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에 해당되는 글 203건

반응형


이번 올드카 목격담의 주인공은 1987년에 생산된 현대자동차의 프론트 엔진 버스인 FB500입니다. 86년 출시되어 92년까지 생산되었던 프론트엔진 버스 모델이였죠. 본격적인 미쓰비시와의 기술제휴로 탄생했던 에어로 시리즈 이전 80년대 현대자동차의 버스 라인업은 프론트엔진 버스는 FB로 시작하는 모델명을, 리어엔진 버스는 RB라는 모델명을 사용했습니다.


물론 30년 가까운 세월이 지난 현재 개발도상국에 수출된 차량들은 해당 국가에서 현역으로 달리고 있는 경우를 제외한다면 국내에서 달리는 모습을 보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여겨집니다.


여튼 송탄ic 근처를 킥보드를 타고 달리다가, FB500이 세워진 모습을 보고 바로 돌아가 사진을 촬영했습니다.



번호판은 달려있지 않았습니다.


주행시에만 번호판을 부착하고 도로로 나가거나 그게 아니라면 이미 말소된 차량이겠죠. 주변에 다른 올드카들이 세워져 있었던 만큼 촬영용 소품이거나 누군가가 취미로 수집하고 있는 물건들은 아닐까 생각됩니다. 여튼 저 자리에 세워진 이유가 무엇인지는 궁굼하다만 매우 준수한 상태로 세워져 있었습니다.



세월이 세월인지라 칠이 벗겨지고 녹물이 흘러내리고 있긴 합니다만....


폐차수준의 상태로 살아있어도 아주 좋은거 봤다고 좋아할텐데, 이 수준의 완벽한 보존상태를 가진 차량을 보았으니 경이롭기만 합니다. 개발도상국에 수출되어 혹사중인 동종의 차량들도 이만큼 관리가 잘 된 차량은 보기 어려울겁니다.



어렴풋이 운전석 유리창 너머로 내부 상태를 확인합니다.


테두리 칠이 약간 벗겨졌지만, 그 상태 그대로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는 계기판과 전혀 닳지 않은 핸들 및 기어봉이 매력적으로 보입니다. 시트 상태도 준수했고요. 보통 대차시기까지 탄다면 닳고 또 닳아있는게 버스라지만 거의 신차급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모습으로 보아 얼마 주행하지 않은 버스라는 사실이 분명했습니다. 



FB500 엠블렘.


92년 FB500의 단종 이후 소형버스를 제외한 현대의 버스 라인업에서 프론트엔진 버스는 자취를 감췄습니다. 험로주파능력이 뛰어났던 타사의 모델에 대비하여 경쟁력이 떨어졌던것이 이유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쉽게 볼 수 없는 버스도 아니였던게 닭장차(전경버스)와 군용으로도 다수 납품되었습니다.


여튼 프론트엔진 버스시장에서 경쟁 우위에 있었던 대우는 BF105를 여객용으로 98년까지, 현금수송용으로 2010년까지 생산했었고 동시대를 풍미했었던 BF105는 상대적으로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특수목적(이동중계차)으로 개조된 차량인지라, 좌석도 1열만 남아있고 창문 역시 1개만 남아있습니다.


익숙한 도색과 기존에 붙어있었던 로고를 떼어낸 자리 역시 익숙한 모습을 보아하니 KBS(한국방송공사)에서 사용하던 차량입니다. 아무래도 1988년 올림픽 주관방송사로 선정됨에 따라 올림픽에 맞추어 도입된 차량이 아닐까 싶습니다. 


아날로그 방송장비를 가득 싣고 전국을 누볐겠지만 오래 전 퇴역했고. 현재는 이보다 한참 늦게 도입된 중계차량들 역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고 합니다.



매우 깔끔한 상태로 보존중인 FB500.


다만 창문의 한 면을 대충 락카로 칠해둔 모습이 보여 아쉽습니다.


1987년부터 주요 사건사고 및 이벤트가 있는 장소를 누비며 격동의 세월을 보내왔었고 결국 불용장비가 되어 외딴 공터에서 남은 차생을 보내고 있는 이 버스가 부디 지금처럼 좋은 주인 곁에서 오랜 세월 보존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대한민국 대표 중형차 쏘나타.


1985년 스텔라의 고급형 모델로 대우자동차의 로얄 시리즈에 대항하는 경쟁모델로 첫 선을 보인 소나타는, 쏘나타로 이름을 개명한 현재 7세대(LF)까지 계승되어 내려오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자동차'라는 범주에서 가장 먼저 떠오르는 자동차이자 표준인 쏘나타의 계보는 계속 이어져 내년에 8세대 모델의 출시가 예정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스텔라의 고급형 모델로 판매되었던 1세대 'Y1'은 그리 많이 팔린 차량도 아닌데다가 30년이 넘어가는지라 사실상 거의 전멸했다고 봐도 무방한 수준이고, 본격적으로 인기를 얻었고 많이 팔렸던 2세대 Y2는 간간히 소수가 돌아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인천 작전동의 한 빌라 앞에 주차된 Y2 쏘나타를 목격했던 목격담을 남겨보려 합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뉴-쏘나타.


그렇습니다. 1991년에 더욱 날렵해진 모습으로 페이스리프트가 단행된 뉴-쏘나타 차량이였습니다. 현재도 사용중인 현대 엠블렘이 적용되기 시작했고, 비슷한 시기에 엑셀과 엘란트라 역시 각진 디자인에서 쏘나타와 비슷한 외형으로 부분변경 모델이 출시되었습니다.


여튼 91년부터 93년까지 판매되었던 뉴-쏘나타. 다만 상태가 그리 좋은 편은 아녔습니다.



곳곳에 칠이 바래고 벗겨진 흔적도 보이고, 몰딩이 떨어져 도망간 모습도 보입니다.


하얀색 전국번호판으로 확인한 해당 차량의 최초 등록일자는 1992년 8월. 만26년 이상을 달리고 또 달려왔습니다. 보시다시피 휠은 사제휠이고요. 자잘한 부식들은 보여도 눈에 보이는 큰 부식은 없으나, 전반적인 외관 상태는 불량했습니다. 다만, 그 시절 고급차에나 옵션으로 들어가던 최첨단 안전사양인 ABS가 적용된. 한 때 꽤나 힘 좀 썼던 사람이 처음 출고했던 차량이 아닌가 싶습니다. 



ABS - DOHC


지금은 포터고 모닝이고 2012년 이후부터 의무장착대상이 된 ABS와. 경차까지 개나소나 다 달고다니는 DOHC 엔진이 당시만 하더라도 엄청난 자랑거리인건 분명합니다. 201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SOHC 엔진이 장착된 모닝이 판매되었고, 의무장착 이전까지는 ABS가 옵션으로 남아있던 차량들이 간간히 있었으니 말이죠. 


물론 ABS 및 DOHC 엔진이 흔해진 2000년대 초중반 이후로 이러한 자랑은 사라졌지만, 급격한 경제성장을 이룩하고 본격적으로 소득수준이 높아지던 그 시절에는 같은 차를 타도 한차원 높은 수준의 차를 탄다고 과시가 가능한 자랑거리가 아녔나 싶습니다.   



그시절 각-그랜져 아니면 찾아보기 힘들었던 핸들리모콘. 그리고 오토매틱 변속기와 가죽시트 및 가죽핸들.


초 호화 옵션으로 무장된 이 차량의 트림은 골드(GOLD). 이 시절부터 최상위 트림의 명칭으로 골드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지금은 마이티 빼곤 골드를 트림 명칭으로 사용하는 현대차는 남아있지 않지만 말이죠. 



만 26년의 세월을 버티고 또 버텨온 가죽핸들의 상태는 영 좋지 않습니다.


오래 전 가죽임에도 요즘 나오는 차량들의 찢어지는 가죽보다는 질이 훨씬 좋아보입니다. 계기판 역시 보이지 않지만 전자식 계기판이더군요. 도어트림도 가죽. 시트도 가죽. 지금은 다 바래고 형편없어진 껍데기의 속을 들여다보니 호화로웠던 그 시절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었습니다.



운전석 시트의 상태는 영 좋지 않습니다.



탑승 빈도가 운전석 대비 낮았던 조수석과 뒷좌석 시트는 그래도 준수한 보존상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어르신이 타고 다니시는 차량인지 젊은 누군가가 리스토어를 위해 구입한 차량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다 바래고 뜯어진 외관에 비한다면 실내 상태는 나름 준수했습니다. 



테이프로 이리저리 붙여놓은 범퍼와 얼룩덜룩해진 트렁크.


세월이 지나도 완전히 바래지 않는 골드 엠블렘이 화려했던 그 시절을 기억하고 있을겁니다. 부디 폐차장의 이슬로 사라지는 대신 지금 주인과 오랜 세월 함께하다가 좋은 복원가를 만나 새로운 모습으로 재탄생하길 기대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