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497건

반응형


"저렴한 가격에 양도 많고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순대국밥이란 없을까?"


어쩌다보니 주말에 인천 구경을 하게 되었다. 오뚜기부대 전차운전병인 잘 아는 익명의 한 형을 만나기 위해 서울로 가게 되었지만, 모종의 이유로 인하여 서울에서 인천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정체되는 서울 시내를 씹어삼키고 인천으로 향하게 되었는데, 밥을 먹기는 조금 이른 시간이였지만 그래도 저녁시간대가 되기는 했기에 동인천역 부근의 송현시장으로 향하게 되었다.


어감이 그닥 좋은 기억을 떠올리게 하지는 않는다. 어디까지나 필자한테는....



인천 송현자유시장의 순대거리다. 한때 재래시장 탐방을 나가던 그때가 생각이 난다....


기차타고 버스타고 이리다니고 저리다니고 했었는데.. 막상 그때가 아프던때라 추억만이 아련하다. 진통제 먹어가면서 시장 한바퀴 돌던게 어찌 힘들었던지... 여튼 그시절 기억은 그렇다 치자. 동인천역 후문 광장 주변으로 이렇게 순대국밥집이 몰려있는 거리가 있다. 인천이라는 도시가 충청도 서해안지역과 전라도 서해안지역에서 이주해온 이주민들에 의해 규모가 커졌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먹고살기 힘든 시절에 주변에서 일을 하는 타지역 이주민들에게 저렴하게 한끼 식사를 제공해주던 그런 골목이 아닌가 싶다.



필자 일행이 찾은 식당. '송현 순대국'


식당 명칭이 '송현식당'인지 '송현순대국'인지 '송현왕순대'인지 헷갈리지만 여튼 송현동 순대거리에 있는 식당이다. 이곳으로 오게 된 이유는 같이 온 형이 한번 방문했던 식당이기 때문..



순대국과 일반 국밥이 메인메뉴기는 하지만 곱창전골과 볶음을 비롯한 메뉴가 있기는 하다.


골목에 주변 식당들과 가격은 사실상 동일하다. 역시나 어딜 가나 곱창은 비싸다만, 우리는 간단히 순대국밥을 먹기 위해 왔으니.... 자리에 착석하고 국밥을 주문한다.



식당은 평범하다. 초라하다 할지 몰라도 국밥은 이런 집에서 먹어야 제맛 아닌가?


협소해보이기는 하지만 2층에도 자리가 있다고 하니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될 듯 하다. 수십년 지난 이 식당에서 끼니를 채우고 묵묵히 일터로 나가던 그 사람들과 같은 공간에 공존하고 있다.



주방이 바로 보인다. 주방에서 조리를 하는 사장님의 모습 역시나 볼 수 있다.


여타 국밥집과 다르게 특이한점이라면 조리시에 다대기나 들깨가루등의 첨가물을 넣어서 손님 상으로 가져오신다. 그래서 그런지 단골손님이라던가 특별히 좋아하는 부속물이 있다면 취향에 따라서 주문시에 얘기를 해 줘야 한다.



여타 국밥집과 반찬류는 동일하고, 간만 새우젓으로 맞추면 된다.


어쩌다보니 필자는 일반 국밥을, 같이 가게 된 형은 순대국밥을 먹게 되었다. 주문에 착오가 있었기는 한데, 순대가 들어갔느냐 아니면 기타 다른 고기나 부속물들이 많이 들어갔느냐의 차이일 뿐 그닥 크게 차이는 없어보였다. 다대기를 다 풀고 칼큼하고 땀을 부르는 그 맛을 진지하게 느껴보았다.


물가가 많이 오르긴 올랐나보다. 요즘 동네 국밥집만 가도 7000원에 간에 기별도 가지 않게 돼지가 목욕하고 간 국밥을 끓여서 나오곤 하는데 도시 한가운데에 있는 식당임에도 6000원이라는 가격에 이렇게 푸짐하게 먹을 수 있다는 사실 자체가 기쁠 뿐이다.



밥도 콩알만큼 주는 식당들이 있지만, 푸짐하다. 모든게 다 푸짐해서 좋을 뿐이다.


국밥에서 빠질 수 없는게 밥이 아닐까 싶다. 가끔 밥 공기에 미처 모자라게 밥을 넣어놓고 한공기라고 팔아먹는 식당들이 있긴 하지만 푸짐하다. 그냥 푸짐해서 좋다. 모든게 다 푸짐하고 만 이천원이라는 저렴한 가격에 큼지막한 사발에 담긴 국밥을 맛있게 먹을 수 있다는것 그 자체만으로도 좋을 뿐이다.



화장실을 가기 위해 국밥집 2층으로 올라오게 되었다.


확실히 오래된 건물. 전형적인 6-70년대 혹은 그 이전의 건축물. 가파른 계단을 타고 올라간 곳에는 허름하지만 화장실이 있었다.



다마가 나갔다고 사장님께서 얘기를 해주시던데 다마를 놓을 자리도 없을정도로 머리도 닿을듯 말듯 한 화장실이였다. 키 큰 사람은 화장실 들어가기도 힘드리라 생각된다. 


한창 산업화가 진행되던 그 시기. 시골에서 잘 살아보자는 부푼 꿈을 안고 인천으로 먹고 살기 위해 배를 타고 올라온 충청도와 전라도 이주민들.. 그들은 현재 인천에 잘 정착하여 중산층 이상으로 나름 행복하게 살고 인천의 중심이 되어 있는 시대가 되었다. 현직 인천시장 송영길씨도 사실상 전라도 이주민이고 전임 시장 안상수씨도 충청도 태안 이주민이니 말이다.


밥 굶는 사람도 없을정도로 발전한 대한민국에서 하루하루를 연명하기 위한 그런 음식이 아닌 별미로의 순대국밥, 그 시절을 생각하며 사장님의 인심과 함께 먹을 수 있는 그러한 순대국밥을 먹고싶다면 인천 송현동으로 달려가자. 송현동 송현 순대국집으로.......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전국에 흔하디 흔한게 중국집이고 저렴하게 한끼 식사를 떼울 수 있는 짜장면과 짬뽕은 모두가 좋아한다.

진짜 중국 본토에는 없는 음식이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없어서는 안될 음식이 되어버렸다.


우리에게 친숙한 만큼 강력하고 자극적인 합성조미료 미원으로 우리의 입맛을 길들여놓은것도 중국집이 아닐까 싶다. 오늘은 서산 해미의 중국집 영성각에 대해서 소개를 해볼까 한다. 해미읍성 바로 앞에 위치해있는데 줄 서서 기다려 먹어야 할 정도다.



주변 거리는 옛 정취가 물씬 풍겨져온다. 그냥 평범한 시골동네 중심가치곤 매우 번잡한편.



중국집 영성각임을 알리는 요란벅적한 한문이 가득하다. 사람이 많고 하다보니 통행에 방해를 주는 유모차는 출입금지. 개념없는 애엄마들은 분명히 따질테지만 당신 애들만 소중한건 아니니 충분히 배려해서 유모차는 차에 실어놓고 오던지 밖에 세워놓던지 하면 될 듯 하다.



줄서서 먹을정도의 중국집이라고 반찬이 특별하냐? 그건 아니였다.


그냥 어느 중국집에서나 맛볼 수 있는 춘장과 양파 단무지가 기본으로 나온다.



유명한 중식집이라고 해서 가격이 아주 비싼편은 아니다. 동네 중국집보다는 조금 비싼 편.


손님이 많다보니 알바생들도 꽤 된다. 알바생들이 이리저리 옮겨다니고 그중에는 조선족인지 중국인 유학생으로 추정되는 사람도 있었다. 손님이 많다보니 준비해두는 음식도 많을테고 기다리는 시간 없이 금방금방 요리가 나온다.



실내를 수많은 사람들이 가득 매우고 있다. 테이블 회전률도 빠르다.


다 먹고 농땡이 까면서 테이블 차지하고 있기엔 미안할정도로 손님이 많이 오니 다 먹으면 다들 알아서 뒷사람들을 위해 빨리빨리 자리를 비켜준다. 보통은 두사람 세사람정도의 일행이 오나 대여섯명 이상이 들어오는 경우도 있었다.



해미 영성각표 탕수육. 탕수육은 소스를 부어먹는 부먹이냐 찍어먹는 찍먹이냐를 놓고 서로 취향따라 어떤 방식으로 먹는게 더 맛있다고 싸우곤 하지만 대부분의 식당에선 부워져서 나온다.


탕수육 맛은 그럭저럭 보통. 소스에 신선한 야채들이 비교적 많이 들어 가 있었다.



짬뽕을 시켰다. 동네 중국집 입맛에 익숙해져서일까.. 

영성각 짬뽕은 무언가 부족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나트륨과 합성조미료의 뒤끝이였다.


여느 중국집들 짬뽕국물이 아주 짜다못해 쓴 경우도 있고, 합성조미료의 여파로 인해 뒷맛이 그리 깔끔한편은 아닌데, 아주 짜지도 않은 짬뽕이 있다는건 충격이였다. 해산물이나 기타 부재료들도 신선한편.



같이 간 친구는 짜장밥을 시켰다. 짜장에 밥 비벼 먹는 그냥 평범한 짜장밥이다.


먹어보지는 않았으니 맛은 모름...



장사가 아주 잘 된다. 왜 잘 되는지 알만했다..


동네 중국집의 조미료맛에 익숙해져서 그 맛의 진가를 알아차리지 못할 뻔 했지만 짬뽕에서 느껴지는 자극적이다 싶을정도로 과한 맛이 빠졌다. 짬뽕 본연의 맛을 느낄 수 있던 하루였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