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즘 올드카 목격담 카테고리에 들어가기는 애매하지만 자가용 차량의 전국번호판 도입 20년이 지난 현 시점에도 살아있는 자가용 지역번호판이 부착된 차량들을 사진으로 남겨놓고 있습니다. 오늘 보게 된 봉고 프런티어 역시 인천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있었는데, 흔히 보이던 1톤 모델이 아닌 1.3톤 모델이었습니다.

 

 

[목격] 1998 봉고 프런티어 더블캡 (세상에 이런 일이 679화 출연 차량)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광주광역시의 한 아파트 주차장에서 목격한 봉고 프런티어입니다. 그냥 흔히 볼 수 있는 트럭인 봉고 프런티어가 대수냐 하겠지만, 각별한 차량관리로 방송에 나왔던

www.tisdory.com

 

의외로 봉고 프런티어를 다뤘던 적이 거의 없었네요. 지난 2021년 킥보드를 거래하러 광주에 갔다가 마침 근처라서 보고 왔던 'SBS 세상에 이런일이' 방송에 출연했었던 봉고 프런티어를 짧게나마 다뤘던 게 전부였습니다. SBS의 대표적인 장수 프로그램이던 해당 방송은 최근 종영했지만 이 봉고 프런티어는 아직도 완벽한 모습으로 살아있을겁니다. 

 

2003 KIA BONGO FRONTIER 1.3t

 

인천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서해대교를 내려오던 봉고 프런티어입니다.

pDPF가 장착되어 있네요. 수도권에 차적으로 지금껏 살아남은 차량들은 대부분 저감조치를 마쳤습니다.

 

일반적인 프런티어와는 뭔가 다른 느낌이죠?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기아의 봉고 프런티어는 1.3톤/1.4톤 모델과 2.5톤 모델이 존재했었습니다. 1톤 사양의 차량이 2001년 상당히 세련된 디자인으로 마이너체인지를 거치며 판매되었지만 1.3톤/1.4톤 및 2.5톤 사양의 준중형 모델은 부분변경 없이 97년 출시 당시 디자인에서 큰 변화 없이 판매되었습니다.

 

프런티어의 준중형 모델은 트레이드가 등장한 이후에도 염가형 모델로 판매를 지속했던 타이탄의 후속 포지션으로 탄생했습니다. 초기 1.4톤으로 출시되었던 모델은 배출가스 규제를 피하기 위해 1.3톤으로 형식상의 적재중량을 줄여 판매를 지속했었고, 2.5톤 역시 트레이드의 후속으로 마이티의 캡과 샤시를 활용한 파맥스가 고급형 모델로 등장하며 염가형 모델로 2004년까지 판매되었습니다.

 

이번에 목격한 이 차량은 1.3톤 데칼이 붙어있는 것으로 보아 후기형에 속하는 차량이라 짐작 할 수 있었는데, 2003년 10월에 등록된 2004년형 차량으로 사실상 최후기형이라 봐도 무방한 차량이었습니다.

 

탑은 좀 썩었다.

 

1.3톤 모델의 경우 1톤 차량 대비 지상고가 더 높고 적재함이 조금 더 길었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봉고3 1.2톤 모델 역시 일반 1톤 모델 대비 휠과 높은 지상고로 쉽게 구분 할 수 있지요. 프런티어 역시 5홀 16인치 휠이 적용되어 현행 모델과 마찬가지로 쉽게 구분이 가능했었습니다. 20년 넘는 세월을 한 회사의 업무용 차량으로 운용중이었는데, 휠하우스 안쪽으로 부식이 좀 보이더군요. 일반 1톤 모델이나 1.3톤 모델이나 부식에선 자유로울수 없나 봅니다.

 

2003 KIA BONGO FRONTIER 1.3t

 

그렇게 비가 내리고 그치기를 반복하던 고속도로를 프런티어는 열심히 달려나갔습니다.

 

구간단속구간이 끝나자 속도를 내서 사라지더군요. 차령 20년이 넘어가며 이젠 프런티어 역시 찾아보기 어려운 트럭이 되었습니다. 환경적폐로 낙인찍혀 조기폐차라 쓰고 적폐청산이라 읽는 행위에 희생당하거나 수출길에 오르며 꽤 많이 사라졌습니다. 물론 타국에서 새로운 차생을 살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겠지요.

 

비슷한 외형을 가진 차량들은 도로 위에서 자취를 감쳤지만, 이 프런티어는 부디 오랜 세월 대한민국 땅을 달려줬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 주인공은 2세대 기아 봉고의 후기형인 J2 더블캡입니다.

 

그간 지난 2월 올드카 목격담에서 2세대 봉고인 와이드봉고 더블캡 차량을 다루기도 했었죠. 와이드봉고가 95년 마이너체인지를 거치며 외관이 일부 변경되었고 새로 개발된 J2 엔진이 적용된 후기형 차량입니다. 그래서 이 시기 봉고트럭을 J2라고 부릅니다.

 

 

1993 기아자동차 와이드봉고 더블캡 (1993 KIA WIDE-BONGO DOUBLE CAB)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93년 7월 등록된 기아자동차의 와이드봉고 더블캡입니다. 3세대 마쯔다 봉고를 기반으로 생산했던 기아의 트럭인데, 직전의 파워봉고까지 2세대 모델로 기반으로 생산했

www.tisdory.com

 

1995 기아자동차 봉고J2 워크스루밴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95년 6월에 등록된 봉고J2 워크스루밴의 목격담입니다. 흔히 시티밴(City van) 혹은 워크스루밴(Work through van)이라 하는 명칭은 생소하실지 모르겠습니다만, 탑차라고들 부

www.tisdory.com

 

그간 전기형과 중기형 모델은 올드카 목격담에서 자주 다뤘었는데 후기형인 J2는 2020년에 딱 한 번. 워크스루밴 차량으로 다뤘었습니다. 당시 목격했던 J2 워크스루밴은 출시 초기인 95년 6월에 등록된 차량이었는데, 오늘 다룰 차량은 3세대 모델의 출시 직전에 판매되었던 2세대 끝물 차량입니다.

 

1997 KIA BONGO J2 DOUBLE CAB

 

도로를 달리던 중 눈에 띄는 트럭을 발견합니다. J2 더블캡 초장축입니다.

96년형. 최초등록은 97년 2월이네요. 3세대 모델이 97년 4월에 출시되었으니 끝물입니다.

 

현대백화점그룹의 가구 제조 계열사인 현대리바트의 주방가구 브랜드 리첸(RITCHEN) 스티커와 함께 도색이 되어있네요. 다만 유리다이와 함께 낡은 샷시와 유리창이 적재되어 있는 모습으로 보아 싱크대를 비롯한 주방가구를 설치하러 다니던 차량을 매입하여 사용하는듯 보입니다. 마치 제가 칠성사이다 도색이 된 포터를 저렴하게 구입하여 그 포터로 온갖 잡동사니를 주워다 다니는 것처럼 말이죠.

 

1997 KIA BONGO J2 DOUBLE CAB

 

LPG 개조를 마친 차량입니다. 적폐청산은 면했습니다.

 

2000년대 중후반에 LPG 개조를 진행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장점보다는 단점이 많은 LPG 개조입니다만, 이미 LPG 개조를 마친지라 5등급 적폐청산의 칼바람이 불어닥쳤음에도 지금껏 살아남지 않았나 생각되네요. 번호판은 녹색 전국번호판. 1000번대 번호로 보아 2004년 상반기에 부착된 번호판으로 보입니다. 전국번호판의 도입 역시 20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전반적인 차량 상태는 우수

 

근접하게 달리며 차량 상태를 구경합니다.

 

기름때로 인해 조금 더럽고 덧칠의 흔적이 있을지는 몰라도 부식 없이 준수한 상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얼마 타지 않은 1톤 트럭도 녹이 올라오는 마당에 27년 넘게 달린 1톤 트럭이 이 수준이라면 누가 봐도 깔끔하다고 느낄겁니다.

 

기름때는 껴있지만 매우 준수한 상태

 

다시 봐도 기름때는 끼어있지만 매우 준수한 상태를 자랑합니다.

 

기름통 대신 가스통이 자리잡고 있고, 흙받이는 3세대 후기형 모델용이 달려있네요. 제치는 아니더라도 어디 깨지거나 떨어져나간 부분 하나 없이 온전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요즘 차량들에 뒤쳐지지 않을 정도로 속도도 잘 내는 모습으로 보아 앞으로 수년간은 문제 없으리라 여겨지네요.

 

1997 KIA BONGO J2 DOUBLE CAB

 

그렇게 같은 길을 달리다 헤어지게 되었습니다.

 

미등을 켠 상태인데 한쪽 안개등이 나가버렸네요. 그렇지만 차량 상태가 뛰어나고 무엇보다도 LPG 개조를 통해 적폐청산은 면했기에 앞으로도 최소 수년간은 더 도로 위를 달리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부디 앞으로도 오랜 세월 차주분과 함께 달릴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