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385건

반응형


비가 내리던 지난 광복절.. 할머니를 모시고 평택 조개터의 냉면집을 찾았습니다.


지난해에도 찾아갔었죠. 80년 역사를 자랑하는 평양냉면 전문점입니다. 지금은 조개터라 불리는 택지개발지역에 있지만, 종전에는 평택역 근처에 있었다고 하네요. 전반적으로 평양냉면의 맛은 밋밋한 편이라 호불호가 갈리긴 합니다만, 거리가 있어서 그렇지 이북에서 내려오신 할머니는 종종 가보자 하십니다.



지난해 5월. 남북정상회담 후 두 정상이 옥류관에서 냉면을 먹었다는 이야기가 방송을 탄 뒤라 사람이 많았던 시기에 방문했었네요. 비가 오던 광복절이라 줄 서서 먹을 수준까진 아녔지만, 그래도 식당 안에 사람은 꽤 있었습니다.



평범한 단층 조립식 판넬건물이지만, 주변으로는 차도 사람도 가득합니다.


세월이 흐르고 후손들이 가업을 이으며 냉면집의 이름도 계속 변해왔습니다. 지금의 이름은 고복례냉면이지만, 그 전에는 고박사냉면 고복수냉면으로 불렸다고 하네요. 지금도 일부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비가 내리고 오후 1시가 넘은 시간이지만, 그래도 꽤 많은 손님들이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그리고 하나 둘 계속 들어오네요. 무엇을 먹을지 고민다하다 빈대떡 세트로 주문했습니다.



지난해 글과 비교해보니 메뉴도 약간 변동이 있었고, 가격도 올랐습니다.


대표메뉴인 물냉면 비빔냉면은 가격이 그대로 동결되었지만, 회냉면과 짬짜면처럼 물냉과 비냉을 같이 먹을 수 있는 메뉴는 천원씩 만두국은 오백원이 인상되었습니다. 세트메뉴의 경우 떡갈비세트는 2000원, 만두 빈대떡 세트는 1000원이 인상되었고요. 돼지갈비와 갈비전골은 메뉴판에서 사라졌네요.



3대째 이어오는 80년 전통 고복수 평양냉면전문점


평양냉면은 배워야 하는 음식이다 말한다

첫입에 착 달라붙는 맛이 아니라 지금까지의 맛이 기준을 흩뜨리는 독특한 맛이다.

그래서 누구에게는 평생 먹고 싶은 소울푸드 이지만 누구에게는 도대체 이해할수 없는 낯선 음식이다

처음 평양냉면을 맛을 본사람은 이게 무슨 맛인가 하는 반응을 하지만

이상하게 그 심심하고 밋밋한 맛이 자꾸만 입가에 맴돌면서 다시한번

먹고싶다는 생각이 난다는 것이다

그래서 서너번 먹었을 때 비로소 밋밋한 평양냉면 속에 숨은 섬세한 맛의 미학을 깨닫게 된다.


"냉면열전 중에서 발췌"



차가운 물도 줍니다만, 역시 냉면집에서는 따뜻한 육수가 최고지요.


그냥 소고기 국물입니다. 다시다를 풀은 것 같은 느낌도 나지만, 냉면 육수를 따뜻하게 데워 차처럼 내줍니다.



가격이 오른만큼 반찬도 조금 늘었네요.


무절임 그리고 양배추절임과 아삭이고추를 썰어놓은것이 반찬으로 나왔습니다.



만두 두점과 작은 빈대떡이 나왔습니다.


만두는 시중에서 사 먹는 평범한 만두와 같은 맛, 빈대떡은 생각보다 두꺼웠습니다. 만두와 빈대떡을 먹다보니 바로 냉면이 나오더군요.



시원한 냉면이 나왔습니다.


고명과 양에는 특별한 차이는 없었습니다. 평범한 냉면맛에서 자극적으로 느껴지는 부분은 빠지고 특유의 감칠맛이 느껴지는게 일색입니다. 자극적인 음식을 좋아하시고 기존의 평범한 냉면에 길들여지신 분들이시면 무슨 맛으로 먹냐고 묻기도 하겠지만 말입니다.


여러번 먹어야 제 맛을 느낄 수 있다고 합니다. 아직 좀 더 먹어야 제대로 된 탐구가 가능할지 싶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광복절을 앞두고 차량용 태극기를 구입했습니다.


가정용 태극기도 지난 3.1절을 앞두고 구입했었죠. 어제 오후에 차량용 태극기도 구입했는데, 마침 시기적절하게 오늘 오후에 택배가 도착했습니다.




커다란 박스. 딱풀을 만드는 아모스라는 회사에서 나온 아이슬라임이라는 액체괴물을 담던 박스입니다.


박스에 기재된 내용과 내용물은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만, 이 박스 안에 대각선으로 두개가 들어있더군요.



바로 꺼내봅니다. 개당 1,500원 두개에 3,000원짜리 태극기입니다. 


깃발천의 한 종류인데 일반적인 깃발천보다 구멍이 훨씬 더 많이 뚫려있는 모양새입니다. 감옥에 간 전직 대통령을 꺼내라는 정치세력이 시위에 태극기를 이용하며 태극기를 보면 특정 정치세력이 연상되어 기분이 그리 좋지는 않고 이러한 태극기를 게양하고 다니는 행위 자체가 자칫 그들을 옹호한다고 비춰질 수 있기에 조심스럽지만 당분간 달고 다니려 합니다.



가로 30cm x 세로 20cm


적당히 작은 태극기입니다. 종전에는 시장에 가면 태극기를 팔던 아저씨가 계셨었는데 요즘은 태극기를 파는 모습을 보기 힘들더군요. 가정용이야 관공서에서 판매하고 혹은 전입신고시에 선물로 주곤 합니다만 차량용은 더더욱이 시중에서 구하기 힘듭니다.



예전에는 일체형만 나왔고, 지금은 이렇게 차량용 브라켓과 수기형 태극기가 결합된 형태로 나옵니다.


이런 결합형 차량용 태극기의 경우 주행 중 날라간다는 얘기도 있어서 일체형 제품을 찾았는데 지금은 사실상 판매하지 않더군요. 그래서 걱정했습니다만, 결합부위에 미약하게나마 접착제가 발라져 있었습니다.



지하주차장으로 다시 나가 장착합니다.


트렁크에 끼우는 방식인데 나름 흠집 방지를 위한 처리가 되었다 해도 기스가 생기네요. 그나마 랩핑이라 다행이라 여겨집니다.



그렇게 태극기의 장착을 완료했습니다.


달리면 노랫말처럼 태극기가 바람에 펄럭이겠죠. 당분간은 계속 달고 다닐 생각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