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에 해당되는 글 207건

반응형


대전의 한 신도시 골목길에서 목격한 차량입니다.


아시다시피 갤로퍼는 1991년 현대정공(現 현대모비스)에서 미쓰비시의 4륜구동 SUV인 파제로를 라이선스 생산하기 시작하여, 현대자동차로 통합된 이후 부분변경을 거쳐 2003년까지 판매된 차량입니다. 90년대 초반 국민소득의 비약적인 상승과 중산층의 본격적인 차량 교체시기와 맞물려 당시 기준으로도 꽤나 비싼 가격이였음에도 꽤나 잘 팔려나갔습니다.


물론 지금도 리스토어라 쓰고 빈티지 튜닝카를 만드는 열풍에 힘입어 도로 위에서 상대적으로 흔히 볼 수 있는 차량이지만, 95년 이전 지역번호판에 순정 그대로 살아있는 9인승 갤로퍼를 보았습니다.



1995년 이전에 등록된 차량임을 알려주는 한자리수 지역번호판.

정확히 알아보니 95년 8월에 등록되었네요.


옛 지역번호판의 차종 분류기호상으로 5는 승합차입니다. 그리고 잘 보면 차량 루프가 높게 솟아있지요. 그렇습니다. 9인승 모델입니다. 지금은 9인승 모델 역시 승용차로 분류됩니다만, 이 당시만 하더라도 승합차 기준에 부합하던 차량이였습니다. 당연히 세금도 저렴하고 탑승 인원만 충족한다면 버스전용차로도 탈 수 있지요.


그리고 동그란 원형 라이트 대신 사각형 형태의 라이트가 적용된 뉴갤로퍼 모델입니다. 


자칭 올드카를 사랑한다면서 빈티지 튜닝카를 만들고, 이시국 노재팬 따지면서도 전범기업인 미쓰비시에서 생산된 파제로를 따라하지 못해서 안달이 난 사람들이 파제로와 동일한 구형 갤로퍼의 동그란 라이트를 박아놓곤 합니다만, 이 차량은 순정 그 당시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특유의 빛바랜 데칼이 바랜 모습을 보면 도색 역시 제치로 보입니다.


흔히 않은 중후한 진녹색 컬러가 그대로 살아있습니다. 발판에서 살짝 찍힌 부분이 존재하지만, 발판과 보조범퍼는 쉽게 교체 할 수 있고, 부품 수급도 원활하기에 큰 문제 없으리라 생각되네요. 본넷에 콧구멍이 있는 인터쿨러 모델도 아니고 그냥 흔하게 팔렸던 터보 엑시드(EXCEED) 모델입니다만, 순정 상태에서 흔치 않은 색상에 구형 지역번호판까지 달고 있는 갤로퍼를 보아하니 경이롭게 느껴지기만 합니다.



측후면 썬팅은 진하게 되어있네요. 스페어타이어 커버의 비닐코팅만 들고 일어났습니다.


보통 오프로드 혹은 시골에서 다목적으로 사용하는 빈도가 높은 구형 SUV입니다만, 도시인 대전에서 25년 넘는 차생을 보내왔기에 아무래도 최상급에 준하는 깔끔한 상태로 살아남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아직까지도 동급 경쟁차종 대비 비싼 가격에 거래되고 있고, 조기폐차로 받는 보상금을 상회하는 수준에 거래되는 차량 중 하나이다보니 이정도 상태라면 주인의 사랑을 꽤나 많이 받았으리라 생각되네요.


험난한 25년을 버텨왔지만, 앞으로가 문제입니다. 대도시인 대전에 등록된 5등급 노후경유차. 그렇다고 매연저감장치가 개발이 된 차량도 아닌지라 한시적으로 단속이 유예됩니다만, 단속 유예라는 특혜 역시 언젠가는 사라지겠고, 결국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지목받아 괜찮은 상태임에도 폐차장의 이슬로 사라지겠지요.


여러모로 앞으로의 미래가 불투명합니다만, 부디 오래도록 대도시 대전에서 살아남았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대전 외곽의 한 골목에서 본 15인승 승합차 토픽과 관련된 이야기입니다.

토픽이라 하면 한국어능력시험 TOPIK을 떠올리는 사람이 많겠습니다만, 승합차 이야기입니다.


근래에도 베스타를 보았고 그동안 베스타는 1년에 한 번 수준으로 목격했지만, 가장 최근에 토픽을 보았던게 대략 5년 전 일로 기억됩니다. 그만큼 베스타보다 토픽이 보기 어렵다는 이야기죠. 2000년대 초중반 이후 급속도로 사라졌습니다.


가장 최근 목격했던 기억이 대략 10년 전 즈음인 초기형 토픽이 아닌 91년 이후 등장한 부분변경 모델인 AM715 하이토픽이지만, 그래도 원체 귀한 차량이다보니 지나가던 길 사진으로나마 남기게 되었습니다.



골목길에 진입하자마자 반겨주는 우리의 하얀 바디의 토픽.


흔히 공장로고라 하는 구형 아시아자동차 엠블렘. 그리고 '충남5 포' 구형 지역번호판. 보이는 외관상의 상태는 그리 좋지 못했습니다만, 올드카의 가치를 더해주지만 보기 힘든 조합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물론 당연하게도 하이베스타처럼 어느정도 각이 완화된 신형 모델입니다만 그래도 정말 오랜만에 목격합니다.


아시아자동차의 토픽은 1986년 출시된 베스타의 롱바디 모델로 1987년 출시되었습니다. 내내 같은 모델인 베스타와의 차이점이라면 베스타보다 작은 창문이 하나 더 있고, 베스타에는 없는 15인승 모델이 존재함과 함께 전후면 디자인이 조금 다른 수준. 그리고 베스타는 소하리에서, 토픽은 광주에서 생산하던게 전부였습니다.


물론 베스타는 로나엔진이라던지, 기아에서 개발한 JS엔진이 적용된다던지 꾸준히 파워트레인의 변화가 있었습니다만 토픽은 출시 초기부터 마쯔다의 XB 2.7 디젤엔진이 적용되다가 90년대 중반 J2엔진의 개발 이후 'J2 토픽'으로 넘어갔습니다.


12인승 이하 모델인 기아자동차 베스타의 경우 프레지오의 등장 이후 염가형 차량으로 생산하다가 1997년 단동되었습니다만, 토픽은 프레지오의 15인승 모델인 '프레지오 그랜드'가 등장한 1999년까지 무려 만 12년동안 생산되었습니다. 



토픽입니다 토픽. 이게 얼마만에 보는 토픽인지요.


AM715 하이토픽입니다. 한 올갱이 전문 식당에서 사용하는 차량입니다. 최초등록은 1993년 4월. 과도기가 아닌 구형 엠블렘을 사용하던 시기에 나온 차량입니다. 아시아자동차의 구형 엠블렘이 선명한 휠캡은 일부 남아있고요. 그럭저럭 덧칠이 된 상태이지만 크게 하자가 될 수준은 아닌듯 보입니다. 물론 세기말까지 생산이 되었던지라 2000년대 중반만 하더라도 기아자동차 엠블렘을 부착하고 상태가 우수했던 J2엔진이 적용된 최후기형 토픽을 흔히 볼 수 있었습니다만, 죄다 수출길에 오른 탓에 갑작스레 도로에서 자취를 감춰버린 차량입니다.


그래도 이렇게 눈에 쉽게 띄지 않는 공간에 간간히 살아남은 토픽이 존재하긴 합니다만, 아마 올드카 애호가들에게 관리받으면서 전국에 살아남은 포니2 픽업보다 훨씬 더 적은 개체수만이 남아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베스타는 그래도 매년 지나가며 한두대정도 보긴 합니다만, 토픽의 경우 후기에 가서는 쌍용 이스타나라는 강한 경쟁상대에 밀리며 판매량이 저조했던 부분과 거의 모든 개체가 수출길에 올랐다 보니 귀해지지 않았나 싶습니다. 


여튼 강력한 중고차 수출의 카오스에서도 살아남은 토픽들의 미래 역시 밝지만은 않습니다. 중국몽 정권에 의해 적폐로 규정된 노후 디젤차이다보니 남은 개체들도 머지않은 시일 내에 사라지리라 생각됩니다.



측면 유리를 보고 토픽과 베스타의 구분이 가능합니다.


베스타는 3열 유리까지 존재합니다만, 토픽은 그 뒤로 작은 유리가 하나 더 붙어있습니다. 어릴적 유치원 통학차량이 하이토픽이였는데, 그 당시 기억을 되살려보면 아마 맨 뒷유리는 열리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래서 맨 뒷열에 탑승하면 답답하게 느끼곤 했었습니다.


올갱이요리 전문점에서 사용하기 이전에는 LG전자 대리점에서 사용했던 차량으로 보입니다. 하얀색 페인트로 덧칠을 하기 전 붙어있던 스티커를 제거하지 않아 스티커가 갈라진 모습이 보입니다. '완전평면 LG 프립톤' 그리고 올갱이라 적힌 부분에는 LG전자 대리점의 이름과 전화번호의 흔적이 남아있습니다.



레터링도 흙받이도 그대로 살아있습니다.


덧칠이 된 상태가 아쉽기만 합니다. 물론 그래도 몇 없는 아시아자동차에서 생산된 소형차이자 살아있어서 감사한 토픽입니다만, 레터링도 아시아 로고가 박힌 흙받이와 트렁크 래버도 그대로 살아있데 덧칠이 되어 안타깝습니다.


그나마 대전에 등록된 차량이라면 인구 50만 이상의 시 혹은 광역시에 적용되는 까다로운 정기검사를 통과하지 못하고 폐차되었겠죠. 그나마 충남에 등록되어 충남 번호판을 달고 있는 것이 2020년대를 며칠 남기지 않은 오늘날까지 우리의 하이토픽이 살아있는 이유가 아닐까 싶습니다.


다음에 이 근처에서 밥을 먹게 된다면, 올갱이집에 방문하여 다시 한번 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30년 가까운 세월을 버텨온 토픽이 앞으로도 부디 오랜 세월 올갱이집의 마스코트로 남았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