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 토요일. 정비소 마감시간에 가서 엔진오일을 교체했습니다.


주행거리는 2만8천km대. 처음에만 3천,7천키로 주행하고 그 이후엔 1만km에서 교체했으니 통산 네번째 교체입니다.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아마 올해에 한두번 더 오일을 교체하겠지요.



이번에는 대략 9,000km정도 주행했습니다. 종전대비 시내주행과 공회전이 많았던지라 8,000km 수준에서 교체를 하려다가 시간이 없어 그냥 타고다니다보니 그렇게 탔네요.


토요일에 출근을 했다가 퇴근을 하던 길. 2시 59분에 차량을 입고시켰습니다.



일반 정비소인데도 나름 큰 블루핸즈 홍성 시내의 블루핸즈 오관점입니다. 지난번에도 방문했었죠.



마감시간에 임박하여 도착했지만, 오일교체는 간단한 작업이기에 진행됩니다.


말이 마감시간이지 작업은 계속 진행되더군요. 고객대기실에는 수리를 맏겨놓고 대기하시는 동네 아저씨들로 가득했고, 이미 리프트 위에 올라가 있었던 차량들도 있었습니다. 


참고로 지난번 넣었던 오일은 전반적으로 무거운 감은 있었지만 흔히 말하는 후빨을 잘 받는 편이라 고속주행시에 나쁘진 않았습니다. 한번 더 그 이전에 사용하던 상대적으로 비싼 노란딱지(에코프리미엄) 엔진오일을 넣어보도록 합시다.



포터, 싼타페DM. 그 옆 리프트로 올라갑니다.


더워서 그냥 대기실로 들어와 더이상의 작업사진은 없네요. 여러모로 해달라고 부탁할 건 많았지만 이번에도 말을 안했으니 패스입니다. 토요일에 출근하는것도 억울한테 퇴근시간 다 되어서까지 시달리면 얼마나 힘들겠습니까.



고객대기실 TV에 정비현황이 표시됩니다.


차량점검이라 적혀있는 상황에도 작업은 얼추 끝나갑니다. 작업중이라 적혀있는 코나는의 모습은 사실 보지도 못했고 말이죠. 제가 집에 가고도 한참 뒤에나 아마 작업완료 처리가 되었을거라 봅니다.



그렇게 작업완료. 비용은 9만 5천원.


그동안은 블루멤버스 포인트로 처리하여 무상 혹은 이런저런 할인으로 제값에서 할인된 가격으로 엔진오일을 교체했었더라면 이번에는 처음으로 제값을 내고 엔진오일을 교체합니다. 막상 포인트로 처리하다가 제값을 내려니 생각보단 비싸네요. 그럼에도 보증이 남아있는 시기까지는 꾸준히 블루핸즈에 다니며 기록을 남겨놓아야 합니다.


오일값만 놓고 보면 인터넷 최저가 대비 약 만원정도 비싼편입니다. 앞으로는 같은 가격에 좀 더 좋은 오일을 사다 넣던지 아니면 오일만이라도 미리 주문하여 저렴하게 구입해오던지 해야겠네요.



주행거리 기록 28,417km


3만km를 바라보는 이 시점에 엔진오일을 교환하였으니 약 4만km를 앞두고 있는 시점 혹은 그보다 빠른 시기에 다시 오도록 합시다. 시기상으로 봐서는 올해 최소 한번내지 두번은 찾아오리라 생각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3년을 이 아파트단지에 살면서 분수가 있다는 사실은 발코니 창 너머로 대충 보이니 알았지만, 조명이 들어온다는 사실은 처음 알았습니다. 


여름에. 그것도 비가 내리지 않는 시기에 잠시 가동하고 마는 분수이고, 오후 8시가 되면 조명의 소등과 함께 분수의 가동도 중단되니 3년동안 직접적으로 조명이 들어오는 모습을 보기가 힘들었겠거니 생각됩니다.



8시가 다 되어가는 시간임에도 동네 애들이 다 나와서 놀고있습니다.


엄마들은 옆 테이블에 앉아 애들 노는 모습을 지켜보며 휴식을 취하네요. 여러모로 근처에만 있어도 물비린내가 나는지라 과연 수질관리는 잘 하고 있는지 의심이 들긴 했지만, 시원하게 놀고 있는 모습을 보고있으니 부럽기만 합니다.


2003년 5월 서울시청 앞에 잔디광장이 조성되고 여름에 분수대가 가동되는 모습이 뉴스에 나왔던게 어끄제같은데 16년이 넘은 일입니다. 그로부터 대략 5년정도 뉴스의 단골 소재로 시청 앞 광장(서울광장)의 바닥분수에서 애들이 노는 모습이 보도되곤 했었는데, 그 모습을 보고 엄마를 졸라 기여코 서울에 갔을 때 시청 앞 분수에서 놀다 온 일이 새록새록 떠오르네요.



조명이 들어오고 수압은 그리 센 편은 아닌듯 보입니다.


대략 서울시청 앞에 잔디광장이 조성되고 분수가 가동되던 그 당시만 하더라도 어린이들이 가서 놀 수 있는 바닥분수를 쉽게 접할 순 없었지만, 지금은 이렇게 지방 아파트단지에도 구비가 될 정도로 대중화 되었습니다. 


얼마 전 우강면 송산리 택지개발구역을 보니 어린이공원 안에 작은 바닥분수를 만들어 놓았고 거기서 애들이 놀고있더군요. 여튼 서울에 가야 겨우 하루정도 느끼고 올 수 있었던 일이 지금은 아파트 단지 안에서 원없이 할 수 있는 놀이가 되었다는 부분은 정말 부럽게 느껴집니다.



단지 내 헬스장에서 런닝머신을 타며 바라보니 슬슬 수압이 약해지고 하나 둘 집으로 돌아갑니다.


조명이 꺼진 뒤 분수는 미약하게나마 약 2~3분동안 가동되었지만, 곧 물기둥의 모습은 사라지고 말았습니다.


대도시에 가지 않아도, 말로만 도시인 유사도시 내포신도시의 아파트 단지 안에서도 바닥분수에서 원없이 놀 수 있다니. 격세지감입니다. 한 15년만 늦게 태어날 걸 그랬나 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