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형 4등식 램프가 적용된 초기형 모델과 사각형 램프가 적용된 후기형 모델들을 정말 다양하게 목격했습니다. 오늘의 주인공인 내장탑차 역시 후기형 모델입니다.
1996 HYUNDAI MIGHTY 2.5t
96년 8월 최초등록. 등록 당시의 서울85로 시작하는 지역번호판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안개등과 등화관제등은 존재하지 않고, 세월의 흔적이 느껴지지만 서울에서 당진까지 침구류를 납품하기 위해 내려왔습니다. 당연히 서울을 기반으로 움직이는 차량이니 저감장치는 장착되어 있겠죠. 28년의 세월을 서울에서 전국 각지를 누벼온 마이티는 지금껏 건재한 모습으로 전국 각지의 침구사에 이불을 비롯한 침구류를 납품하고 있었습니다.
내장탑
별다른 냉장장치가 달리지 않은 일반적인 내장탑차입니다.
탑도 약 20여 년 전부터 폴리에틸렌이나 FRP 및 샌드위치 패널등의 발전으로 스테인리스 스틸 대신 그런 소재를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요즘은 확실히 보기 어려운 스틸바디입니다. 탑 역시 교체되지 않았고 28년의 세월을 함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후면부만 흰색 페인트로 도장하였고, 그 외엔 모두 제치입니다. 앞으로도 대차계획은 없으신지 후륜 타이어의 경우 중국산이지만 새 타이어를 끼워놓으셨습니다.
위에서 바라본 마이티
바로 앞 주차타워에 차량을 주차했던지라 올라가서 다시금 마이티를 바라봅니다.
비가 내리지 않았더라면 탑 위로도 짐을 가득 올리고 다니셨으리라 생각됩니다. 탑 위로 난간대가 설치되어 있고 그물망이 있는 모습을 보면 말이죠. 앞으로도 부디 무탈히 서울을 기반으로 전국 각지를 누비며 수월하게 임무를 수행했으면 좋겠습니다.
기아의 중형트럭 라이노는 마쯔다 복사의 라이선스 생산모델인 복사트럭의 후속모델로 히노의 3세대 레인저를 기반으로 하지만, 3세대 레인저 캡에 마쯔다의 2세대 타이탄을 기반으로 하는 자사의 준중형 트럭 트레이드의 캡 디자인을 채택하여 마쯔다와 히노가 적절히 섞인 차량입니다. 이후 2세대 라이노는 4세대 히노 레인저를 헤드램프와 그릴정도만 손보고 라이선스 생산하였지만, 1세대 라이노의 경우 88년부터 98년까지 10년간 자잘한 그릴의 변화를 제외하곤 그런 모습으로 판매되었습니다.
이번에 목격하게 된 라이노의 경우 1세대 최후기형 모델입니다. 그럼에도 27년의 세월을 상당히 준수한 상태로 무려 노란색 영업용 번호판을 달고 도로를 달리고 있었습니다.
1997 KIA RHINO 4.5t
기아의 중형트럭 라이노입니다.
굴삭기같은 장비를 이동하는 목적의 차량들은 종종 보이지만, 영업용은 정말 오랜만입니다.
데칼을 보고 거의 단종 직전 나온 모델이겠구나 생각했더니 맞았습니다. 2세대 모델이 98년 9월에 출시되었으니 최후기형 모델이라 봐도 무방하겠죠. 그렇다고 해서 초기형 모델과 큰 차이가 있는건 아닙니다. 그릴이 바디컬러에서 검정색 플라스틱으로 변경되었고 기아 엠블럼만 타원형으로 변경되었으니 말이죠. 당대 트럭들의 상징인 속도표시등의 흔적도 보이고요. 그 시절 중형트럭이 가졌던 요소는 모두 가지고 있었습니다.
27년의 세월을 영업용으로 달려오며 캡의 부식이 일부 진행되는듯 보였지만 상당히 준수한 상태를 자랑하고 있었습니다. 그래도 꾸준히 관리가 되고 있으며 오래 탈 생각으로 유지보수를 하고 계신지 원형의 안개등과 적재함 그리고 적재함을 교체하며 함께 교체된 후미등정도만 제치가 아닌듯 보입니다. 적재함의 경우 현대 메가트럭용으로 보이네요.
주유 후 어디론가 떠난다.
주유를 마치고 목적지로 떠나는 라이노의 모습입니다.
저감장치 장착여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수도권만 진입하지 않는다면 큰 문제는 없을겁니다. 이런 20년 넘은 차량들을 아직도 영업용으로 운용하시는 사장님들은 대부분 지방에서 근거리 위주로 운행하기에 아직까지는 규제가 옥죄어오지 않고 규제를 하더라도 소상공인 차량에 한해 단속을 유예하는 지방에서는 운용하기에 큰 제약은 없습니다.
21세기가 도래한지도 20년이 넘었습니다만 아직 20세기 차량들은 이렇게 건재합니다. 승용차가 아닌 상용차들이 말이죠. 자가용 번호판이지만 전국 각지로 침구류를 납품한다던지, 아직 영업용 번호판을 달고 현역으로 달리고 있던지 번호판의 형태는 다르더라도 이렇게 전국 어딘가를 달리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그 모습 그대로 도로 위에서 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