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름값이 하루가 다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그나마 위안 삼는 부분은 비록 적폐로 찍혔지만 연비 깡패 디젤차라는 부분이 아닐까 싶습니다. 스파크 대비 힘도 좋아 상대적으로 덜 밟게 되고, 연비는 거의 두배에 가까운 수준에 경유값이 휘발유값 대비 약 백원정도 저렴합니다. 똑같이 5만 원 정도 주유를 하면, 스파크의 두배를 타니 말이죠. 주유 후 주행 가능 거리는 곱절로 늘어났지만 그럼에도 주행거리가 많아 일주일에 한 번 수준으로 주유를 하고 있습니다.

 

지난주에 주유했던 경유값은 1198원. 그 전주에는 1188원이였으니 기름값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국제유가도 오르고 환율도 오르는 추세이니 뭐 어쩔 수 없는 노릇이지요. 거기에 내릴 때는 온갖 핑계 다 대고 내리면서 올릴 때는 뉴스만 나와도 바로 올리는 막장 주유소들도 존재하는지라 국제유가는 떨어져도 이전만큼의 가격이 나오진 않는 듯 보입니다.

 

천 백원대의 경유값과 천이백 원대의 휘발유값은 이제 찾아보기 힘든 수준입니다만, 그래도 곧 끝나는 유류세 인하 효과 탓에 그나마 이 수준의 가격을 유지하고 있지 않나 생각되네요. 물론 그 유류세도 제대로 다 내리지 않은 주유소가 대부분이겠지요. 유류세 인하분을 제대로 내리지 않은 주유소의 경우 집중적인 세무조사를 통해 싹 다 잡아 조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여하튼 지난주부터 서산의 한 주유소에서 계속 주유를 하고 있습니다. 서산 태안 쪽으로 업무를 위해 가는 길목에 있기도 하고, 일단 근처 타 지역 최저가 주유소보다 최소 30원씩은 저렴합니다. 그래서 항상 이 주유소를 이용하고 있네요.

 

서산자연주유소

 

GS칼텍스 주유소입니다. 물론 옆으로 E1충전소도 있지만, 충전소보다는 주유소에 차들이 몰리네요.

 

그래도 오늘은 양반입니다. 지난주에는 줄을 서서 기름을 넣었으니 말이죠. 오피넷을 통해 알아본 이 근처 다른 지역의 최저가 주유소 대비 가장 저렴한 가격을 자랑합니다.  요 며칠 전 영업정지가 풀린 당진 정미면의 수운주유소가 경유 1210원으로 당진 최저가 기록을 갈아치웠더군요. 여기보다 8원 저렴합니다만, 당진에서 서산으로 들어가는 방향에 소재한 주유소라 딱히 가는 길목이 아니라 8원 차이인 서산 최저가 주유소인 이곳에서 주유를 합니다.

 

어지간한 고속도로 휴게소 주유소의 휘발유값은 1340원, 경유값은 1230원 정도 하더군요. 일단 어지간한 휴게소보다 저렴합니다.

 

 

휘발유 1318원 경유 1218원 LPG 789원.

 

휘발유도 최저가, 경유도 최저가, LPG도 최저가입니다. LPG의 경우 길 건너편 충전소와 같은 가격에 판매 중이고 근처의 다른 충전소들도 1원 정도 차이나는 가격에 판매를 하고 있네요. 가스차의 구매제한이 모두 풀린지라 가스값의 인상도 시간문제라 생각됩니다. 휘발유 대비 약 60% 수준의 가격에 판매 중이고, 휘발유 대비 60~70% 수준의 연비를 내는데 여기서 가스값이 조금만 더 올라가도 가스차 유지비가 휘발유차 유지비를 넘어서지 않을까 싶습니다.

 

사실상 거저 수준인 전기차 충전비가 최강이긴 합니다만, 천연가스를 제외하고 대중적인 화석연료로만 놓고 본다면 아직까지는 경유만큼의 경제성을 따라 올 연료가 없어 보입니다. 물론 경유값도 올린다면 할 말 없어지겠지만, 유가보조를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에 놓인 소상공인이나 서민들이 많은 만큼 암만 마음대로 하는 정부라 해도 쉽사리 경유값을 올릴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주유를 진행합니다.

무조건 목 밑까지 채워 넣는다고 셀프만 가는 사람도 있고, 귀찮아서 주유원이 주유를 해주는 주유소만 가는 사람도 있는데 전 싸면 물 불 안 가리고 다닙니다. 크게 힘든 것도 아니고 약간의 불편함을 감수하고 주유구에 주유건을 꼽아놓고 기다리기만 하면 되는데 말이죠.

 

여하튼 주유가 계속됩니다. 약 6만 원 정도 찍어놓고 주유를 하면 4만 5천 원 선에서 주유건이 한번 튕깁니다. 그 상태에서 조금 더 넣고 정액이나 상황에 따라 정량을 눌러 주유를 마칩니다. 보통 작은 눈금으로 한 칸이나 한칸 이하로 남았을 때 주유를 하는데 오늘은 조금 더 타고 왔다고 4만 9천 원에서 정액을 눌러 주유를 마쳤습니다.

 

 

마카롱 앱으로 측정한 연비.  20.81km/l

 

차량 트립상의 연비는 20.3km/l를 나타내고 있었습니다.  보통의 경우에는 두 연비가 비슷하게 나오곤 합니다만, 공회전을 좀 더 많이 하는 경우 마카롱 앱의 연비가 훨씬 더 잘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두 기록의 오차범위를 감안해도 대략 리터당 20km는 탄다는 이야기겠지요.

 

에어컨을 켜는 시기가 오면 연비의 하락이 예상되긴 합니다만, 그래도 지금보다 조금 떨어지는 수준이라면 만족하렵니다. 물론 헛된 바람이긴 하겠지만 우리나라 어딘가에서 유전이 발견되어 저렴한 가격에 기름을 태우는. 기름값 신경 쓰지 않고 다니는 그런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티스도리닷컴 새 콘텐츠 초딩일기는...


초등학교 재학 당시 작성했었던 일기장을 펼쳐 당시 있었던 일을 회상하고 여러분께 공유하자는 취지에서 공개하는 콘텐츠입니다. 좋은일도, 그렇지 않았던 일도 있었겠지만 한 시대를 살아가던 평범한 어린이의 일기장을 본다는 마음으로 재미나게 봐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일기장은 무작위로 공개됩니다.


오랜만에 초딩일기로 찾아왔습니다.


한참 대한민국과 콜롬비아의 국가대표 평가전이 진행중입니다. 그런고로 다시금 일기장을 꺼내보니 2002년 월드컵 첫 경기.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월드컵 통산 첫 승리를 기록한 폴란드전 당시의 일기가 있어 찾아왔습니다.


그거 아시나요? 요즘 고등학생들은 대부분 2002년 월드컵 이후 태어나 이 당시의 감흥을 기억하지 못한다 합니다. 물론 올해 스무살이 된 2000년생들도 마찬가지겠지요. 2002년 월드컵에 대한 기억을 가지고 있을 나이라면 못해도 96년~97년생정도는 되어야 기억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는 그 당시 초등학교 3학년에 재학중이였습니다.



제목 : 한국 VS 폴란드


오늘 우리나라와 폴란드의 축구 경기가 있었다.

먼저 전반 25분이 되었을 때 우리 나라가 1골을 넣어서 엄마께서는 소리를 버럭 "이겼다!!" 하고 파리채로 상을 쳤다.

그리고 폴란드는 약이올라서 반칙을 많이 썼다.

후반전에는 10분 정도 돼서 2:0으로 되었다.

그다음에 감독이 힘들게 보이는 사람을 넣어버리고, 잘하는 선수가 나왔다.

경기가 끝나고 우리나라가 꿈에도 그리운 월드컵 1승을 했다고 난리가 났다.

나는 우리나라가 16강 다음에, 8강, 4강, 결승에 가서 꼭 1위가 되지 않아도 열심히 하였으면 좋겠다.


아직도 2002년 6월 4일의 기억이 생생합니다. 파리채로 상을 치던 그 소리도 기억나고요. 


전반 25분 황선홍의 선제골. 이후 후반 10분 즈음 유상철의 쐐기골이 터져나왔고, 그 어릴적 기억으로도 대한민국 대표팀이 전반적으로 경기를 리드하던 상황임이 똑똑히 기억납니다. 그 어릴적에는 이렇게 잘 하는 우리나라 축구팀이 월드컵에서 그동한 단 한번도 이겨보지 못했다는 사실을 믿지 못해 귀찮을 정도로 부모님께 물어봤던 기억도 생생합니다. 


동네는 아니 대한민국은 국가 전체가 축제분위기. 그 기세를 몰아 그동안 제대로 승리 한번 거둬보지 못한 나라가 월드컵 4강에 오르는 저력을 보여주었습니다. 물론 홈그라운드의 이점과 어느정도 유리한 판정이 있었다는 사실은 부정하지 못하지만 말입니다. 2002년 이후 광복절 수준으로 국민 모두가 하나되어 기뻐하던 날이 있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지금이야 이념 성별 연령간의 갈등이 최고조에 이른 시기이고 일부 정치인들이 갈등을 악용하고 있고 사실상의 실물경기는 바닥으로 치닫고 있습니다만, 언젠가는 2002년의 그날처럼 국민 모두가 하나되어 기뻐하는 그런 날이 오리라 믿고 있습니다. 아직도 2002년의 감동을 잊지 못하는 이유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