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토요일에 서울에 다녀오며 서울 시내에서 봤던 차량들의 목격담입니다.


둘 다 대우차고, 최소 한 번 이상 다뤘던 차량이기에 간단히 몰아서 다뤄보려 하네요. 먼저 한남대교를 건너며 목격했던 대우자동차의 후륜구동 중형세단 프린스입니다. 간간히 다니다 보면 도로 위에서 보이는 올드카 중 하나이긴 합니다만, 그래도 서울에서 굴리던 차량이라 그런건지 매우 우수한 보존상태를 보이고 있었습니다.



당시 프린스의 최고사양인 ACE네요. 94년 12월에 등록된 차량입니다.


2.0 SOHC 엔진과, 60년대 개발된 V플랫폼으로 만들어져 대우의 로얄 레코드부터 꾸준히 우려먹던 차체. 당시 동급 차량 대비 가장 좁은 전폭을 가지고 있었던지라 여러모로 열세를 보이긴 했지만, 고급 모델인 브로엄과 함께 나름대로의 택시수요로 세기말까지 판매되었습니다.


여튼 프린스가 매우 깔끔한 모습으로 달리고 있어 비슷한 속도로 따라갔습니다.



'서울31 나' 지역번호판. 중구에서 최초로 발급된 지역번호판입니다.


최초 발급시에는 아마 한자리수 지역번호판을 부여받았을테고, 주인이 변경되었거나 타지역으로 전출을 나갔다가 돌아와서 번호판이 바뀌지 않았을까 추정됩니다. 배선은 없지만 작은 HAM용 안테나도 달려있고요. 26년이라는 긴 세월동안 아마 아파트나 차고에서 극진히 모셔지지 않았나 싶습니다.



특유의 알루미늄 휠 역시 별다른 백화 없이 보존되어 있습니다.


매우 각졌던 로얄에 비하면 곡선이 다수 들어가긴 했습니다만, 그래도 동급 차종에서 가장 많은 판매량을 보이던 쏘나타2에 비한다면 각지고 노티나는 디자인입니다. 부식 하나 문콕 하나 없이 매우 깔끔한 상태로 자신보다 최소 20년 이상 어린 차량들 사이를 유유히 지나고 있었습니다.



그렇게 프린스와의 짧은 만남을 뒤로하고 갈 길을 갔습니다.


차령 30년을 바라보고 있음에도 촉매가 장착된 휘발유차라는 이유에서 4등급 차량입니다. 물론 같은 시대 태어났던 경유차들이 적폐로 몰려 싹 다 사라진 상황에서도 4대문 안이라는 중구에 별 문제 없이 등록되어 있다는 이야기는 전혀 통행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얘기겠지요.


2030년까지 4대문 내 내연기관 자동차의 출입을 제한한다고 합니다. 물론 그때까지 생존하여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그동안 사랑받았던 만큼 앞으로도 사랑받으며 서울을 누비고 다녔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돌아오는 길. 양재대로에서 누비라를 목격하였습니다.



누비라입니다. 순 우리말 이름으로 교과서에도 오르내리는 차량이지요.

대우자동차의 독자개발 모델이자, 지금은 폐쇄된 군산공장에서 생산된 첫 차종입니다.


지금은 부식으로 리어 쇼바마운트가 철판을 뚫고 올라오는 치명적인 결함과 수출로 인해 쉽사리 볼 수 없지요. 당대 경쟁차종인 구아방이나 세피아보다 훨씬 더 넓은 실내공간을 주로 내세웠고, 독일 ZF사의 4단 자동변속기를 채택하여 변속기만큼은 최고의 내구성을 자랑했습니다.


라노스에 이어 패밀리룩인 삼분할 그릴이 적용된 두번째 차량이고, 바로 다음달 출시된 레간자까지 3분할 그릴을 적용하여 대우자동차의 패밀리룩이 완성되었습니다. 지난해 고인이 된 김우중 회장님께서 세기말 자동차 산업에 의욕적인 투자를 하던 시기에 탄생했던 걸작이였습니다.


누구에게나 친숙한 차를 모토로 디자인 했다지만, 별다른 특색도 없고 린번엔진을 앞세운 아반떼의 공세에 밀려 2년만에 싹 다 뜯어고친 누비라2로 부분변경 전까지 대략 2년간 판매되었던 초기형 누비라입니다. 이 차량은 98년 4월에 최초로 등록되었던 차량이네요.



지하도 공사로 혼잡한 양재대로에서 자신보다 못해도 15년은 어린 차들 사이를 달리고 있습니다.

번호판은 '서울52' 강남구에서 발급되었던 번호판입니다.


22년의 세월을 대변하듯 문콕이라던지 자잘한 기스들의 모습이 흔히 보였습니다. 앞 휠커버는 떨어져 나간지 오래였고요. 서울에서만 굴렸던 차량이라 그런지 당시 대우차가 부식에 매우 취약했었음에도 육안상 보이는 부식은 없었습니다. 그래도 오랜 세월 굴러다니는게 어디냐 싶은 생각이였습니다.


'J100'이라는 코드네임으로 야심차게 개발되었던 대우의 준중형차 누비라는 대우의 세계경영을 이름속에 그대로 품은 차량이 아닐까 싶습니다. 후속 라세티는 대우에서 개발했음에도 GM에 인수되어 경제위기속에서 세계로 뻗어나가 GM을 먹여살리던 효자차종으로 이름을 날렸지만, 후속모델은 친환경 자동차로 변화하는 흐름 속에서 결국 단종되고 말았습니다.


대(代)도 끊겼고, 태어났던 공장도 사라졌습니다. 많은 형제들은 수출길에 올라 한국땅을 떠났거나 폐차장의 이슬로 사라졌지만 누비라는 복잡한 서울의 도로를 힘차게 누비고 있었습니다. 상태만 놓고 본다면 그리 오래 살아 돌아다니지는 않으리라 생각되지만, 앞으로 남은 세월 힘차게 도로를 누벼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송도유원지 뒷편. 아니 송도전화국 아래의 프로물류센터와 송도2단지 뒷길로 나오는 길목에 있는 폐차보관소 문 앞에서 본 자주색 티코입니다. 외국인 바이어가 매입을 잡아놓은 차량인지라 유리에 낙서가 되어있는데, 차량 상태가 매우 좋은지라 가던 길을 멈추고 사진을 촬영했습니다.

 

 

대략 95~96년식으로 보이는 차량입니다.

 

티코를 찾는 사람들이 없어서 못산다는 민자티코에 최고트림인 'SX'에 슈퍼팩을 넣지 않은 차량에만 적용되는 바디칼라 범퍼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슈퍼팩의 등장 이후 대다수의 'SX'트림을 선택했던 차주들이 슈퍼팩을 함께 넣었던지라 중기형 차량 중 최고사양의 민자티코를 보기가 매우 힘든데, 비록 말소가 되어 번호판은 뜯겨나갔지만 상태는 매우 좋습니다. 

 

 

부식이 있나 살펴보니 부식도 없습니다. 도로 위를 돌아다니는 티코 중 상위 5%에 들어갈 수준으로 정말 깔끔합니다.

 

다만 타이어에 공기압이 빠져있고, 범퍼 브라켓이 깨진건지 한쪽 고정부위가 떨어져 있지만 이건 간단한 조치로도 정상화를 시킬 수 있는 부분이니 큰 문제가 될 건 없다고 봅니다. 내부를 살펴보니 수동변속기 차량에, 디지털 시계까지 들어간 진품이 맞고요. 시트는 시트커버가 씌워져 있었습니다. 내부 역시 별다른 말이 필요없는 수준으로 깔끔하더군요.

 

 

리어와이퍼는 뜯겨나갔고, 범퍼와 트렁크에는 약간의 흠집이 보입니다. 그래도 교체없이 보수가 가능한 수준입니다.

 

암만 그래봐야 부품으로 분해되어 수출길에 오를테지만 정말 아까웠습니다. 한참 티코가 수출길에 오르던 예전같지는 않더라도 간간히 30~40만원 수준에서 수출업자들이 티코를 매입하기는 하더군요. 물론 부품용으로 말입니다. 뭐 폐차비에 비한다면 많이 받는 수준인지라 만족하실지 모르겠다만 티코를 폐차하실 예정이시라면 부디 내수 중고매물로 내놓으시길 추천드립니다.

 

굴러가는데 문제만 없다면 수동 오토 슈퍼티코 할 것 없이 60~80만원에 매물을 올려놓기만 하면 빛의 속도로 사라집니다. 수출업자에게 넘기는 비용보다 무조건 20만원 이상을 더 받을 수 있지요. 특히나 찾는 사람은 많지만 매물이 없는 '민자티코+수동' 조합의 경우 굴러만 가면 기본 100만원. 하부 부식도 없다는 전제 하에 이 차량 수준의 외관상태라면 200만원 이상을 불러도 약간의 에누리를 감안하여 1개월 내에 무조건 팔려나가는 상황입니다.

 

시세에 밝은 차주분이셨다면 내수로 돌리셨을텐데.. 결국 분해되어 수출길에 오를 예정이라 하니 안타깝기만 합니다. 얼마 남지 않은 티코들이라도 수출이 아닌 대한민국 땅에서 가루가 될 때 까지 굴러다녔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