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주시 유구읍. 인구 8천5백여명 수준의 공주시 북부의 작은 읍소재지지만, 터미널이 존재합니다.


뭐 공주 자체가 지금 쇠락을 거듭하는 동네다보니 유구도 그 흐름을 거역 할 순 없는 상황입니다. 재벌집단인 웅진그룹의 윤석금 회장의 고향이 바로 유구읍인지라 고향에 대한 애착으로 코웨이와 웅진식품의 공장을 유구읍에 지었습니다. 2013년 법정관리 이후 코웨이는 다시 웅진그룹에서 되찾아 왔고, 웅진식품은 현재 사모펀드 한앤컴페니에서 매각을 진행중입니다.


대원고속에서 이곳을 기점으로 삼아 성남과 서울행 차량을 운행중이고, 예산군 아산시와 나름 경계를 접하고 있는 지역인지라 예산군 농어촌버스도 이곳까지 들어옵니다. 아산시 시내버스는 작년부터 노선이 단축되어 들어오지 않지만 말이죠. 여튼 이 작은 시골동네의 버스 시간표입니다.





시외버스와 시내버스가 나란히 정차합니다.


수도권 방향 노선으로 아산(온양)과 천안을 거쳐 성남과 서울로 가는 차량이 존재하고, 당진-대전 고속도로 개통 이후 대전발 충남 서북부 서해안권 완행차량들이 다수 고속도로 경유로 전환되었기에 예산 종착 시외버스를 제외한다면 그리 많이 남지는 않았습니다.



작은 터미널에 상가가 꽤 많이 입점해 있습니다.


파리바게뜨,병원,약국 등등... 의외로 대합실이 좁더군요. 여튼 매표업무는 세븐일레븐 편의점에서 맏고 있습니다. 표를 구입하기 위해서는 카드전용 무인발권기를 이용하거나 세븐일레븐 편의점에 들어가 알바생에게 발권을 받아야 합니다.



2층 병원으로 올라가는 계단.


그 앞으로는 약국과 사용하지 않는 파리바게뜨 후문이 보입니다.



서울행은 남부터미널행입니다. 요금표는 확대하시면 편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남부터미널행은 일 7회. 성남(야탑)행은 일 2회. 천안까지만 가는 차량은 일 1회 존재합니다. 고속도로를 거치지 않고 공주를 거쳐 유성과 서대전으로 넘어가는 차는 일 14회 존재하고요. 정산종착 1회, 예산 홍성 서산방향 차량들도 일 14회 존재합니다.


 예산 홍성 서산방향 차량 중 서산 태안행은 그냥 공주로 가서 고속도로 경유 차량을 타는게 이득이고 완행을 탈 이유가 없기에 제쳐두고요 일 9회는 예산종착. 나머지 차량들은 예산을 경유하여 내포신도시와 홍성까지 넘어가거나, 일 1회 합덕을 거쳐 당진으로 가는 차도 남아있습니다.  



시외버스 시간표 옆으로 시내버스와 함께 기재된 시간표가 또 있네요.


공주행 시내버스는 30~40분 간격으로 밤 10시 10분까지 운행합니다. 또한, 예산행 농어촌버스는 일 4회 사곡을 거쳐 청양의 정산까지 내려가는 버스는 직행 시외버스 1회를 제외하고도 일 2회 시내버스가 들어갑니다. 나머지는 유구 읍내에서 그리 멀리 떨어지지 않은 마을행 버스들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인구 31만의 충청남도 제 2의 도시 아산시의 유일한 시외버스터미널 시간표입니다.


자잘한 정류장들은 많습니다. 경부고속선과 장항선 철도에 수도권 전철까지 지나가는지라 기차역도 꽤 있고요. 여튼 이러한 아산시 중심부. 온양이라 불리는 옛 온양시 지역의 중심에 있는 터미널이 오늘의 주인공입니다.


지난 1989년 온양시외버스터미널로 영업을 시작하였으며 노후화된 터미널 건물은 2012년 재건축에 들어가 2014년 지금의 건물로 새롭게 태어났습니다. 이후 명칭이 온양에서 아산으로 바뀌게 되었고, 바로 옆 고속버스 터미널도 새 건물을 지어 2016년에는 시외버스와 고속버스 터미널 모두 크고 아름다운 지금의 모습을 가지게 되었답니다.


여튼 오늘은 2014년 멀티플렉스로 다시 태어난 아산시외버스터미널의 시간표를 가져왔습니다.



최근 터미널 앞으로 시내버스 환승센터가 생겨났습니다.


뭐 인구 30만 도시에 버스가 다녀봐야 얼마나 다니겠습니까. 어쩌다 한 두대 들어오고 말더군요.



지상 8층규모의 거대한 멀티플렉스 터미널입니다.


롯데시네마와 롯데마트 그리고 이랜드 복합관과 웨딩홀이 이 거대한 건물 안에 다 들어가 있습니다. 물론 터미널이 본래 목적인 건물이지만, 터미널 면적은 어중간한 중소도시 터미널 수준밖에 되지 않더군요. 여튼 건물은 크지만 순수 터미널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공간은 그리 넓지 않습니다.





매표소와 약국. 건너편으로는 작은 분식점과 식당이 터미널 대합실 주변 상가의 전부입니다.


뭐 좀만 걸어 나가면 마트도 있는데 딱히 터미널 내 상가가 크게 필요하진 않겠죠.



아산시외버스터미널의 요금표입니다.


서해안 및 충청권 노선의 경우 모두 천안을 거쳐오며, 그 외 수도권 지역의 경우 모두 천안터미널을 경유합니다. 그러니까 이 터미널을 거치는 버스들은 백이면 백 천안터미널을 거쳐오거나 거쳐갑니다. 그런고로 출퇴근 시간대에는 이곳에 정차하는 시외버스가 시내버스를 대신하여 천안과 아산을 오가는 무정차 급행버스의 역활도 합니다. 



인천공항과 동서울행 노선은 30~50분 간격으로 존재합니다. 청주행과 성남(야탑)행은 일 16회 운행하지요.


그 외에도 일 7회의 남부터미널행과 4회의 김포공항행. 

일 3회의 인천,수원,안산행 노선과 일 2회 용인행 노선이 존재합니다.



대전 복합터미널행은 일 8회. 유성행은 일 4회. 서대전행은 일 2회 운행되며,

유구행 버스는 일 10회. 운곡 혹은 광시를 거쳐 청양과 부여로 가는 버스는 일 8회 운행됩니다.


천안경유 안성행이 일 9회, 원주행과 이천 춘천행이 일 1회 운행되며,

나머지는 서해안 방면 시간표를 보고 시간대별로 맞는 버스를 타면 됩니다.



당진 서산 태안 예산 홍성 보령방향 시간표입니다.


최종 종착지는 같더라도 무정차 혹은 완행 노선이 다양하게 존재하는지라 시간표를 잘 보고 타셔야 합니다. 서산 태안 직통노선과, 한서대 해미 경유노선. 예산과 홍성을 거쳐 서산까지 가는 버스도 있고요. 삽교천을 거치거나 신례원과 합덕을 거쳐 당진으로 가는 노선도 있습니다. 여튼 복잡하니 시간대에 맞추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플랫폼은 총 7개. 1번부터 5번까지의 플랫홈에는 천안방향 버스들이 시간과 상관없이 수시로 정차합니다.


1번홈 천안, 성남, 서울남부, 안산, 유구, 춘천

2번홈 천안

3번홈 천안, 동대전, 서대전, 유성, 안성, 원주, 청주, 용인, 이천

5번홈 천안, 동서울, 잠실, 송도, 가락시장, 김포공항, 인천, 수원, 인천공항

6번홈 예산, 홍성, 청양, 부여, 보령(대천), 서천, 군산

7번홈 삽교천, 합덕, 당진, 서산(직), 태안, 안면도


- 강남행 및 일부 인천행은 옆 고속터미널에서 운행.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