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410건

반응형

참 시간이란건 빨리 지나가는 것 같습니다. 시험이 바로 내일로부터 일주일의 대장정을 시작하고, 그러한 대장정이 끝나자마자 공식적인 1학기가 끝나고 9월 초까지 방학이라는 긴 시간이 시작됩니다.


***** 학사일정표에 따른다면, 6월 22일부터 9월 2일까지 방학입니다. *****



방학때 뭘할까 고민하기 이전에 일단 한 학기를 보내면서 한게 없는 것 같습니다.

일단은 재활치료의 마무리가 언제쯤 될지 모르는 상황이니 서툴리 계획을 잡기도 어렵습니다.


병원에서 한달을 허비한것도 있겠지만, 무언가 남을만한 상징적인일이 없다는것도 약간은 무의미하다 느끼는데에 동조를 했나 봅니다. 수업도 그냥 날로먹는것같다는 생각도 해보고. 대학교라는 곳이 고등학생으로써 느끼던 환상이 가득한 곳이 아니라는건 반대로 금방 깨우쳤습니다. 


빽빽한 일정으로 돌아가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등 그동안 거쳐왔었던 학교들에 비해 짧고 학비는 비싼 대학교는 학문을 심화적으로 연구하는 교육기관으로써의 기능을 하고있지만, 지금은 그 의미가 많이 퇴색되었다는 생각도 들곤 합니다. 대학진학률이 꽤 높은편이고 고졸에 대한 인식이 좋지만은 못한 우리사회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는 생각이지만 물론 이 나라에서 살아갈려면 어쩔 수 없다는 생각도 듭니다.


이제 곧 전국의 거의 모든 대학들이 방학에 돌입하겠죠. 방학은 길고, 그동안 무작정 놀수만은 없는 일이다보니 일단은 재활치료에 가장 큰 비중을 두고 임하고 그 다음은 그동안 부족하다 여겨졌던 공부와 병원을 가게 되서 따지 못했던 정보기기운용기능사 자격증을 따둬야겠습니다.


달리고 달려 한학기가 끝나갑니다. 한학기동안 많은 일이 있었지만 병원에서 있었던 일들이 이번 학기에 내가 무엇을 했는지 어떠한 지식을 얻었는지에 대한 기억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보니 선뜻 한학기를 보람차게 보냈다고 생각하기도 어렵습니다. 이왕 이렇게 된 한학기는 마무리하고, 다음학기에는 부디 무사히 한 학기를 마칠 수 있었다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구글 애드센스 수익이 나왔습니다.


이번이 네번째 환전인가 그랬던걸로 기억하는데, 그동안 한번은 국제우편으로 받게되어 집 가까운 농협에서 환전을 받았고 나머지 두번은 "웨스턴유니온"을 통해 지급을 받았기 때문에 기업은행 당진지점에 가서 환전을 받았었습니다. 기업은행 일반통장과 외화통장 두개를 개설해두고, 매번 반반씩 달러와 원화로 분할해서 돈을 넣어놓습니다. 외화통장은 빼서 쓸 일이 없다보니 그냥 놔두고, 일반통장은 연동된 체크카드를 통해 능동적으로 돈을 사용하고 있답니다.


마침 보강주간인데다가 강의가 없길레, 고장난 핸드폰 충전기도 A/S센터에 가서 맏기고 애드센스 수익금도 환전하기 위해 병원 외래를 보고 성정동쪽으로 나왔습니다.



당진지점 이외의 기업은행 지점은 처음가봅니다. 예전에 강남갔을때 통장정리 몇번 했던적은 있지만, 이렇게 그냥 창구로 들어가기는 아무래도 처음인가봅니다. 지점 이름이 굉장히 깁니다. 


"기업은행 천안성정롯데마트지점"


아아.. 이렇게 긴 은행 지점명은 처음보는 것 같습니다. 여튼 계산대 안의 물건이 있는곳에 위치해있는 형태가 아니라, 마트의 한구석에 입점해있는 형태입니다. 사실 이 주변에 기업은행 지점이 없는걸로 추정되서 쌍용동까지 가려고 했지만 다행히 이곳에 있더군요. 걸어서 조금만 걸으면 삼성 서비스센터도 그 옆에 바로 있고 말이죠.. 여튼 일석이조 아니 일석삼조의 효과를 볼 수 있었던 곳입니다.

(삼성전자 서비스센터와 반대편에 바로 농협이 있어서.. 농협도 가서 볼일좀 봤네요.)



기업은행 지점 안입니다. 기업고객들이 많이 찾는 은행이긴 하다보니 다들 한번 창구앞에 서면 꽤 오랜시간을 창구 직원과 업무처리를 하곤 합니다. 제가 갔을때만 봐도 어떤 회사에서 나온듯한 아저씨도 한참 얘기하고 계시고 베트남사람 몇명도 베트남으로 돈을 보내기 위해서 한참을 창구에 있더군요.


뭐 저도 이것저것 처리해야 할 일이 한두가지가 아니라 창구에 오랜시간 머물렀답니다.



이번에 지급받을 금액은 120.64달러입니다. 총 환전금액은 139,809원이 나왔네요.


MTCN번호를 능숙하게 적고, 이름은 당연히 영어로 적고.. 이렇게 저렇게 서류를 작성하고 잠시 후 창구직원이 열심히 자판을 두드리고 마우스를 클릭합니다. 한참이 지나서 120.64달러라는 쌀국 돈은 대한민국의 원화로 환전되어 나오더군요. 사실 구글측에서 지급하는 달러는 원화로 환전하여 지급되게 만들어두었기 때문에 외화통장에 넣기 위해서는 다시 환전을 해야합니다. 외화 그자체로는 외화통장에 들어갈 수 없다는 것이죠. 그렇게 때문에 지급된 금액중 6만원을 그냥 환전해서 외화통장에 집어넣어봅니다.


6만원을 다시 달러로 환전해서 외화통장에 집어넣었습니다. 딱 51달러가 맞추어지더군요.


사실 환전한 외화를 다시 산다는것 자체가 손해이긴 하지만 그냥 상징적으로 외화를 남겨두려는 의도이기 때문에 크게 여의치는 않습니다. 기업은행에서 이런방식으로 환전을 여러번 하다보니 이대는 우대환율을 적용받고 환율수수료도 면제를 받는 우수한(?) 고객이 되었습니다. 오래 거래해봐야 2년정도밖에 안됬을테고 그렇게 오래 거래한것도 아닌데 창구직원도 여튼 의아해하더군요. 그렇게 외화통장도 애드센스 한번 환전할때의 금액정도가 모였습니다.



그렇게 집에와서 복잡한 종이들을 정리하면서 다시 살펴봅니다.


가장 위에는 웨스턴유니온 신청서고 그 아래는 지급받은 약 14만원의 금액 계산서. 그 아래는 다시 산 51달러에 대한 계산서. 그 아래는 외화통장으로 입금된 계산서입니다.


여튼 또 한번의 애드센스 환전을 마쳤습니다. 한번 계정이 정지를 먹고서 수익률이 급격하게 떨어지긴 했지만 간혹가다가 한번 이렇게 용돈으로 쓰라고 들어오는 돈은 얼마나 반가운지 모릅니다. 덗분에 썰어먹는 햄버거라는 문화적 충격을 느끼게 해준 크라제버거도 가서 오랫만에 먹어보고 여튼 즐겁게 집으로 돌아왔답니다.


물건을 제공받았다고 명시를 해두고 직접 자신의 사용기를 쓰는 방식은 괜찮다고 생각하나 직접 써보지도 가보지도 않고 해본것처럼 글을 쓰고 누군가가 신청을 하면 커미션을 받는 형태의 블로그 전체를 광고판으로 이용하는 수익창출은 해보라고 요즘에도 몇번씩 방명록에 제의가 들어와도 할 생각도 없는데다가 블로그의 순수한 목적인 1인 미디어로써의 사실적인 정보전달에 위배된다는 생각이니 그런 방식을 이용해서 수익이 늘어날 일도 없습니다. 그리고 그렇게까지 블로그를 돈벌이를 위해 한다는 느낌은 받고싶지 않습니다. 


오르지 수익만을 위한 블로그는 하고싶지 않습니다. 주제없이 이광고 저광고로 떼우는 블로그도 하고싶지 않습니다. 수익이라는것은 소소한 수준에서 만족하고 글을 위해 투자하는 이런저런 비용을 회수하거나 재투자하는 정도 혹은 가끔씩 있는 이벤트때 방문자분들께 다시 보답하는 비용과 글에대한 작은 수고비 수준으로만 생각하고 싶습니다.


"이 글을 잘 읽으셨다면 손가락버튼을 눌러주세요! 로그인 없이도 가능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