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언젠가 현대자동차 대리점에 갔다가 아반떼 블럭을 하나 받아왔습니다.


신형 아반떼. 디자인 가지고는 그 어느 누구에게도 까이지 않았던 AD의 부분변경 모델이자 삼각반떼라는 별명을 가지게 된 더 뉴 아반떼의 모형 블럭인데, 차 안에 박아두었다가 생각난 김에 뜯어 조립을 하게 되었습니다.



7세이상 14세 미만. 만나이겠죠? 초등학생과 중학생들을 위한 조립형 장난감입니다.


옛 하이텔과 비운의 포털사이트 파란을 운영하던 KT의 자회사 KTH(케이티하이텔)에서 제작한 물건입니다. 파란 망하고 푸딩 망하고 서비스 하던 온라인게임도 죄다 대차게 말아먹었던 이 회사는 요즘 IPTV와 온라인 VOD 서비스에 콘텐츠를 유통하는 사업과 투자업을 주업으로 삼는듯 보였습니다. 이미 애니메이션 수입 및 유통과 영화 투자사업에서는 큰 손이 된 듯 보이더군요. 


여튼 KTH는 IT기업의 이미지와는 달리 자신들이 배급한 콘텐츠의 굿즈도 만들어 팔아먹고 있다 합니다. 뭐 그런 사업적 경험을 바탕으로 현대자동차의 신형 아반떼 블록도 제작하지 않았나 싶더군요.


지디넷코리아 - KTH, 더 뉴 아반떼 캐릭터 모형 블록 제작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914091138&from=Mobile



박스 포장을 뜯어봅니다.


봉지 안에 블럭 조각들이 가득 담겨있고, 딱히 별다른 언어적인 설명 없이도 쉽게 볼 수 있는 설명서가 구성품의 전부입니다. 스티커도 있다고 하는데 제가 가져온 박스 안에는 스티커 비슷한것도 없었습니다. 옥스포드 레고 등등... 대체 언제 만졌는지 기억도 나지 않을 정도로 정말 오랜만에 장난감 블록을 만져봅니다.



이 프레임이 핵심입니다.


차대 위로 블럭조각이 올라가고 또 올라가며 자동차 모양이 완성됩니다. 설명서를 보고 조립을 이어갑니다. 다 큰 성인이 조립하기에도 설명이 빈약하거나 그냥 건너뛰어 난해했던 부분들이 보이곤 했는데, 애들이 조립하기엔 조금 어렵지 않나 싶습니다. 물론 창의력을 발휘하여 때려맞춰 조립하라는 깊은 뜻이 담겨있을진 모르겠지만 말이죠.



조립을 잘 하다가 8번에서 결국 제대로된 조립이 불가함을 인지했습니다.


본넷부분을 담당하는 약간 둥글게 내려오는 블록이 4개가 있어야 하지만, 두개밖에 없더군요. 없는 부속도 있었지만, 그 외에 설명서대로 조립을 했음에도 현저하게 남아도는 블럭들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결국 완성한 완성작은 애매한 물건이 되어버렸네요..



아반떼인지 또봇인지 뭔지 알 수 없는 자동차가 완성되었습니다.


스티커는 원래 없었으니 그러려니 지나가고요 지나치게 많이 남은 블록들은 어쩔까 생각하다가 바닥에 다 붙여버리고 말았습니다. 제가 받은 소형 블록은 전시장 방문객 모두가 받을 수 있던 물건이고, 기사에 따르면 신차 출고고객에게는 4천대 한정으로 대형 블록을 줬다고 하는데 대형 블록은 제대로 맞을지 모르겠습니다.


뭐 여튼... 자동차 모양은 나왔으니 그대로 TV 옆에 전시해두도록 합시다. 아반떼라고 알아 볼 사람은 없겠지만 말이죠.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평화로운 12월의 첫 일요일.


약 한달 넘게 세차를 하지 않았던 스파크를 세차장에 가지고 왔습니다.



약 한달동안 비바람과 모진 풍파를 겪어온 스파크를 잘 닦아주고요.


뭐 어짜피 기스 생길건 다 생겼고, 데칼 코팅 역시 다 갈라진지라 거품솔로 문질러줍니다. 랩핑이나 새로 하면 모를까 현재 상황에서는 별다른 답이 없습니다. 내년까지 전기차 떨어지면 걍 체념하고 타려구요...


여튼 오늘 세차장에 온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 바로 이 엔진크리너를 사용하기 위함힙니다.



일신 엔진크리너(IS-7420)


캬브레터클리너 혹은 스로틀바디 클리너는 속에 뿌리는 물건이고, 이건 엔진룸 안에 뿌리는 물건입니다. 이미 저렴한 락카로 신뢰를 얻은 일신에서 나온 엔진크리너는 수용성으로 엔진룸 곳곳에 뿌리고 약 3~4분 뒤 물로 씻어내면 기름때와 이물질이 사라진다는 부가설명과 함께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여튼 11번가에서 구입한 뒤 사용을 위해 본넷을 열었습니다.



엔진이 어느정도 식은 상태임을 확인한 후 도포합니다.


사정없이 뿌려줍니다. 550ml의 엔진크리너 용액 절반을 사용합니다. 특히나 기름때가 잘 끼는 파워오일통과 브레이크오일통 주위. 블로바이가스로 오염되는 매니홀드 옆과 타이밍커버 주변을 집중적으로 뿌려줍니다. 흡기필터 주변을 제외하고 사정없이 뿌려줍니다.



약 4분 뒤, 물을 뿌려줍니다.


엔진룸에 물 못뿌리겠다는 분들도 계시지만, 전 그냥 사정없이 뿌렸습니다. 하우스 주변, 쇼바마운트 주변까지 시원하게 뿌려줍니다. 뭐 엔진과 물은 상극이라지만, 소량의 물에 의해 고장이 날 엔진이라면 이미 지난 장마철에 고장이 나 정비소에 들어가고도 남았을겁니다.


물을 뿌리고 바로 에어건으로 이동하여 남은 물기를 불어내어 제거합니다.



배기매니폴드 주변도 깔끔해졌습니다.


백화현상으로 하얗게 떠버린 알루미늄이야 뭐 어쩔 수 없다지만, 그래도 검은 이물질은 사라진 모습입니다.



파워오일통 주위도 깔끔해졌고요..


어짜피 타다보면 설계결함탓에 파워오일이 뚜껑에서 좀 새어나오곤 합니다. 별다른 방법은 없더군요.



브레이크오일통은 상대적으로 구석에 몰려있어 아직 때가 좀 남아있더군요.


남은 잔때는 막걸레를 가지고 꼼꼼히 잘 닦아주었습니다. 가끔 신차수준으로 깔끔하게 관리하는 분들도 계십니다만, 그 수준가진 힘들고.. 저렴한 스프레이형 클리너로 한번씩 뿌려주는 선에서 만족하고 살아야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