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즘 올드카 목격담 카테고리에 들어가기는 애매하지만 자가용 차량의 전국번호판 도입 20년이 지난 현 시점에도 살아있는 자가용 지역번호판이 부착된 차량들을 사진으로 남겨놓고 있습니다. 오늘 보게 된 봉고 프런티어 역시 인천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있었는데, 흔히 보이던 1톤 모델이 아닌 1.3톤 모델이었습니다.

 

 

[목격] 1998 봉고 프런티어 더블캡 (세상에 이런 일이 679화 출연 차량)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광주광역시의 한 아파트 주차장에서 목격한 봉고 프런티어입니다. 그냥 흔히 볼 수 있는 트럭인 봉고 프런티어가 대수냐 하겠지만, 각별한 차량관리로 방송에 나왔던

www.tisdory.com

 

의외로 봉고 프런티어를 다뤘던 적이 거의 없었네요. 지난 2021년 킥보드를 거래하러 광주에 갔다가 마침 근처라서 보고 왔던 'SBS 세상에 이런일이' 방송에 출연했었던 봉고 프런티어를 짧게나마 다뤘던 게 전부였습니다. SBS의 대표적인 장수 프로그램이던 해당 방송은 최근 종영했지만 이 봉고 프런티어는 아직도 완벽한 모습으로 살아있을겁니다. 

 

2003 KIA BONGO FRONTIER 1.3t

 

인천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서해대교를 내려오던 봉고 프런티어입니다.

pDPF가 장착되어 있네요. 수도권에 차적으로 지금껏 살아남은 차량들은 대부분 저감조치를 마쳤습니다.

 

일반적인 프런티어와는 뭔가 다른 느낌이죠?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기아의 봉고 프런티어는 1.3톤/1.4톤 모델과 2.5톤 모델이 존재했었습니다. 1톤 사양의 차량이 2001년 상당히 세련된 디자인으로 마이너체인지를 거치며 판매되었지만 1.3톤/1.4톤 및 2.5톤 사양의 준중형 모델은 부분변경 없이 97년 출시 당시 디자인에서 큰 변화 없이 판매되었습니다.

 

프런티어의 준중형 모델은 트레이드가 등장한 이후에도 염가형 모델로 판매를 지속했던 타이탄의 후속 포지션으로 탄생했습니다. 초기 1.4톤으로 출시되었던 모델은 배출가스 규제를 피하기 위해 1.3톤으로 형식상의 적재중량을 줄여 판매를 지속했었고, 2.5톤 역시 트레이드의 후속으로 마이티의 캡과 샤시를 활용한 파맥스가 고급형 모델로 등장하며 염가형 모델로 2004년까지 판매되었습니다.

 

이번에 목격한 이 차량은 1.3톤 데칼이 붙어있는 것으로 보아 후기형에 속하는 차량이라 짐작 할 수 있었는데, 2003년 10월에 등록된 2004년형 차량으로 사실상 최후기형이라 봐도 무방한 차량이었습니다.

 

탑은 좀 썩었다.

 

1.3톤 모델의 경우 1톤 차량 대비 지상고가 더 높고 적재함이 조금 더 길었습니다.

 

현재 판매되는 봉고3 1.2톤 모델 역시 일반 1톤 모델 대비 휠과 높은 지상고로 쉽게 구분 할 수 있지요. 프런티어 역시 5홀 16인치 휠이 적용되어 현행 모델과 마찬가지로 쉽게 구분이 가능했었습니다. 20년 넘는 세월을 한 회사의 업무용 차량으로 운용중이었는데, 휠하우스 안쪽으로 부식이 좀 보이더군요. 일반 1톤 모델이나 1.3톤 모델이나 부식에선 자유로울수 없나 봅니다.

 

2003 KIA BONGO FRONTIER 1.3t

 

그렇게 비가 내리고 그치기를 반복하던 고속도로를 프런티어는 열심히 달려나갔습니다.

 

구간단속구간이 끝나자 속도를 내서 사라지더군요. 차령 20년이 넘어가며 이젠 프런티어 역시 찾아보기 어려운 트럭이 되었습니다. 환경적폐로 낙인찍혀 조기폐차라 쓰고 적폐청산이라 읽는 행위에 희생당하거나 수출길에 오르며 꽤 많이 사라졌습니다. 물론 타국에서 새로운 차생을 살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겠지요.

 

비슷한 외형을 가진 차량들은 도로 위에서 자취를 감쳤지만, 이 프런티어는 부디 오랜 세월 대한민국 땅을 달려줬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기아자동차의 1톤트럭 와이드봉고 최후기형입니다.


흔히 볼 수 있는 캡 뒤의 작은 공간이 있는 슈퍼캡(킹캡)이 아닌 일반캡 모델인데, 꽤나 준수한 상태를 자랑하여 사진으로 담아보았습니다.




대천해수욕장 근처 민박촌 길가에 세워진 와이드봉고입니다.


1994년 11월 등록. 기아자동차의 로고가 흔히 말하는 공장 굴뚝에서 연기가 나오는 모양에서 현재까지 사용하는 영문 'KIA' 엠블렘으로 변경된지 얼마 지나지 않아 출고된 차량입니다. 물론 엠블렘으로도 구분 할 수 있지만, 도어에 붙은 동그란 원이 이어지는 데칼로도 구분이 가능합니다.


사실상 기아의 엠블렘이 1994년 1월 변경되었고, 마이너체인지 모델인 J2가 95년 8월에 출시되었으니 과도기적인 성격이 강한 모델이지요. 실내외 전반적인 모습은 차이가 없습니다만,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와이드봉고의 모습은 지난해 10월 금강휴게소 근처에서 목격했었던 차량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깔끔한 하얀색 바디에 간간히 스톤칩으로 인해 생긴 외판상의 부식을 제외하면 준수한 상태입니다.



운전석 도어의 데칼은 온전한 상태였지만, 조수석 데칼은 약간 바래있었네요.


그 당시 차량들은 파워스티어링이 나름 비싼 옵션이였고 자랑거리였으니 파워스티어링 스티커도 붙어있습니다. 지난해 금강휴게소에서 보았던 와이드봉고 역시 파워스티어링 스티커가 붙어있었고, 비슷한 시기에 출고되었던 베스타 역시 같은 스티커가 부착됩니다.



적재함은 따로 한번 더 도장을 했었습니다만, 칠이 갈라지고 있습니다.


특이하게도 철제 차바닥은 적재함의 문짝을 제외한 벽과 바닥에만 시공되어 있었습니다.



적재함 뒷문짝은 무슨 이유에서인지 구멍을 뚫어놓았네요.


우측면에 따로 차단기가 장착되어 있고 전반적인 상태로 볼 때 아무래도 포장마차등의 영업에 사용된 차량이 아닐까 싶었습니다.



온전한 상태로 남아있는 OK스티커.


앞유리 역시 공장기아 대신 현재도 사용하고 있는 기아 로고가 박혀있습니다.



실내 상태도 전반적으로 준수했습니다.


주행거리는 약 7만km. 핸들은 그 시절 유행하던 우드핸들로. 기어봉 역시 우드로 교체되어 있더군요.



안전벨트 버클에는 품번과 함께 KS인증마크 스티커가 붙어있습니다.


차량과 함께 25년이라는 오랜 세월을 버텨온 스티커입니다.



전반적으로 상태가 준수했던 이 차량. 나름 귀한 일반캡에 초장축 모델입니다.


운전석 뒤 작은 공간이 없는 일반캡 차량의 경우 의자를 뒤로 눕힐 수 없습니다. 여러모로 정말 최대한의 짐을 적재하기 위해 초장축 적재함이 장착되어 있네요. 이런 경우는 낮에 잠깐 타는 회사 업무용으로나 출고하는 차량이기에 생각보단 출고량이 적고 고되게 굴려지는지라 잔존 개체도 많이 남아있지 않습니다.


여러모로 대천해수욕장 근처에서 보았던 와이드봉고 역시 오랜세월 주인의 사랑을 받으며 굴러다녔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