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자동차'에 해당되는 글 46건

반응형


지난 금요일입니다. 서산 외곽을 지나가던 도중 아무래도 폐차장으로 향하는걸로 보이는 견인차 한 대를 보았습니다. 물론 이 견인차의 최종 목적지가 폐차장이 아니라면 아닐 수 있겠지만, 영업용 번호판이 아닌 흰색 개인번호판을 달은 차량이 견인을 하고 있었고, 피 견인 차량들의 번호판도 모두 탈거가 된 상태이며 보통 폐차장으로 가는 견인차가 저런 형태로 차를 싣고 가기에 폐차장이 아닐까 하고 조심스럽게 추측을 해보고 있습니다.



2.5톤 언더리프트형 견인차에 견인되어 가는 은색 승용차.


위에 있는건 단번에 동호회 스티커까지 붙어있는 레이라 알아볼 수 있었구요. 로체 이노베이션인가 혹은 이번에 F/L를 단행한 신형 K3인가 싶어 자세히 보니 두 차량 다 아녔습니다. 자세히 보니 기아차의 중국 전략차종인 K4더군요. 이름 그대로 k3에 비교한다면 휠씬 더 크고 K5보다는 약간 작은 포지션의 차량입니다.



레이는 암만 봐도 썬팅에 동호회 스티커까지 붙은 평범하고도 멀쩡한 차량인데 견인되어 가고..


K4는 어디까지나 내수시장이 어마어마한 중국 한정용으로 판매된 차량이지 우리나라에 내수판매로 풀렸던 차량이 아니기에 연구목적으로 활용하다 목적을 달성하고 견인되어 가는걸로 보입니다.


여타 다른 기아차와 마찬가지로 현대차의 중국 내수 한정모델인 미스트라와 플랫홈을 공유하는 차량입니다만, 마치 K7(VG) 후기형과 비슷한 거대한 라디에이터 그릴이 적용되어 전혀 다른 차량처럼 보입니다.



범퍼부터 휀다까지 약간 밀린걸로 보입니다.


휠은 YF쏘나타의 16인치 휠이 장착되어 있네요. 쏘렌토나 카니발 느낌도 나고 준수하게 생긴것이 꼭 탐나긴 합니다만, 중국에서 직접 가져오지 않는 한 타볼 수 없는 차량이라는 점이 매우 안타깝습니다.


과연 두 차량의 종착지는 어디였을까요. 주인의 사랑을 듬뿍 받으며 동호회 스티커까지 붙어있던 레이, 그리고 연구목적을 달성한걸로 보이는 K4가 부디 2막의 차생을 살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기아의 세단 K3.. 최근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며 각진 모습으로 변모한 그 차량입니다.


구형이 되어버린 모델이긴 합니다만.. 그래도 페이스리프트 된 K3보다 지금의 K3가 정감이 갑니다. 여튼간에 스파크 팔고 차를 바꾼건 아니구요, 지인분 차를 타고 퇴근을 했습니다.


아이라인 시공을 해달라고 하셔서.. 퇴근 후 어두컴컴한 밤 평지에서 진행하다가 도저히 감당이 안되서 결국 지하주차장이 있는 집으로 끌고 왔습니다. 비록 자연광 수준은 아니더라도 상대적으로 밝은 지하주차장에서 훨씬 더 수월한 작업이 가능할테니 말이지요.



맨 딱딱한 경차만 타다가 상대적으로 안락한 준중형 승용차를 타니 기분이 좋습니다.


비록 제 차는 아닌지라 막 타진 못하고 살살 타고 왔지만.. 디젤스러운 엔진음이 거의 들리지 않는 수준이니 스파크에 비한다면야 방음도 잘 되고 오토지만 비교적 잘 나갑니다.


지하주차장 한 구석에 세워두고 밥을 먹은 뒤 작업을 진행합니다. 



작업이라고 해봐야 뭐 별거 없습니다.


안개등 퓨즈에서 배선을 따오려 했습니다만, 안개등 퓨즈가 보이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저 밑에서 배선을 따오기도 힘들고 말이지요. 결국은 미등 선을 따기로 했는데.. 충분히 자리가 나오는 조수석쪽에서 따오면 될걸 열심히 운전석쪽 배선만 따고 있었네요.


운전석쪽 라이트 컨넥터에서 미등 신호가 들어오는 배선을 찾았고, 아이라인으로 들어갈 배선과 연결해 줍니다. 그리고 적당하게 잘 숨겨주면 끝나지요. (요즘 차들은 배선컨넥터 하나에 여러 배선이 붙는군요.)


라이트를 탈거하려다가 에어필터 박스 방향으로 가는 흡기라인을 탈거해주는게 수월한지라 결국 그렇게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본넷과 라이트가 만나는 접점 부위에 줄LED를 잘 붙여만 주면 요런 효과가 나타납니다.


라이트 안에 화이트베젤이 있는 K3같은 차들은 베젤에 불이 들어오게 하는 방법이 정말 이쁩니다만, 너무 튀지 않는 간접조명을 원하셨기에 간단한 이 방법으로 작업을 진행했네요.


재료비 만원선에서 해결했습니다. 조금 번거롭긴 해도 배선만 딸 줄 알면 중학생도 가능한 작업입니다.



사실상 미등의 색상처럼 누런빛이 나는 LED인지라 호불호가 많이 갈리기도 하겠지요.


다만 탈부착이 용이한 매우 간단한 방법이고, 스파크도 요런 방식으로 시공을 많이 합니다. 그래도 차주분께서는 상당히 마음에 들어하시니 저도 뭐 불만 없이 만족합니다. 정작 제 차는 업체가서 시공을 받았는데 말이지요.


시공하는 모습을 보면서도 저리 쉬운걸 직접 할걸 그랬나 싶었습니다만, 막상 직접 해보니 조금 귀찮고 번거롭긴 해도 충분히 할 맛이 나는 DIY입니다. 물론 업체 퀄리티의 마감처리는 힘들더라도 말이죠.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