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티스도리닷컴 새 콘텐츠 초딩일기는...


초등학교 재학 당시 작성했었던 일기장을 펼쳐 당시 있었던 일을 회상하고 여러분께 공유하자는 취지에서 공개하는 콘텐츠입니다. 좋은일도, 그렇지 않았던 일도 있었겠지만 한 시대를 살아가던 평범한 어린이의 일기장을 본다는 마음으로 재미나게 봐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일기장은 무작위로 공개됩니다.


오랜만에 초딩일기를 가지고 왔습니다. 딱히 기다리시거나 기대하시는 분은 계시지 않으시겠지만 말이죠. 오늘의 일기는 2001년 8월 16일에 있었던 이야기입니다. 제목은 행운의 자전거이나, 딱히 행운이 있었거나 하는 내용은 아니고 그냥 평범하게 자전거를 탔다는 이야기입니다.



제목 : 행운의 자전거


나는 자전거를 타고 합덕 우강에 있는 솔뫼성지에 갔다.

차들이 빵빵거리고 옆에 차선으로 추월해 나갔다. 오르막길과 내리막길로 가서 힘들었다.

우리 동생은 너무 느리개(게) 왔고 우리 아파트에 올라갈때 너무 힘들었다.

다음부터 운동을 많이 할 것이다.


딱히 행운과는 관련이 없는, 솔뫼성지에 자전거를 타고 갔다는 내용입니다. 솔뫼성지는 이 일기를 작성한 날로부터 정확히 14년 뒤인 8월 15일에 프란체스코 교황까지 다녀가 전국 천주교 신자들이 찾는 주요 성지가 되었습니다만, 이 당시만 하더라도 김대건 신부를 기리는 동상과 성당만 존재했던 작은 공간이였습니다.


여튼 당시 살던 아파트에서 솔뫼성지까지의 거리는 대략 2km. 지금은 해당 도로를 2차선으로 확장하고 옆으로 인도까지 잘 만들어 두었고, 굳이 그 길 말고도 자동차전용도로 인터체인지가 생겨 더 좋은 길로 다니곤 합니다만, 그 당시만 하더라도 도로는 1.5차선에 가까웠던 그냥 평범한 시골길이였습니다.


과연 일기 내용과 제목의 상관관계가 무엇인지 저도 2001년의 저에게 묻고싶습니다. 가다가 돈을 주웠는지 가다가 뭘 얻어먹는지 여튼 행운과 거리가 멀었지만, 그 당시엔 자전거를 타고 꽤나 힘겹게 솔뫼성지에 다녀왔던 기억과 함께 꽤 멀리 존재했다는 기억이 있는데 고등학생때만 하더라도 이 당시보다는 쉽게 자전거를 타고 솔뫼성지에 갔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솔뫼성지는 현재 국가사적으로 지정되었고, 규모도 훨씬 커졌습니다. 찾는 사람도 많고요. 20여년 전 그시절 작은 시골의 성지였던 솔뫼성지를 추억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업무차 이동한 대전의 한 카센터. 주택가에 소재한 작은 경정비 업체인데, 간판이 조금 특이해서 사진으로 남겨놓았습니다. 평범한 간판 역시 거꾸로 매달려 있었고요, 간판으로 티코를 잘라 사용하고 있었네요.



멀리서부터 카센터가 눈에 들어옵니다.


노란 칠이 되어있는 티코. 휠에는 빨간 페인트를 칠해두었습니다. 휠타이어도 그대로. 유리도 그대로. 전조등과 후미등까지 그대로 붙어있더군요. 보통 한적한 공간이 있는 카센터 같은 경우에는 폐차를 간판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가끔 본 기억이 있습니다만, 주택가의 작은 경정비업체에서 자동차를 간판으로 쓰는 모습을 보니 신기하게 느껴지기만 합니다.


대략 티코 뒷유리에 붙은 무연 스티커와 주유구의 열쇠구멍을 보아하니 초기형 민자티코로 보이는군요. 슈퍼티코의 전유물이던 뒤 스포일러는 이후에 붙이지 않았나 추정해봅니다.



어떻게 잘라다 붙여놓았나 궁굼해서 간판 아래를 살펴봅니다.


잘라다 붙인건 맞습니다. 간판을 고정하는 철제 브라켓을 붙여놓고, 티코의 단면을 잘라 용접으로 고정한듯 보이네요. 간판으로 사용하기 위해 일부 단면을 잘라내었지만 트레일링암과 브레이크 호스는 살아남았습니다.



타이어는 지금은 단종된 금호타이어 POWER MAX 769.


12인치 사이즈가 생산되지 않은지 대략 7~8년은 지난걸로 알고있습니다. 하얀 테두리가 있는걸로 보아 90년대에 끼웠거나 출고용 타이어가 아닐까 조심스레 예측해봅니다. 로드뷰로 이 공업사의 10년 전 사진을 보더라도 티코 간판은 그대로 걸려있더군요. 대략 10년 이상의 세월을 잘려서 간판으로 사용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시간이 그리 넉넉하지는 않아 신기한 간판을 뒤로하고 빠져나왔습니다. 개체 자체도 많이 줄어 사실상 거의 다 전멸했다고 보는것이 맞는 티코이지만, 티코 간판은 부디 오랜 세월 카센터 간판으로 대 활약을 해주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