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중기운전기능사 자격증 취득기 여섯번째 이야기입니다.


5일차에는 비가 내렸습니다만, 6일차는 아침에 비가 그쳐 기상상태가 운행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습니다. 6일차 역시 5일차와 같은 방식으로 탑승이 이루어졌는데, 전날 배우게 된 왼발을 사용하는 완벽한 연속동작으로 기중작업을 하게 되었습니다.



6일차 역시 오전에 35분정도 탑승한 이후로는 자유시간입니다.


시간에 맞춰 나간 뒤 크레인에 탑승하게 되었습니다. 아직도 간간히 레버를 헷갈리는 경우가 있긴 한지라 능숙한 운행까지는 시간이 좀 더 걸리리라 생각됩니다. 그럼에도 처음에는 답이 없게 느껴졌던 기중작업 과정에서 어느정도 여유가 생겼음은 체감이 되더군요.



좌측의 두개의 페달은 브레이크인데 시험 과정에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각도와 지브(붐대)의 길이를 조절하는 레버와 연결된 얇은 페달과 우측의 악셀페달이 보입니다. 


실제 양발과 양손을 사용하는 과정에서는 사진을 촬영할 여유가 없어 정차한 후 촬영한 사진입니다. 장애물을 넘어 다시 출발지점으로 돌아오는 과정에서 왼손으로는 회전레버를 당기고 왼발로는 붐대레버를 안쪽으로 밟아 붐대를 접으며 오른손으로는 붐대를 내리며 낮아지는 화물이 땅에 닿지 않도록 권상레버를 밀어 높이를 유지합니다. 오른발은 악셀페달을 밟는 용도로 사용하기에 양손과 양발을 모두 사용하게 되는것이죠.


양손과 양발을 모두 사용하는게 과연 가능할까 싶었습니다만, 그래도 해보니 됩니다.



뭐 여타 자동차의 경고 및 주의 스티커처럼 품번이 존재합니다.

차량 모델명을 드디어 알아냈네요. SC25H-2입니다.


지브 사용시의 주의사항이 기재된 스티커와 고압전선을 주의하라는 스티커의 품번이 같고 장비의 주요 제원을 기재해둔 스티커의 품번은 조금 다릅니다. 제원표에 따르자면 최대출력 230마력 수준의 자연흡기 엔진이 장착되었고, 차량 중량만 무려 24.5톤이나 나갑니다.


차량 모델명을 검색해보니 80년대 후반부터 95년까지 생산되었던 크레인의 경우 닛산디젤이라 적힌 차체를 그대로 도입했었더군요. 그래서 일본에서 수입해온 중고 크레인이 아닌가 하고 봤더니 기중장치 운전석에는 삼성중공업의 제작표가 붙어있었습니다.



잘 보이지 않습니다만, 학원에 있던 크레인은 96년에 제조되었습니다.


닛산디젤 차대입니다만, 닛산디젤 레터링 대신 'SAMSUNG'이 새겨져 있습니다. 여러모로 여유가 생기니 보이지 않던 부분들도 보이는군요. 앞으로도 연습과 함께 기중기의 다양한 모습들을 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입주 4년차 아파트..


꼭대기층. 흔히 말하는 탑층이다보니 옥탑방이 있고, 옥상 역시 자유롭게 사용 할 수 있습니다. 대략적인 단독주택 수준의 활용성을 자랑하는데, 손님이 오면 펜션처럼 사용 할 수 있기도 하고 여러모로 고기를 구워먹거나 빨래를 널기도 좋습니다.


여튼 그렇게 4년을 살았습니다만, 아무래도 단지 내에서 가장 높다보니 다른동의 탑층들이 보이기도 합니다. 자동방충망을 설치하고 문을 하루종일 열어두는 집들이 보여 내심 부럽게 여겼는데, 결국 4년만에 자동방충망을 설치하게 되었습니다.


시공은 



뭐 평범한 옥상 출입문입니다.


애초에 옥탑방 자체가 비대칭삼각형 형태의 지붕으로 이루어진 구조입니다. 천장도 당연히 낮은편이고요. 그렇다보니 문도 매우 작습니다. 키가 170대 초반인 저도 머리를 굽히고 드나들어야 하니 말이죠. 여튼 작고 아담한 문이지만, 방충망이 없어 계속 열어두게 된다면 벌레가 자꾸 들어오더랍니다.


그렇게 작년에 직장에 다니며 알게 된 사장님께 연락을 드렸고, 오후에 집으로 찾아오셨습니다.



롤방충망 완제품 박스를 들고 오시더군요.

완제품으로 나오는 물건을 잘라내어 조립하는 방식으로 그리 어렵게 보이진 않았습니다.


사이즈를 재고 사이즈에 맞게 잘라낸 다음 조립을 하면 대략적인 프레임이 완성되더군요. 고속절단기라던지 핸디그라인더같은 공구를 가진 사람들이라면 모르겠습니다만, 일반적으로 그러한 공구를 구비한 가정은 많지 않기에 완제품의 인터넷 최저가와 실리콘을 비롯한 잡자재의 가격을 고려하면 그리 비싸게 느껴지지 않는 가격에 시공을 할 수 있었습니다.



옥상 출입문 사이즈에 맞춰 프레임이 만들어졌습니다.


문에 잘 맞춘 뒤 피스로 고정하고 실리콘으로 마감을 해주면 된다고 하네요. 자동방충망의 설치는 생각보다 간단했습니다. 물론 숙련된 기술자의 손과 어쩌다 한번 해보는 일반인의 손은 다르겠지만 그래도 생각보다는 쉬워보였습니다.



실리콘을 도포합니다.


생각보다 작은 면적이였지만 실리콘은 대략 두통정도 들어가더군요. 벽이 석고보드로 마감되어있던지라 힘을 받지 못한다고 합니다. 실리콘이 마른 다음에 사용해야 한다고 하네요.



그렇게 간단히 옥상 출입구에 자동방충망이 생겨났습니다.


이제 송화가루가 날리는 철이 지나면 마음놓고 문을 열어놔도 문제될건 없습니다. 파리가 집 안으로 들어올 일도 없을테고, 밤에 고기를 구워먹는다 한들 하루살이가 옥탑 안으로 들어오지도 않을테니 말이죠.



도어클로저가 있어 문과 조금 거리를 두고 붙였습니다.


도어클로저의 움직임에도 큰 문제는 없었습니다.



파란색 손잡이. 녹색 스위치를 내리면 자동롤방충망이 감기고 출입이 가능합니다.


닫을때는 반대편 프레임에 걸린 경첩에 딸깍 소리가 나게 닫아주면 됩니다. 사용법이 그리 어렵지는 않았습니다. 어짜피 한번 달아두면 고장나지 않는 이상 반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할테고요. 나중에 이사를 간다 한들 다음 입주자 역시 그대로 사용해도 문제는 없을겁니다.



도어클로저와 방충망 프레임이 완전히 붙은 줄 알았는데, 대략 2~3cm 떨어져 있더군요.


도어클로저가 고장나지 않는 이상 자동방충망의 프레임을 쳐서 문제가 될 일은 없어보입니다. 문을 확 닫아도 상관 없다는 얘기죠.



별거 아닌듯 보이지만 장착하고 나니 마음에 듭니다.


다시금 코로나가 활개치고 있는 상황이라 암울합니다만, 그래도 언젠가는 여러 사람들을 초대하여 옥상에서 고기를 구워먹고 옥탑방에서 펜션처럼 함께 즐길 수 있는 날이 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날이 온다면 한여름에는 옥상 문을 열고 잘 수도 있을테고 사람이 자주 지나다니는 상황에서 불편함을 감수하며 매번 문을 열었다 닫았다 하지 않아도 될테니 말이죠.


여튼 그렇습니다. 자동방충망과 함께 올 여름은 행복하게 나고 싶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