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에 해당되는 글 1342건

반응형



뭐 엔진을 고쳐도 잔진동은 여전하고. 마치 뉴코란도를 타는 느낌이 들 정도로 차가 흔들리는게 느껴지더군요. 아주 심한건 아니지만, 20만km 넘게 주행하면서 단 한번도 점화코일을 갈지 않았다는 사실이 기억나 결국 교체를 마음먹었습니다.


점화플러그와 케이블은 그래도 주기적으로 잘 갈아주었고, 비교적 최근에도 갈아줬지만 점화코일은 손도 대지 않았었네요. 4만km에 인수했으니 20만원짜리 순정 도어리모콘 옵션을 안넣고 나중에가서 사제 도어록을 달았던 수원시 정자동에 거주했었던 67년생 전 차주 아저씨도 분명 손을 대지 않았으리라 생각됩니다.


일단 가격대를 확인해보니 대우 순정품은 무려 6만원이 넘는 가격대를 자랑합니다.


돈없는 거지에게 쉐보레라 쓰고 대우라 읽는 회사의 창렬한 순정품은 사치일 뿐. 


25182496과 96253555 품번을 쓰는 부품의 비품이 나오는지 확인해봅니다.




아~~주 많은 수량의 부품들이 검색됩니다.


그렇습니다. 옛 대우시절부터 2010년대의 스파크까지. 같은 부품을 공유하고 있었습니다. 중형차인 레간자 1.8을 시작으로 누비라1,2 라세티 칼로스 젠트라 그리고 마티즈 크리에이티브와 스파크까지 모두 호환이 되는 제품이네요. 본질은 대우시절 개발된 자동차와 같은 부품을 사용하는 대우차입니다만, 극성 쉐슬람들에게는 현실부정과 함께 씨알도 먹히지 않습니다.


그렇습니다. 임팔라가 안팔리는 이유도, 이쿼녹스가 안팔리는 이유도 그것입니다. 철수설이 붉어지는 문제도 있지만 쉐슬람을 제외한 정상적인 소비자가 생각하기엔 가성비가 좋은것도 아니고 마크 바뀌고 그저 비싼척 해대는 대우차니 말이죠.


가장 저렴한 가격대의 부품은 3만4천원. 그리고 OEM으로 납품하는 회사의 제품도 3만원대에 판매중이더군요.





순정부품을 OEM으로 납품하는 델파이(DELPHI) 제품입니다.


현재는 사명을 이래오토모티브로 변경했지요. 여튼 국산이고, 순정품과 성능상에도 큰 차이가 없어보입니다만 최저가 제품에 비해 3천원이 비싸고 택배비까지 포함한다면 결국 4만원짜리 부품입니다. 3000원을 더 투자해야할지 한참을 고민하다가 선택한 제품은, 결국 3000원 저렴한 3만 4천원의 중국산 부품입니다.



거지라서 슬픕니다.ㅠㅠ


3천원 아낀다는 생각에 결국 중국산 제품을 구매합니다. 이미 저처럼 최저가를 찾아 돌아다니던 오너들이 많이 구매해서 장착했을테니 뭐 검증은 된 물건일테고. 서지탱크 탈거가 좀 거지같을 뿐이지 교체 자체는 어려운 물건이 아닌지라 사용 후 정 아니라면 추후 점화플러그 교체시 같이 교체해도 상관없을겁니다. 그렇게 믿고 가장 저렴한 물건으로 구매하네요.



일단 구매는 완료.


수요일 내로 배송되어 오리라 생각됩니다. 시간 날 때 직접 작업을 해 볼까 싶네요. 여튼 6만원짜리 순정에 부담을 느끼고 비품을 찾다가 3,000원 비싼 델파이제 놔두고 중국산을 샀던 거지의 처절한 이야기입니다. 생각 외로 대우시절 출시된 차량들에 다수 적용됨에 따라 호환차종이 많았고, 비품도 여러 종류가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 간단히 지나친 올드카들에 대한 사진입니다.

첫번째로 아시아자동차의 AM트럭입니다.

1984년 일본 히노의 슈퍼돌핀트럭을 기반으로 출시되어 1992년 부분변경 모델의 출시. 그리고 1995년 그랜토의 등장으로 단종되었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판매된 현대의 91A, 쌍용의 SY트럭에 비해 잔존댓수가 많지 않아 매우 보기 귀한 차종이 아닐까 싶네요.

2013년 즈음부터 세종시 번호판을 달고 다니던 AM670 18톤 카고트럭(8×4)이 충청남도 곳곳을 돌아다니다 보면 종종 보이곤 했는데 근래 잘 보이지 않더니만 오랜만에 지나가는 모습을 보았네요.


흔히 '앞사발이'라고 불리는 형태의 카고트럭입니다.

조향축이 두개. 그러니까 앞 축의 두 바퀴가 함께 움직이는 차량입니다. 산모양의 데칼과 원형 엠블렘으로 보아 1994년 최후기형 모델로, 적재함의 부식을 제외하고는 준수한 상태로 거리를 활보하고 있었습니다.


종종 지나가다가 보던 차량이지만, 오랜만에 보니 반가웠네요.

믹서트럭으로는 그래도 가끔 보이곤 합니다만, 현역 카고로 활동하는 차량은 그리 쉽게 보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조금 더 정감이 갑니다. 부디 다음번에도 건재한 모습 보여줬으면 좋겠네요.


공주 23번국도변 차령터널 근처에서 본 프린스입니다.

그럭저럭 보이는 대우의 중형세단 프린스인데, '서울2'로 시작하는 지역번호판에 나이가 좀 있어보이는 외국인 아저씨가 타고 계시더군요. 외국인처럼 보이는 나이드신 아저씨일수도 있겠습니다만, 93년식 프린스 역시 지금의 모습 그대로 주인곁에서 사랑받았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