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정의달 5월입니다. 즐거운 연휴고 뭐고 쉴 때도 있지만, 일하는 날도 있고 그러네요.


본래 흐름상 지난달 말에 15만km의 벽을 넘어섰어야 하지만, 월말에 그리 차를 많이 운행하지 않아서 이제야 15만의 벽을 넘어서게 되었습니다. 최대한 차를 타지 않고 이동이 가능한 거리에서 일감을 찾는데 나름대로 노력을 하고 있답니다.



주행거리 149,999km.


이른 아침부터 집에 들어가기 위해 차를 타고 이동하던 도중, 만의 자리 수가 바뀌는 모습을 지켜보게 되었답니다. 12년 1월 말에 출고된 차량이 약 64개월의 세월동안 주행했던 주행거리입니다. 물론 여기서 11만km 이상. 그러니까 주행거리의 대다수는 제가 탔다고 보면 되겠지요.



이베이를 통해 구매했던 센터페시아 커버의 도색작업을 진행중이던 상황이라 꽤나 어수선 합니다.


6만원이라는 이유없이 비싼 가격을 자랑하지만, 제대로 와꾸가 맞지 않는 국산 제품과 달리 배송비 포함 4만원제 중국산 제품의 품질은 생각보다 견고하고 우수했습니다. 여튼간에 고운 사포로 열심히 면을 다듬어 도색과 함께 꽤나 오랜 세월 햇볕에 말리고 또 말렸습니다.



옥탑 그리고 다락방을 자유롭게 쓸 수 있으니, 도색하기도 좋네요.


집에서 벗어나지 않고, 비교적 볕이 잘 드는 공간에서 도색이 가능합니다. 락카를 뿌리고 말리고, 방치하고를 며칠 반복하니 그럭저럭 벗겨지지 않을법한 칠이 탄생했네요. 덤으로 지난 11월부터 도색을 위해 뜯어놨던 조수석 도어트림에 달려있던 손잡이의 도색작업도 진행했습니다.



아주 딱 들어맞네요.


종전에 사용하던 6만원짜리 국산 제품은 2단으로 분리된건 둘째치고 일단 틀이 맞지 않아 완벽한 고정 자체가 불가했으며, 올인원 오디오에 CD를 넣기 위해 커버를 개봉하면 간섭이 있었는데 이번에 새로 도색해서 장착한 제품은 그 어떠한 불편함도 없습니다.


스파크에 2din 오디오를 장착하시려 하시거나, 올인원 오디오를 매립하시려는 여러분! 이베이에 올라온 제품이 훨씬 더 저렴하고 깔끔하고 잘 맞습니다! 고로 국산 말고 중국산 씁시다!



여튼 15만km의 벽을 넘었습니다.


막상 차를 바꿀 이유도, 바꿀만큼 매력적인 차도 없고. 금전도 그리 여유롭지 않습니다. 나름 20만km 넘게 타는게 목표고 기변은 그 이후에나 가서 고려를 하는게 맞겠지요. 오늘도 내일도 앞으로도 거지는 스파크를 타고 열심히 달립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민족 최대의 명절(?) 추석이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나름 추석이 바로 앞인데, 뭔가 새로운 기분을 내볼만한 행동을 해봐야지 싶어 모처럼만에 락카를 손에 들었습니다. 락카질 안한지가 어언 1년 가까이 지난걸로 기억되는데, 오랜만에 락카를 손에 쥐었어도 실력은 녹슬지 않았더군요.


지난 겨울에 번호판 플레이트의 랩핑작업을 진행했었으나 시트지의 색이 꽤나 바래버렸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된 후 다시금 락카칠을 진행하기로 결심했네요.



카본무늬 시트지도 직사광선을 많이 쫴는 실외에서는 부적합하다는 사실을 몸소 경험했습니다.


색이 바라고, 모진 풍파와 자살특공대 벌레들로 인해 더러워져도 때가 빠지지도 않고 지워지지 않습니다. 거기다가 슬슬 뜨기까지 시작하니 쿨하게 벗겨줍니다.



종전에도 도색을 해서 쓰던 물건인지라, 시트지를 벗겨내니 기존의 페인트까지도 같이 묻어나옵니다.


뭐 완벽하게 묻어나오는것도 아니고, 어느 부분엔 접착제를 남기기도 하고 또 어느 부분에는 페인트층 그 자체를 남겨두기도 합니다. 천방짜리 고운 사포밖에 가지고있는게 없기에, 그냥 칠이나 잘 먹으라고 쓱쓱 한번 밀어나 주고 면이 곱지 못해도 그냥저냥 칠을 입히기로 합니다.



물사포질을 해도 사포가 상당히 고운지라 뭐 달라진게 없어보입니다.


칠이 그렇다고 온전히 벗겨진것도 아니고, 그냥저냥 남아있는 접착제만 어느정도 제거한 수준이 아닐까 싶네요. 면이 어떻던간에 저는 색만 잘 나오면 상관없습니다. 사포질을 꼼꼼히 해주지 않으면 가끔 칠이 먹지 않는 부분들이 있기에 확인차 초벌로 흰색 락카를 뿌려봅니다.



사실상 오렌지색 말고 다른색 락카를 쓸 일이 별로 없지요.

그럼에도 3년 전 구매해둔 흰색 락카가 조금 남아있었습니다.


원없이 뿌려봅니다. 칠이 잘 먹는걸 확인하고, 오렌지색 락카를 뿌려봅니다. 칠이 마를 때 까지 잠시 기다리면서 차량 앞유리 밑에 진열해두었던 카드텍의 상태를 점검해보기로 합니다.



약 2년 혹은 그 이상의 세월을 버텼던지라, 색이 다 바래버렸습니다.


썬팅이 된 유리 뒤에 있어도 이렇게 색이 바래버리는군요. 오랜 세월동안 햇볕을 바로 보니 어쩔 수 없는 현상이겠습니다. 사실 지난 여름부터 교체의 필요성을 느껴왔지만, 요즘은 저렇게 가로로 그려서 나오는 카드텍들이 그리 많지 않더군요. 구미에 당기는 그림들도 아니고 말이죠.


결국은 세로형태의 카드텍과 크기가 작은 미니 카드텍을 활용하기로 합니다.



대각선으로 눕히니 뭐 시야를 가리지도 않고, 적당하니 딱 괜찮더랍니다.


색이 다 바래버리는 그 순간까지. 특별한 일이 없는 이상 이러고 다니렵니다.



도료를 여러번, 그리고 고르게 뿌려줍니다.


약 두번 뿌리고 말리고, 또 한번 뿌리고 말리고. 클리어도 한번 뿌려줍니다.



표면은 썩 깔끔하지 않지만, 날이 더워서 그런지 칠은 빠르게 마르는군요.


한번 더 뿌려주려다가 귀찮기도 하고 이정도만 해도 칠이 벗겨지지 않을거란 확신이 들어서 칠은 그만두고 번호판과 함께 다시 장착하도록 합니다.



지워지지 않는 온갖 벌레 사체들로 더러워진 번호판과 깔끔한 번호판 플레이트.


발급받은지 2년이 조금 지난 번호판입니다만, 온갖 돌빵과 지워지지 않는 벌레들의 사체로 인해 한 5년 이상 막 탄 차량의 번호판과 별 차이가 없는 수준의 상태를 자랑합니다. 시간이 나야 시청이던 어디던 가서 뒤 봉인도 다시 받고, 번호판도 다시 다는데 그럴만한 시간이 나지 않는게 원통합니다.ㅠㅠ


생각난김에 뒷 번호판 플레이트도 바꿔보려고 창고에서 번호판 플레이트 하나를 더 꺼내봅니다.



나름 현대차 출고 당시 끼워주던 물건입니다만, 이런 번호판 플레이트가 제 창고에 잔뜩 있습니다.


수년 전에 렌트카 사무실에서 차량 면허가 바뀔 때, 번호판과 함께 탈거해둔 플레이트를 싹 주워온건데 이리저리 유용하게 써먹는군요. 'HYUNDAI FOR LIFE'라는 문구와 은색 배경은 고운 사포로도 잘 지워집니다. 종전과 같은 방법으로 두어번 칠을 뿌려주고,창고에 잘 박아두고 왔습니다.


연휴에 시간이 난다면 한번 더 칠을 뿌려주고 뒷 번호판 플레이트까지 도색이 된 물건으로 바꿔주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