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할머니댁에 차고라고 쓰고 창고라 읽는 무허가건물이 하나 있습니다.


이 차고 건물이 지어진지도 50년이 넘었다고 하는데.. 여튼간에 할아버지 살아계실 적에 차를 넣어두곤 했던 건물입니다만, 돌아가신지도 어언 30년 세월이고.. 약 10여년 전에 옆집 아저씨가 계실적에 잠시 임대를 줬습니다만 그분도 돌아가셨습니다. 사실상 지금은 차를 저 안에 주차할 사람이 없으니 차고라기보단 창고에 가까운 활용도를 보여주는 공간입니다.


아 물론 제 차가 생긴 뒤론 제 전용 보물창고가 되었습니다만, 그래도 차를 주차해두는 목적보다는 이런저런 물건을 쟁여두는 목적이 더 큽니다. 수년 전부터 외벽 도색을 해야겠다고 마음먹었지만 실천으로 옮기지 못했는데.. 이번에 큰맘 먹고 외벽 도색을 진행하기로 합니다.


이유는 단 하나. 벽화를 그리기 위해서.



여튼간에 창고의 상태는 썩 좋지 못합니다.


오랜 세월을 버텨온 건물인데다가 외벽은 근 50년동안 페인트 칠을 했던 일이 전무하고 창고 문은 고등학생때 한번 락카로 쭉 뿌려준게 전부입니다. 외벽 칠을 해준지도 어언 6년이 지난 일이니, 당연히 칠이 벗겨지고 녹이 올라옵니다.



거칠은 사포 하나 사다가 열심히 밀어줘야 제대로 칠이 될 수준입니다.


일단 이건 추후 작업으로 미루고.. 외벽 칠부터 해주기로 합니다.



세월의 물때, 그리고 누군가의 그래피티 흔적까지.


다 깨진 슬레이트 지붕과 함께 우중충해보이는 분위기를 더해줍니다.



후면은 시멘트로 마감된 형태가 아니라 벽돌로 축조된 벽돌조입니다.


이 애매한 비대칭 건물을 도색하기로 계획한 즉시 페인트가게로 향했습니다. 페인트 가격이나 한번 알아볼까 싶어 갔던 가게에서 그냥저냥 롤러와 붓 그리고 페인트를 사오게 되었네요.



항상 에어댐 보수용이나 여타 도색용으로 잘 쓰고있는 오렌지색 락카도 함께 사왔습니다.


붓값까지 다 해서 약 육만원정도 쓰고 왔습니다. 외벽 색상은 좀 튀는색으로 할까 싶다가도 어짜피 벽화를 그리려는 목적이니 무난한 색으로 결정해왔습니다.



내부용이라곤 하는데 외벽에 칠했네요. 여튼 연황갈색이라고 아이보리색 느낌 나는 페인트입니다.


페인트를 사온지 약 일주일. 평화로운 토요일에 본격적인 도색작업을 진행합니다.



안쓰는 사발에 페인트를 붓고 살짝 물을 타서 희석해줍니다.


물에 희석하지 않아도 상관 없습니다만, 칠이 너무 퍽퍽해서 벽에 잘 달라붙질 않습니다. 그렇다고 물을 너무 많이 타면 너무 묽어져서 칠을 하는건지 벽에 그냥 물을 묻히는건지 모를 수준이 됩니다. 여튼간에 처음엔 시행착오도 많았지만 점점 작업을 진행하다보니 물 희석비율에 대해서도 어느정도 감이 잡히더군요. 



저 앞에 칠하는데도 힘들어서 미칩니다..


페인트칠을 생각보다 쉽게 봤는데, 전혀 쉽지만은 않은 작업입니다. 이걸 업으로 삼는 아저씨들이야 숙련된 기술이 있어서 별게 아니라 생각하시겠지요. 다만 미적감각이 전무한 저한테는 상당히 힘든 작업이였습니다. 슬슬 하다보니 감이 잡히긴 하지만 말이죠.



붓으로 롤러가 닿지 않는 부위를 칠해주고, 여러번 칠해주면서 나름 진한 색이 나올때까지 맞춰봅니다.


일단 그래피티의 흔적이나 조금 더러웠던 부분들은 지워둔 상태네요. 장갑도 끼고 벌초용 작업복을 입고 작업합니다만 여기저기 칠이 튑니다. 아무래도 도료를 너무 많이 묻혀서 그러지 않나 싶은데 말이죠.



롤러질도 힘들어서 대걸레를 구해왔습니다. 롤러 끝에 걸레 봉을 끼우고 고무줄로 고정했네요.


고로 봉걸레를 들고 롤러질을 하니 지나가는 아주머니가 참 참신한 생각 했다고 말해주고 가십니다.ㅋㅋ



일반적인 페인트칠 경험이 없다보니 저렇게 더럽게 흘리는 도료도 상당히 많습니다. 


사실상 흘리는 도료 반 제대로 칠하는 도료 반인 상태입니다.



뒤쪽으로 와서 작업을 진행합니다. 롤러로 쓱쓱 밀어주기만 하면 쉽게 끝납니다.



손이 닿지 않는 부분은 사다리를 이용합니다.


그거 조금 했다고 허리가 아프더군요. 작은 깡통 들고 붓을 가지고 올라가서 일일히 칠해줍니다.



나무에도 칠을 입혀주도록 합니다. 오래 못갈게 분명할테지만 말이죠.


혼자서 한 세시간정도 걸렸나요.. 그래도 꼼꼼하게 구석까지 칠해가면서 마무리 했습니다.



흘린 칠이 생각보다 많아 더러워 보이긴 합니다만.. 그래도 칠해두고 보니 깔끔합니다..



튀는 색이 아닌지라 칠하고도 크게 칠을 한 것 같은 분위기는 나지 않지만 날이 더 추워지기 전에 마저 다른부분도 보수하고 벽화까지 그려놓아야죠. 그게 목표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락카칠의 진수를 보여줬던 비스토를 기리며... 모처럼 날도 풀렸겠다 도색작업을 해 봅니다.


범퍼 탈거는 이제 일도 아니죠. 지난 가을에 한번 싹 탈거해서 도색을 했던걸로 기억하는데, 너무 급하게 칠을 하고 장착한지라 세차장에서 고압으로 한번 쏴주니 그냥 칠이 벗겨지더군요. 보기 흉할 수준까지 벗겨져서 결국 날이 풀리길 기다렸다가 작업을 속개했습니다.




돗자리 하나 깔아주고, 범퍼를 내려줍니다.


종전에 프론트 립댐을 달아주고 돌빵으로 인해 칠이 많이 까진 상태이기도 합니다. 물론 달고 한 세달 네달정도 다니면서 부주의로 잘 보면 크랙까지 간 상태입니다. 처음에 순정 바디킷을 할까 NEFD의 에어댐을 장착할까 고민을 하다가 결정한게 이건데.. 판단미스로 고생중입니다.


애초에 돌빵으로부턴 안전한 랩핑을 하고 장착을 하던지 했어야 하는데 말이죠.



종전엔 안개등을 탈거하면서 안개등 옆 커버는 살살 잡아댕겨 빠지지 않았었는데..


이번엔 있는 힘껏 당겨서 탈거를 해냈답니다. 무광블랙으로 도색할까 고민하다가 그냥 오렌지색 일신락카를 칠해주기로 결정했네요. 락카칠에 눈을 뜨게 해 준 비스토를 기리며 오늘 하루만은 다시는 하지 않겠다던 락카칠을 다시 하기로 합니다.


사포질도 제대로 해주고, 칠도 여러번에 걸쳐서 고르게 뿌려줍니다.



뿌리고 말리고, 또 뿌리고 말리고.. 투명락카까지도 열심히 뿌려줍니다.


부디 다음번엔 칠이 까져서 내리는 일이 없기를 빌면서 말이죠. 큰 맘 먹고 업체에 도색을 맏기지 않는 이상은 이렇게 덧칠이나 하면서 지내던지 해야겠습니다.



중간에 비가 떨어져서 황급히 마무리 합니다.


마무리 하면서 에어댐에도 락카를 한번 더 뿌려주고, 범퍼그릴 밑에까지도 깔끔하게 칠해줍니다. 안개등 크롬링만 칠을 했을 때 보다는 옆에 커버까지 같이 칠해주니 뭔가 더 튀는 느낌이 드는건 사실이네요.





반응형

'티스도리의 일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0514 스파크 주행거리  (0) 2015.05.14
제 6회 케이크 스퀘어 그리고 이타샤들..  (0) 2015.05.11
일본엔 잘 다녀왔습니다.  (0) 2015.04.24
2일차 시작..  (0) 2015.04.22
가자 일본으로!  (2) 2015.04.21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