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내성발톱(내향성 발톱,내향성 족지발톱,조갑 감입증)이라 하는 질병은 발톱 끝이 살을 파고들어 염증과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라는 사전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처음에는 항생제만 사다 먹어도 나아지고 해서 별다른 문제는 없었지만 비교적 근래부터 항생제만 먹어서는 염증이 조금 줄어들고 통증이 조금 줄어드는 수준이지 별다른 치료가 되지 않았습니다. 엄청난 고통을 감내하고 살을 다 파고 나올때까지 참으면 통증은 상대적으로 덜해졌고, 암만 일자로 발톱을 깍는다고 해도 그 고통은 발톱을 깎아내기만 하면 계속 진행되곤 했습니다.


여튼 아프고 자라고 발톱을 깎아내고를 반복하던 중 얼마 전 일본에 가기 전 발톱을 깎았는데, 다녀온 뒤 부터 발톱이 자라며 엄청난 통증을 동반하기 시작했습니다. 도저히 참지 못하겠어 이 굴레를 벗어던지고자 마침 쉬는 김에 결국 수술(시술)을 감행하기로 했습니다.



홍성의 한 피부과에서 내성발톱 수술을 진행합니다.


말이 수술이지 시술 수준의 간단한 의료행위입니다. 고난도의 기술을 요하는 수술도 아닌지라 살고 계신 지역 근처의 의원급 피부과나 외과에서 자주 이런 시술을 진행한다고 합니다. 물론 지난번에도 다른 약을 타러 피부과에 왔다가 수술 대신 약만 타 왔었는데, 이번에는 곧장 수술을 진행하기로 합니다. 


따로 예약을 잡고 와야하거나 가디리는 일 없이 수술 결정과 동시에 처치실에서는 수술 준비가 진행됩니다.


수술이라고 하기도 뭐합니다. 엄지발가락에 국소마취를 한 뒤 발톱의 일부를 뿌리까지 잘라내는게 이 의료행위의 핵심이자 전부입니다.


제 왼발 엄지발가락은 안쪽으로 파먹고 있었습니다. 물론 바깥쪽으로도 살짝 파먹은 상태이지만, 바깥쪽은 딱히 문제가 된 적이 없었습니다. 자라나는 발톱으로 인해 발가락도 퉁퉁 부어있었고요. 


혐오스러운 사진을 그냥 올리긴 뭐해서 아래에 접어두었습니다.

굳이 보시라고 추천드리진 않지만 정 보시고 싶으시다면 아래 버튼을 눌러보세요.




이러한 수술 아니 시술은 정말 허무하다 느낄 정도로 금방 끝났습니다.


마취를 위해 주사바늘이 들어가는 순간이 비명이 나올 수준으로 가장 아팠고, 사실상 마취 이후 무언가를 잘라내는 느낌이 들을 때엔 그리 아프지 않았습니다. 다만 발톱의 뿌리쪽으로 갈수록 더 아프게 느껴졌었네요. 바깥쪽 역시 발톱을 파먹은 상태이니 아예 발톱 전체를 도려내자고 했습니다만, 굳이 일을 더 크게 만들고싶진 않아 문제가 된 안쪽만 잘라내자고 했네요.


마취의 고통이 수술에서 느낄 수 있는 고통의 80%를 차지하고, 마취를 위한 주사바늘이 들어갔다 나오는게 수술 과정의 50%를 담당합니다. 그렇다고 마취 없이 수술을 하는 부분에 대해선 딱히 추천드리지 않고요. 차라리 잠깐 아프고 마는 수준의 마취를 하는게 나을거라 봅니다.



병원비 18,000원. 하루치 약값 2,000원.


보통 2만원정도 나올거라 하는데 그보다 적게 나왔네요. 수술비 치곤 생각보단 저렴합니다만, 보통 처치비를 포함하여 만원 안팎의 진료비를 내는 의원급 병원에서 1만원 넘는 진료비를 내고 왔으니 실비보험으로 병원비의 일부를 돌려받을 수 있을겁니다.


어짜피 내일도 소독을 위해 병원을 찾아야 하니 하루치 약만 받아왔네요. 항생제와 소염제 그리고 소화제로 이루어진 약입니다. 수술 후 처음에는 좀 아팠는데 시간이 지나니 그리 아프지는 않네요. 수술 이후의 관리가 문제라고는 합니다만, 큰 고비는 넘겼으니 어려운 일은 아니리라 생각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평일에 쉬는 일이 생겨 탁송이나 탈 겸 서해안고속도로를 타고 유유히 올라가던 길에 목격했던 차량입니다.


지금으로부터 약 20여년 전. 3세대 뉴포터 출시 이전 각포터와 구형 포터 그리고 마이티에 사용되던 하늘색 비슷한 청색. 정식 명칭 '매취블루'색의 영업용 트럭이 지나가고 있었습니다. 



그렇습니다. 구시대 유물인 등화관제등까지 온전히 달려있던 1세대 마이티였습니다.


1986년 자동차공업합리화조치의 해재 이후 현대는 포터와 함께 2.5톤급 준중형 트럭을 내놓게 됩니다. 당연하게도 독자적인 개발능력은 없으니 협력관계에 있었던 미쓰비시후소의 5세대 캔터를 '마이티(MIGHTY)'라는 이름으로 라이센스 생산 및 판매를 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베이스가 되었던 5세대 캔터는 93년 단종되었지만, 현대는 98년까지 1세대 마이티를 생산했습니다. 


물론 12년을 생산하며 많은 부분의 개선을 이루어냈습니다. 80마력대 자연흡기 디젤엔진이 주류를 이루던 준중형 트럭시장에 3.5톤 모델에 한하여 100마력이 넘는 터보엔진을 동급 최초로 적용했었고 타이탄이 독점하던 시장을 경쟁체제로 전환하는데에 큰 공을 세우기도 했었죠. 전기형의 경우 4등식 원형 헤드램프가 적용되었고, 94년식 이후 후기형의 경우 직사각형 형태의 4등식 헤드램프가 적용되었습니다. 물론 이 차량은 후기형 마이티였습니다.



2.5톤 장축 고상형 차량으로 보이네요. 


서울지역 영업용 번호판. 그대로 살아있는 등화관제등과 구형 테일램프의 모습은 온전히 살아있었지만, 일부 세월을 타며 개조된 흔적들도 보였습니다. 적재함 문짝은 신형 이-마이티용을 개조하여 장착한듯 보이고, 발판 겸 안전바는 세월을 이기지 못해 떨어져 나간 뒤 대충 붙이고 다니시는듯 보이네요.



전반적인 관리상태는 우수합니다만, DPF가 달려있네요.


매연저감장치를 장착하며 배기라인 역시 우측으로 빠져있었습니다. 중국몽에 심취하여 중국발 미세먼지에 찍소리 못하며 경유차만 적폐로 몰아가는 정부 아래에서 노후경유차를 계속 굴리기 위해서는 이 방법 말곤 없습니다. 물론 매연저감장치가 장착된 차량이지만 공차상태인지라 제가 타고가던 다썩은 포터를 추월 할 정도로 잘 나가더군요.


출고 당시 붙어나왔던 바코드 역시 그 자리에 그대로 붙어있었고, 캡의 부식으로 칠이 약간 갈라진 부분도 있었지만 24년의 세월을 버틴 트럭이 이 수준이라면 관리가 잘 된 상태라 말 할 수 있겠죠.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며 같은 길을 함께 달렸습니다만, 어느순간 사라졌더군요.


어느순간 쉽게 볼 수 없는 트럭이 된 구형 마이티인데, 아직 현역 영업용으로 고속도로를 달린다는 모습이 정말 놀랍게 느껴졌습니다. 어지간한 학생들보다 나이가 많은것은 물론이요 사람 나이로 치자면 20대 중반인 노장임에도 꾸준한 관리를 통해 마이티를 타고 지방에 다녀오시는 차주분도 대단하다 느껴지고 말이죠.


매연저감장치를 장착하여 노후경유차의 운행이 제한되는 날에도 수도권을 활보하고 다닐 수 있겠죠. 앞으로도 주인아저씨의 무한한 사랑을 받으며 우리의 구형 마이티가 전국을 문제없이 활보하고 다녔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