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488건

반응형


인구 48만. 50만에 육박하는 인구를 가진 평택시의 시외버스터미널 시간표입니다.


물론 흔히 평택이라 부르는 동네인 "평택,송탄"과 꽤 멀리 떨어져 있고 생활권을 달리하는 서쪽의 "안중,포승,청북"을 포함한 인구지만, 인구 50만 수준의 동네 치고는 버스터미널이 작고 초라합니다. 애초에 경부선 철도가 지나가는 지역인지라 철도교통이 발전하였고, 지금도 역시 버스보다는 기차가 평택 시민들에겐 우선이 아닐까 싶습니다. 뭐 경부선 고속철도도 있고, 수서고속철도 있으니 말이죠.


그렇지만 철도가 지나지 않는 평택 서부권 주민들은 버스편을 이용합니다. 이 버스들은 거의 대부분이 그곳에서 평택터미널을 경유하여 전국으로 향하지요.



평택터미널은 생각보다 작고 초라합니다. 물론 평택역 옆에 붙어있어서 환승은 용이하지요.


고속터미널과 시외버스 및 시내버스를 탈 수 있는 공영터미널이 따로 분리되어 있습니다.





뭐 건물 규모도 시골 터미널 수준인지라, 실내도 매우 비좁습니다.


그럼에도 인구 50만에 육박하는 평택시의 터미널인지라 사람들로 미어터지네요. 언젠가는 시외 고속 시내버스가 통합된 커다란 터미널이 생겨날지 앞으로 수십년이 지나도 이 모습을 유지할지는 모르겠습니다.



평택터미널의 시간표입니다.


기차로도 충분히 갈 수 있는 구미 동대구같은 노선들이 보이긴 합니다만, 대부분은 철도를 이용하기엔 애매한 곳들입니다. 특히 강남권인 서울남부터미널행 버스는 10분~20분 간격으로 다니네요.


서울/경기/인천권


서울남부 동서울 야탑(성남) 인천 안산 부천 김포 강화도 의정부 고양 동탄 김포공항 인천공항

안중 포승(해군기지) 안성 일죽 두원공대


강원권


속초 춘천 문막 원주 강릉


충청권


제천 충주 청주 세종시 대전복합 아산 온양(시내버스) 남서울대(성환) 천안 당진


영남권


동대구 구미 거제 


호남권


광주 전주 군산


생각보다 노선이 촘촘합니다. 특히 생각외로 강원권 노선이 놀랍네요.



요금표입니다. 일부 경유지 요금과 시내버스 요금도 함께 표기되어 있습니다.



아산(온양)방면 시내버스 시간표입니다.


평택에서 출발하는 버스는 모두 둔포를 경유하여 내려갑니다만, 경유지가 음봉이냐 영인이냐로 갈리네요. 시내버스 치곤 꽤 긴 거리를 운행하는 노선입니다만 20분꼴로 출발합니다.



이게 승강장이야? 싶은 평택터미널의 승강장.



온양행 512번 시내버스가 대기중인 희미한 라인이 탑승게이트입니다.


저 자리에 선 버스를 그냥 쉬는 차량인줄 알고 보내지 마시고 꼭 탑승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고덕"이라는 지명을 가진 동네가 대한민국에 세군데가 있습니다.


먼저, 가장 많이들 알고 계실 서울특별시 강동구 동쪽에 있는 고덕동.

그 다음으로 삼성반도체공장과 고덕국제신도시 개발로 이름을 알리고 있는 평택시 고덕면.

그리고 '고덕갈비'로 유명한 예산군 고덕면입니다.


평택시 고덕면과 예산군 고덕면은 한자도 동일합니다. 물론 평택시 고덕면은 신도시 개발 이후 읍승격 혹은 동탄면의 분동처럼 역사속으로 사라지겠지만, 당분간은 많이들 혼동하리라 생각됩니다. '고덕IC'라는 이름을 당진대전선이 지나가는 예산군 고덕면에서 먼저 선점한지라, 올해 6월 영업을 개시한 평택제천선의 평택시 고덕면에 지어진 영업소에는 '평택고덕IC'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뭐 여튼 예산군 고덕면은 예산에서 농어촌버스를 타도 한참 돌고 돌아서 오고, 합덕이 훨씬 더 가깝습니다만 그렇다고 합덕에서 들어오는 버스도 많지 않습니다. 여러모로 도로교통은 편리하나 대중교통이 빈약하던 예산군 고덕면에 지난해 11월부터 시외버스가 정차하게 되었습니다.



고덕면과 봉산면 경계의 도로변에 세워진 고덕정류소는 예산군 봉산면 대지리에 소재해 있습니다.

고덕중학교 바로 밑, 마트가 매표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A-마트 간판이 걸린 이곳이 바로 고덕정류소입니다.


동서울터미널,남부터미널,성남(야탑)행 버스가 정차합니다.

하행 차량은 내포신도시와 홍성 광천을 경유하여 보령까지 내달립니다.



남부터미널행은 일 2회. 성남(야탑)행은 일 4회. 동서울행은 일 5회 정차합니다.


서울 및 성남까지의 소요시간은 약 1시간 25분에서 1시간 40분정도입니다. 바로 고덕IC를 통해 고속도로에 올리기에 사실상 이곳에서는 직통이라 봐도 좋지요. 이 정류소가 소재한 국도 제 40회선을 지나가지만 정차하지 않는 당진발 군산행 차량도 부디 빠른 시일 내에 정차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마트'라고 적힌 간판 앞에 기다리고 있으면 버스가 정차합니다.


물론 시외버스만 정차하며, 농어촌버스는 고덕중학교 방향으로 조금 올라가서 정차합니다.



하행 차량은 반대편 정류장 표지판 앞에 정차합니다.


이곳에 정차함으로 인해 다른 목적지까지 늘어나는 소요시간은 약 30초 이내로 예측됩니다. 국도의 확장이 예정되어 보상절차가 진행중인 곳으로 하행 정류장의 경우 수년 내에 달라진 모습으로 손님을 맞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