.



그렇게 집에와서 복잡한 종이들을 정리하면서 다시 살펴봅니다.


가장 위에는 웨스턴유니온 신청서고 그 아래는 지급받은 약 14만원의 금액 계산서. 그 아래는 다시 산 51달러에 대한 계산서. 그 아래는 외화통장으로 입금된 계산서입니다.


여튼 또 한번의 애드센스 환전을 마쳤습니다. 한번 계정이 정지를 먹고서 수익률이 급격하게 떨어지긴 했지만 간혹가다가 한번 이렇게 용돈으로 쓰라고 들어오는 돈은 얼마나 반가운지 모릅니다. 덗분에 썰어먹는 햄버거라는 문화적 충격을 느끼게 해준 크라제버거도 가서 오랫만에 먹어보고 여튼 즐겁게 집으로 돌아왔답니다.


물건을 제공받았다고 명시를 해두고 직접 자신의 사용기를 쓰는 방식은 괜찮다고 생각하나 직접 써보지도 가보지도 않고 해본것처럼 글을 쓰고 누군가가 신청을 하면 커미션을 받는 형태의 블로그 전체를 광고판으로 이용하는 수익창출은 해보라고 요즘에도 몇번씩 방명록에 제의가 들어와도 할 생각도 없는데다가 블로그의 순수한 목적인 1인 미디어로써의 사실적인 정보전달에 위배된다는 생각이니 그런 방식을 이용해서 수익이 늘어날 일도 없습니다. 그리고 그렇게까지 블로그를 돈벌이를 위해 한다는 느낌은 받고싶지 않습니다. 


오르지 수익만을 위한 블로그는 하고싶지 않습니다. 주제없이 이광고 저광고로 떼우는 블로그도 하고싶지 않습니다. 수익이라는것은 소소한 수준에서 만족하고 글을 위해 투자하는 이런저런 비용을 회수하거나 재투자하는 정도 혹은 가끔씩 있는 이벤트때 방문자분들께 다시 보답하는 비용과 글에대한 작은 수고비 수준으로만 생각하고 싶습니다.


"이 글을 잘 읽으셨다면 손가락버튼을 눌러주세요! 로그인 없이도 가능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