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96년에 생산된 기아의 상용차량들입니다.

 

마침 두 차량의 번호판이 '서울80'으로 시작하고 비슷한 시기에 발급되었네요. 비슷한 시기에 발급되었던 번호판이지만, 아직 건재하게 고속도로를 달리는 모습으로 다시 목격했고 다른 한 대는 저감장치를 장착하여 적폐청산은 면했지만 폐차장 렉카가 걸고 가는 안타까운 상황이었습니다. 물론 차량 특성상 폐차 분해보다는 수출길에 오르겠지만 여러모로 안타까웠습니다.

 

먼저 96년 10월에 최초등록된 프레지오 6인승 글라스밴입니다.

 

1996 KIA PREGIO VAN

2022년 10월 13일에 평택제천고속도로 남안성IC 인근에서 촬영했던 사진입니다.

 

왜 이 차량을 올드카 목격담에서 깜빡하고 넘어갔는지 저도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만, 마쓰다의 3세대 봉고를 기반으로 하는 베스타의 후속으로 95년 11월 출시되었던 기아의 독자개발 모델입니다. 지금 봐도 세련된 유선형 디자인을 채택하였고 이 차량과 함께 개발했던 J2엔진이 적용되었습니다. 그렇게 자잘한 부분변경과 풀체인지급 부분변경 모델인 '봉고3 코치' 까지 약 10년간 생산된 뒤 단종되었습니다.

 

프레지오의 출시 이후에도 한동안 베스타와 15인승 롱바디 모델인 토픽이 병행하여 생산되기도 했지만 베스타는 기아자동차의 사정이 나빠지기 시작하던 97년 12월에, 토픽은 2000년에 부분변경을 거치며 프레지오의 롱바디 모델이 출시되며 단종되었습니다.

 

승합차 시장에서 벤츠제 파워트레인을 들고 나온 쌍용 이스타나, 현대 그레이스에 밀려 상대적으로 고전했던 차량이지만 2003년 단종되었던 두 차량보다 더 오랜 세월 살아남았고 초기형에는 남색이나 빨강색 그리고 이 차량에 적용되었던 청녹색을 비롯하여 다양한 색상의 선택이 가능했었습니다. 거기에 매우 보기 드물었지만 95년에 등록하여 한자리 지역번호판을 부착했던 차량들도 간혹 존재했었네요. 동네에 광동제약 도색이 된 프레지오 밴이 96년 이전의 한자리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2000년대 후반까지 돌아다녔던 모습을 봤던지라 기억에 남아있습니다.

 

1996 KIA PREGIO VAN

2023년 9월 19일 발안IC에서 다시 목격.

 

여튼 이 차량을 서해안고속도로 발안IC에서 약 1년만에 다시 목격하게 되었습니다. 서울방향으로 올라가던데 육안상 보이는 부식도 별로 없고 도장에서 광이 납니다. 휠커버도 분진이 조금 뭍어있긴 하지만 차령을 생각한다면 상당히 깔끔하고요. 트렁크 도어에는 최대적재량 스티커까지 그대로 남아있을 정도로 사실상 교환이나 도장 없이 공장 도색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경이로운 모습입니다.

 

대부분의 프레지오가 수출길에 오르거나 노후경유차를 적폐취급하는 정책으로 폐차장의 이슬로 사라졌습니다만, 서울이나 수도권에 차적을 두고 있는 이상 스티커는 없지만 높은 확률로 DOC나 DPF같은 저감장치를 장착하셨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러니 27년 가까운 세월을 버틸 수 있지 않았나 생각되네요.

 

아직까지 고속도로 운행도 가능한 모습으로 보아 앞으로도 문제 없을듯 합니다. 부디 오랜 세월 살아남아 다시 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1996 KIA JUMBO TITAN

다음은 2023년 8월 당진의 국도 32호선에서 목격했던 96년 8월 등록 점보타이탄입니다.

 

마쯔다의 초대 타이탄을 기반으로 71년에 출시된 기아 타이탄의 부분변경 모델인 점보타이탄입니다. 초기형 모델은 말소처리가 되지 않아 서류상으로만 남은 차량을 제외하면 사실상 잔존개체가 없다고 봐야 맞을테고, 후속 모델인 트레이드의 출시 이후의 후기형 모델들을 이렇게 간간히 볼 수 있습니다. 올드카 목격담에서도 수차례 다뤘었지요.

 

 

아시아자동차 AM420CS 견인차, 기아 점보타이탄 피견인차.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한 운전학원에서 사용중인 견인차와 피견인차가 그 주인공입니다. 아시아자동차의 AM420CS 8톤 렉카트럭과 피견인차로 이용중인 기아자동차의 점보타이탄. 물론 시골에

www.tisdory.com

 

1991 기아자동차 점보타이탄 1.4톤 (1991 KIA JUMBO TITAN 1.4TON)

당진시와 예산군의 군계. 신촌이라 부르는 작은 시골마을에서 목격한 점보타이탄입니다. 지난해 여름에는 아시아자동차의 AM420CS 견인차와 함께 피견인차로 사용되던 후기형 점보타이탄을 짧게

www.tisdory.com

 

이 차량은 이전에 목격했던 차량들과 달리 95년에 그릴의 형상이 약간 변경된 최후기형 모델입니다. 93년까지는 소하리 공장에서 생산되었지만 이후 단종시까지 광주공장에서 생산되었으며 이 차량은 광주공장 생산분이지요. 잘 보면 적재함에 저감장치 혹은 LPG 개조 스티커가 붙어있던 흔적이 있습니다. 저감조치를 마친 차량인지라 더 달릴 수 있을텐데 폐차장으로 향하고 있었습니다.

 

깔끔하다.

적재함 문짝 하단의 일부 부식을 제외하면 27년 가까운 세월을 달렸음에도 상당히 깔끔합니다.

 

데칼도 살아있고요. 온갖 폐차를 견인하며 칠이 벗겨지고 녹이 생긴 견인차보다 더 깔끔합니다. 확실히 대도시에서 차생을 보낸 차량들이 시골에서 농업용으로 이용하는 차량들 대비 준수한 상태를 보여줍니다. 이렇게 깔끔한 차량이 저감조치까지 마쳐 더 타도 큰 문제가 없음에도 폐차장의 이슬로 사라지는 모습을 보고 있으니 안타깝기만 합니다.

 

잘 가 점보타이탄

한참을 같이 달리다 헤어졌습니다.

 

차생의 마지막을 낮선 지방에서 마무리하게 되는군요. 높은 확률로 부품 혹은 완차로 수출길에 오르겠지만, 승용차도 아니고 짐차인 타이탄의 마지막 가는 모습에 관심을 갖는 사람은 저 말곤 없었습니다. 타국에서 새 삶을 살아갈지 분해되어 제강소로 향할지 모르겠지만 그간 고생했던 타이탄에게 수고했다는 이야기를 전하고 싶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8월 여행기 2일 차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1일 차에는 입국 후 다자이후 텐만구를 거쳐 텐진으로 돌아와 메이드카페에서 돈을 좀 쓰고 나카스 포장마차  거리 일대를 돌아보고 들어왔습니다. 2일 차에는 사가현 사가시의 몇몇 명소를 둘러보고 오후에 후쿠오카로 다시 돌아왔네요. 약 2부에 걸쳐 사가현 사가시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8월 후쿠오카(福剛),사가(佐賀) 여행기 (1) 당일 예약 즉흥 여행의 시작

3월 4월 5월 6월 그리고 8월까지. 올해 총 다섯 번의 일본여행이 있었습니다. 3월 여행처럼 즉흥적인 항공권 예매에서 시작되었지만 8월 여행은 이전부터 항공권을 관망하다가 집을 나오는 시점에

www.tisdory.com

 

8월 후쿠오카(福剛),사가(佐賀) 여행기 (2) 다자이후 텐만구(太宰府天満宮)

8월 여행기 1부 내용에서 계속 이어집니다. 8월 후쿠오카(福剛),사가(佐賀) 여행기 (1) 당일 예약 즉흥 여행의 시작 3월 4월 5월 6월 그리고 8월까지. 올해 총 다섯 번의 일본여행이 있었습니다. 3월

www.tisdory.com

 

8월 후쿠오카(福剛),사가(佐賀) 여행기 (3) 호텔 라이브맥스 후쿠오카 텐진 웨스트, 메이드리밍 텐

8월 후쿠오카(福剛),사가(佐賀) 여행기 (1) 당일 예약 즉흥 여행의 시작 3월 4월 5월 6월 그리고 8월까지. 올해 총 다섯 번의 일본여행이 있었습니다. 3월 여행처럼 즉흥적인 항공권 예매에서 시작되

www.tisdory.com

 

8월 후쿠오카(福剛),사가(佐賀) 여행기 (4) 나카스 포장마차 거리, 1일차 마무리

3부 내용에서 이어집니다. 8월 후쿠오카(福剛),사가(佐賀) 여행기 (1) 당일 예약 즉흥 여행의 시작 3월 4월 5월 6월 그리고 8월까지. 올해 총 다섯 번의 일본여행이 있었습니다. 3월 여행처럼 즉흥적

www.tisdory.com

 

지난 여행기 내용에서 계속 이어집니다.

 

평화로운 일요일 아침

평화로운 토요일 아침이자 오봉 연휴의 첫날. 호텔 밖을 나섭니다.

 

평일 같으면 출근하는 사람들이 꽤나 보일법한 도로도 상대적으로 한산하기만 합니다. 어느 나라나 다를 것 없이 휴일 아침은 한산하기만 합니다.

 

불금을 막 지난 텐진의 골목길

불금이라고 새벽까지 부어라 마셔라 즐겼을 사람들은 죄다 어디론가 사라졌습니다.

 

가볍게 입은 근처 주민들만 좀 보이지 항상 붐비는 텐진의 모습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졌습니다. 평일 아침이라면 간간히 출근하는 사람들의 모습이라도 보입니다만, 연휴의 시작을 알리는 토요일이라 그런 사람들도 별로 보이지 않는군요.

 

텐진 버스센터

텐진역 아무 입구로 들어가도 그냥 이정표를 따라 걸으면 버스센터에 도착합니다.

 

텐진역 남쪽의 서철(니시테츠) 구역에 버스 승차장이 있습니다. 서철이라는 이름과는 달리 철도사업뿐만 아니라 시내버스와 우리나라로 따지자면 시외버스급 되는 버스 노선도 여럿 운영하고 있습니다.

 

텐진역 버스 승차장

한적했던 도로와 달리 토요일 이른 아침부터 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은 꽤 많았습니다.

 

오봉 연휴를 맞아 어디론가 떠나는 현지인들이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기 위해 버스터미널을 찾은 외국인 여행객들은 거의 없고 대부분 현지인이네요. 버스는 꾸준히 있기에 딱히 시간표를 보지 않고 나왔습니다.

 

사가행 버스

사가행 버스는 4번 플랫폼에 정차합니다.

 

현재 시간 7시 33분. 사가행은 7시 58분에 발차합니다. 이후 사세보행과 나가사키행 버스가 계속 들어오네요. 일반적인 터미널보다는 잠실역 버스환승센터와 분위기가 비슷합니다.

 

왕복권 발권

표를 발권합니다.

 

IC카드도 지원하고 편도권 발급도 가능합니다만, 왕복권으로 발권해야 약간 할인되어 싸게 먹힙니다. 다만 유효기간은 당일로 한정되는지라 당일 왕복 시에만 써먹을 수 있습니다. 아직 버스가 도착하려면 시간이 많이 남았으니 터미널 내 편의점 구경이나 하러 들어갑니다.

 

한국산 비밀젤리

한국의 서주에서 제조하는 비밀젤리를 세븐일레븐에서 목격합니다.

 

그 우유맛 아이스크림 '서주아이스주'를 제조하는 서주에서 만든 젤리입니다. 이런 자체 상품들도 있지만 대부분 롯데에 OEM으로 공급하고 있다네요. 한국 포장 그대로에 작은 일본어 설명정도만 붙어있습니다.

 

새우마요

에비 마요네즈.

 

새우를 바다의 노인. 해노(海老)라고 부르기도 한답니다. 마요네즈에 버무린 새우가 들어있는 그런 삼각김밥입니다. 가격은 세금 포함 167엔. 한국 편의점의 삼각김밥 가격이나 큰 차이는 없습니다.

 

버스운전사 채용안내

터미널 한켠에는 니시테츠버스그룹의 채용안내문이 비치되어 있습니다.

 

한국 대형경력이나 인정해 주면 급여는 짜도 워홀비자 받아서 일본 가서 버스기사나 해볼까 싶었습니다만 외국인은 안된답니다. 채용안내 전단 일러스트에서 보다시피 남성뿐만이 아니라 여성에게도 열린 자리이고, 실제 여성 승무사원들도 많다고 합니다. 물론 우리나라에도 여성 버스기사가 존재하긴 하지만, 한 회사에 많아봐야 한두 명인 수준이지요. 대부분 주부생활을 하다 새로운 일자리를 찾은 중년의 아주머니들이고요.

 

겉으로는 유리천장이니 양성평등이니 주장하지만 꿀빠는 자리나 전문직을 비롯한 좀 있어 보이는 직업들에서의 할당을 요구하지 자신들이 생각하기에 모양 빠진다 느끼는 버스기사는 하려는 사람도 적고 할당을 해준다 해도 할당량을 채우지 못할 겁니다. 어느 나라에선 초등교사가 소개팅에 시내버스 기사가 나왔다고 욕을 엄청 했다는 이야기도 돌아다니는데 옆나라에선 인기 여배우가 버스기사와 결혼까지 합니다. 옆나라지만 비교해 보면 정말 딴판입니다.

 

버스 탑승

딱 발차시간에 맞춰 도착한 버스에 탑승했습니다.

 

빈자리가 거의 없이 꽉 채워 사가현의 현청 소재지 사가시로 출발합니다. 사가시의 인구는 23만명. 현청 소재지 치곤 지방 중소도시 수준의 인구 규모를 자랑하며, 매년 열리는 열기구 대회인 '사가 인터내셔널 벌룬 페스타' 를 제외하면 관광객에게 크게 알려진 행사라던지 유적지는 현 내 다른 도시(가라쓰,이마리)에 비해 그리 많지 않습니다.

 

2차로 통제

2차로 통제로 인한 정체가 발생했습니다.

 

무슨 일이 있나 봤더니만 저 앞에 화물차가 고장으로 세워져 있네요.

 

화물차 고장

아 일본 화물차도 고장이 나긴 하나 봅니다.

 

한국에서도 다양한 고장으로 고속도로 갓길 한켠에 세워진 화물차의 모습을 거의 매일같이 보는데 그 익숙한 모습을 일본 고속도로에서 보게 됩니다.

 

출장수리중

어떤 이유에서 갓길에 설 수 밖에 없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수리가 진행중입니다.

 

딱 이 구간을 지나치니 별다른 정체 없이 사가에 갈 수 있었습니다.

 

사가역 버스 센터

사가역 바로 옆에 버스센터. 터미널이 붙어있습니다.

 

버스센터의 규모는 작은편이었습니다만, 역과 함께 보면 그렇게 작지만도 않습니다.

 

하차완료

버스에서 하차 후 역방향으로 나가봅니다.

 

사가역 버스센터라는 이름 답게 기차역과 바로 이어져 있습니다.

 

사가역 가는 길

통로 하나로 사가역 건물과 이어집니다.

 

역으로 가는 통로에는 작은 쇼핑센터가 자리잡고 있네요.

 

사가 아레나 오픈

큐슈 최대의 8400석 규모를 자랑하는 경기장 사가 아레나가 5월에 문을 열었다고 합니다.

 

사가현을 배경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좀비 랜드 사가'를 보면 당시 건설중이던 이 경기장에서 라이브를 하는 장면이 나오곤 했습니다. 사가시보다 가라쓰시가 배경으로 좀 더 많이 등장하곤 했었는데, 여튼 그렇습니다. 시외버스도 이 경기장 앞에서 정차하긴 하더군요.

 

사가역 남쪽 출구

사가역 남쪽 출구로 나왔습니다.

 

푸른 하늘과 뜨거운 태양. 그래봐야 8시가 조금 넘은 오전시간대임에도 뜨겁습니다.

 

사가역과 토요코인

사가역 주변으로 토요코인을 비롯한 비즈니스 호텔들이 여럿 자리잡고 있더군요.

 

다음에는 사가시에 숙소를 잡고 좀 더 자세히 둘러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냥 중소도시 느낌

그냥 평범한 중소도시 번화가 느낌입니다.

 

인구 23만명 수준의 한적한 도시입니다. 현재 목포 인구가 23만명정도 되네요. 항구도시이자 여러 산업이 발달한 목포와 직접적으로 비교하기는 어렵겠지만 인구수만 놓고 보면 한국의 목포를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사가은행 앞

일본에는 이런 지방은행이 꽤 많습니다.

 

물론 우리나라에도 경남은행 부산은행 대구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처럼 광역자치단체를 기반으로 하는 은행은 존재합니다만, 신한은행이 인수한 제주은행이나 하나은행에 합병된 충청은행처럼 IMF 당시 많은 지방은행이 사라지기도 했습니다. 물론 그렇게 지방은행이 사라진 지역에서는 지방은행을 보기 어렵지요. 일본은 각 도도부현마다 지방을 기반으로 영업하는 이런 지방은행들의 모습을 아직까지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큰 길은 재미없으니 골목길로

첫 목적지는 열기구 박물관이라 그냥 큰 길 따라 직진만 하면 되긴 합니다만...

 

큰 길로 가면 재미 없으니 옆 골목길로 걸어가보기로 합니다. 이런 시골 감성이 좋습니다. 골목길임에도 깔끔하고 쓰레기 하나 없는 모습은 정말 본받아야 합니다.

 

이런 느낌이 좋다

태생부터 지방충이라 그런지 이런 한적한 시골 골목길 느낌이 좋습니다.

 

한국의 지방도시 뒷골목에서도 비슷한 풍경은 볼 수 있지만, 좀 더 정돈된 느낌의 일본 골목길에서 느껴지는 특유의 감성이 정말 좋습니다. 불법주차나 쓰레기가 적은것도 다르게 느껴지는 이유 중 하나이고요.

 

납골당

주택가 한복판의 사찰에 공동묘지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납골묘와 비석입니다. 아무래도 묘지 자체가 혐오시설이다보니 주변 주택가의 민원이라던가 밤에 괜한 담력체험을 하러 찾아오는 사람들은 없을지 모르겠네요.

 

작은 다리로 이어지는 골목길

골목길은 작은 다리로 이어집니다.

다리 위엔 깔끔하게 보도블럭이 깔려있네요.

 

차량 통행이 가능한 수준의 골목길은 아닙니다만, 깔끔하게 잘 정돈된 그런 느낌이 정말 좋습니다.

 

녹조 가득한 강물

녹조 가득한 강물이 흐르는 농수로 너머로 커다란 건물들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돌아오며 보니 혼마치 모토마치 일대에 커다란 건물의 대부분이 공실인 경우가 많더군요. 노령화와 인구감소 지방소멸과 관련된 이야기가 이제 막 나오기 시작하는 우리나라와 달리 먼저 그 길을 가고 있는 일본의 중소도시의 암담한 현실이기도 합니다.

 

사가 벌룬 뮤지엄

사가 벌룬 뮤지엄(SAGA BALLOON MUSEUM)

 

직역하면 풍선 박물관이겠지만, 이동수단인 열기구 박물관입니다. 9시부터 개관인데 딱 맞춰 왔네요. 입장하기로 합니다. 6부에서 계속 이어집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