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지역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50건

반응형


기다리고 기다리던 9월 14일이 찾아왔습니다.


대우 아니 GM의 전기차 볼트EV를 계약하고 손꼽아 기다려 왔던 날인데, 뭐 결과는 먼저 요약하자면 참담했습니다. 대기자 축에도 끼지 못했네요. 결론은 당진시에 한번 더 지원하는 방법을 활용해야만 합니다. 여튼 이 이야기는 나중에 하도록 하구요. 전기차 보조금 대상자 추첨식을 참관했었던 이야기나 좀 풀어볼까 하네요.


결론은, 선착순이 아닌 추첨제로 보조금을 받아 전기차를 구매하기는 타고난 운이 있지 않은 이상 정말 힘듭니다.



여튼 공고는 나갔고.. 총 14대에 국가 그리고 충청남도와 홍성군에서 2000만원을 지원해 주는데 총 96명이 지원했다고 합니다. 약 7:1 수준의 경쟁률로 2:1,3:1이야 운 없는 사람들이 떨어진다고 봐야 맞겠지만, 7:1은 반대로 운 좋은 사람이 붙는다고 봐야겠지요.


9월 14일 오후 3시. 홍성군청 별관 1동 지하의 구내식당에서 추첨식이 거행되었습니다.



민원실과 농협 출장소가 소재한 이 건물을 본관으로 알고 있었는데, 별관이였더군요.


여튼 농협 출장소 뒷편의 통로를 통해 지하로 내려갑니다. 빠른 시일 내 신청사 건립이 필요한 홍성군청입니다. 물론 터가 다 잡힌 내포로 온다면 좋겠지만, 기존 유지들이 결사반대하며 어디 홍성읍 외곽으로 가게 만들겠죠.






2018년도 하반기 전기자동차 추첨. 


통로 앞에도 전기차 추첨을 알리는 종이가 붙어있습니다. 화살표를 따라 구내식당으로 들어갑니다.



96명의 이름이 접수순서대로 나열된 상태입니다. 코나가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중간에 줄이 쳐 진 사람들은 지방세 체납자라고 하고요. 여튼 96명 중 볼트는 8명. 니로는 13명. 아이오닝 13명. 쏘울도 1명이고. 그 외 나머지는 모두 코나를 계약한 사람들입니다. 그래도 2세대 전기차인 볼트와 니로 코나의 인기가 어느정도 비등할 줄 알았으나 코나가 압도적으로 많은 수치를 자랑합니다.



추첨 약 15분 전. 담당 공무원분이 자리를 지키고 계셨고, 아주머니 한분이 일찌감치 와 계셨습니다.


맥스크루즈를 타고 다니시는데, 기름값이 너무 많이 들어 전기차를 사려고 지원했다고 하네요. 니로를 계약하셨다고 하십니다. 대부분 전기차를 사려는 이유는 비슷하겠죠. 여튼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다보니 추첨을 참관하기 위해 생업을 제쳐두고 시간을 낸 사람들이 하나 둘 모이기 시작합니다.



추첨은 고전적인 방식의 제비뽑기로 진행됩니다.


모든 신청자들의 이름과 접수번호가 담긴 종이가 나열되어 있습니다. 약 10여분 전 부터 본격적으로 제비를 접어 추첨함에 넣기 시작합니다. 100장 가까운 종이를 한 사람이 접기는 힘드니 참관하러 온 시민들도 함께 도와줍니다.



본격적으로 제비를 접기 시작합니다.


이 시점까지 참관을 위해 모인 시민은 정확히14명. 딱 여기 온 사람들에게 추첨 없이 보조금을 지급해주면 어떨까 싶은 마음입니다만, 현실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애초에 참관 자체가 공정성을 위한 과정이기에 참관을 한다고 보조금을 지급해주는건 아니라지요. 여튼 제비를 모두 접어 추첨함에 넣고, 추첨을 위한 모든 준비를 마쳤습니다.



100여개의 접수번호와 이름이 적힌 종이가 모두 접혀 저 통 안에 들어가 있습니다.


상반기 1차 역시 이런 방식으로 추첨을 진행했다고 합니다. 3시가 넘어가고, 참관을 목적으로 온 사람들이 몇명 더 들어옵니다.그렇게 참관인만 20명이 조금 넘는 사람들이 모였습니다. 물론 추첨도 참관인 중 세사람이 제비를 각 8개씩 뽑기로 했고요. 그렇게 추첨은 시작됩니다.



참관인 중 대표로 제비를 뽑는 분이 제비를 뽑아 담당 공무원에게 건네주면 공무원이 제비를 개봉하는 방식입니다.


그렇게 추첨은 시작되었고, 금방 전기차 보조금을 받을 대상자들의 윤곽이 정해지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당첨자들의 윤곽이 모두 드러나고 예비자 10명까지도 빠른 속도로 윤곽이 잡혔습니다.

20명 넘는 사람들이 와서 참관을 했고, 참관인들이 제비를 뽑았지만.. 참관인 중 당첨자는 단 한명도 없었습니다.


물론 예비순위자 중 큰 의미 없는 늦은 순번에 두명이 이름을 올렸지만, 그마저도 확률이 그리 크진 않다보니 사실상 제비가 뽑히지 않은 것과 큰 차이는 없습니다. 시간을 내서 추첨과정을 참관했지만 다들 영 좋지 않은 기분으로 돌아갔네요. 곧 추첨결과 공고가 홍성군 홈페이지에 올라왔고, 절차에 따라 당첨된 분들은 보조금을 받아 전기차를 출고하시겠죠.


여튼 그랬습니다. 참관을 온 사람 중 한명이라도 당첨자가 나왔더라면 모르겠지만 정말 허무하게 끝나버렸네요. 홍성 역시 따로 사는 가족 명의로 신청을 넣은 사람들이 여럿 있더군요. 이제 명절이 지나고 30대 규모로 올라오는 당진시 공고에 관심을 가져봐야겠습니다. 물론 당진에도 볼트로 넣을지, 현대의 코나나 기아의 니로같은 다른 차로 계약을 넣을지는 조금 더 고민을 해야 할 부분으로 보이네요. 그마저도 떨어진다면 내년을 기약하고요.


허무하게 돌아오면서 스파크에 기름을 가득 넣어줬습니다. 아무래도 당분간은 계속 타야 할 상황이니깐요..


P.S 내년에는 보조금이 최소 200만원은 줄어들겠지만, 훨씬 더 많은 댓수의 지원금을 확보했다고 한다. 그래도 올해 꼭 사야지...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장항선 화양역.


2008년 장항선 개량공사 당시 살아남았지만, 역만 번지르르하게 지어놓았지 막상 여객 및 화물영업은 하지 않는 기차역. 무배차간이역입니다. 수요예측에 실패하거나 여타 이유로 인해 개량공사 당시 새 역사를 지어놓았지만 사실상 개점휴업중인 역이 여러군데 되지요. 


여튼 화성송산~홍성간 서해선의 시점이 홍성역이 아닌 이 역으로 계획되어 있었습니다만 어른들의 사정으로 인해 계획은 홍성역으로 변경되었고 마침 근처에 신도시가 생기며 내포신도시에서 가장 가까운 역으로 활용방안에 대한 논의가 있긴 했지만 정작 이용은 할 수 없는 그런 역으로 남아있습니다. 여튼 내포가 자치시로 독립하지 않는 이상은 홍성과 예산 원도심 유지들 눈치보는 탓에 화끈한 발전은 없을거라 봅니다.





홍성군 금마면 화양리.


작은 마을을 관통하는 도로변에 다 지워져가는 이정표와 함께 저 구석에 화양역사가 보입니다. 앞으로 휀스가 쳐진곳은 농어촌공사의 농수로 개보수 관련 현장사무소. 여튼 철도와 일절 관계가 없습니다.



역 건물 앞으로 가는 입구는 모두 막혀있습니다.



그나마 철로가 지나가는 고가교 밑 지하통로로 들어가는 길목으로 가야 그나마 가까이에서 볼 수 있네요.


조만간 복선화가 되겠지만, 아직까지는 단선철도인 장항선 특성상 교행을 해야만 합니다. 가끔 장항선 열차를 타고 지나가다보면 이곳에서 반대편 열차를 기다렸다가 교행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기도 합니다.


여튼 역사도 새로 지어놓았고, 플랫폼도 새로 잘 지어놓았는데 10년 넘게 방치중인 상황이 안타깝기만 합니다.


역 구경은 이게 전부이고, 바로 옆 화차공장 자리로 가 보도록 합니다. 이 역이 선로개량 이후에도 살아남을 수 있었던 이유가 바로 옆 화차공장이 존재해서 화물취급을 했기 때문이라 합니다만, 공사가 얼추 다 끝날 즈음 화물취급도 중단되고 여객취급도 중단되며 현재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 2019-05-17 수정. 모 업체 요청으로 삭제



조금 이동하여 옛 화양역전 부근으로 향합니다.


화양역이 현재의 위치로 이설되기 이전의 구 화양역 앞 역전 시가지입니다. 슈퍼와 치킨집 그리고 중국집이 존재했었고 화물취급역이였기에 대한통운 사무소의 흔적도 보입니다만, 현재는 대부분이 폐업하였고 평범한 가정집들만 존재합니다.



불과 10년 전만 하더라도 저 앞으로 작은 기차역이 있었습니다만..


현재는 인적이 드문 평범한 시골마을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게 되었습니다. 역사가 있었던 자리는 휀스 뒤로 잡초만 무성할 뿐이고, 새로 지어진 화양역사는 관리 직원이 아닌이상 들어갈 방법이 없습니다.



건물은 결국 경매에 넘어간듯 보입니다.


정보를 찾아보니 2017년에 주변 대지와 함께 이 2층건물은 7천만원대에 낙찰이 되었다고 합니다. 뭐 근처의 내포신도시로 인해 화양역이 다시 여객영업을 개시할 확률이 아예 없지도 않고, 평범한 시골마을이지만 투기꾼들이 이미 땅값도 오를만큼 오른 상황입니다. 


철길을 가로질러 농로를 타고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