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갑작스레 동네 병원에 갔다가 내장출혈이 의심되니 큰 병원에 가보라는 소견서를 써 준 탓에 집에 들어와 대충 물건을 챙기고 집을 나섰습니다만, 시동을 걸고 얼마 움직이지 않으니 타이어 공기압이 낮다는 경고등이 점등됩니다. 혹시 문이 닫히지 않은것인가, 사이드브레이크가 잡혀있는가 하고 봤더니 공기압 경고등이네요.


가뜩이나 급하고 초조한데, 꼭 이럴때만 말썽을 부립니다.

이런 제 인생사를 시트콤으로 제작한다면 분명 시청률은 보장되리라 생각됩니다. 

관심있는 작가 여러분의 연락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또 펑크가 났습니다. 이번에도 역시나 우측 뒷바퀴. 


같은 자리에 못이 박혀서 지렁이를 박았던 기억이 있었는데, 이번에도 역시나 그 자리입니다. 물론 3만km정도 타고 타이어의 위치를 바꿔주었으니 지난번에 지렁이를 박았던 타이어는 아닙니다만, 찢어먹어서 새로 바꾸거나 지렁이를 박지 않은 출고 당시의 순수한 상태로 남은 타이어는 이제 한짝 말곤 없습니다.


그러고 보니 딱 하루 차이로 1년 전에도 같은 자리의 타이어에 지렁이를 박았습니다.



경고등이 뜨고 혹시나 싶어 내려서 확인했더니, 바람 빠지는 소리가 들립니다. 다행히 집에서 나오다가 경고등이 점등되었으니 집 바로 뒤 내포현대서비스로 향합니다. 물론 보험 긴급출동을 부르면 지렁이값도 받지 않고 펑크수리를 해줍니다만, 그거 기다릴 시간조차 없었습니다.



다시 찾은 내포현대서비스.


평범한 평일 오후입니다만, 차가 예전처럼 많다고 느껴지지는 않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여파가 크게 관련 없어보이는 자동차 정비소까지도 사람들이 찾지 않게 만드니 모든 산업 자체가 이 바이러스 하나때문에 위축되어버리는 느낌입니다. 여튼 접수를 하고, 잠시 기다립니다.




혼자 차량을 살피던 중 타이어에 무언가가 박혀있음을 확인합니다.


이런것이 박혀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차량을 리프트에 올리기 위해 가져갑니다. 차라리 이럴때는 유압작키로 들어올려서 타이어에 박힌 이물질을 빼내고 지렁이를 박는것이 훨씬 빠른데 말이죠.



조금 비효율적이긴 합니다만, 리프트에 올라갑니다.


금방 박혀낸 이물질을 빼냅니다만, 대체 어디서 박혔던것인지 알 수 없는 칼날이네요. 생각보다 칼날이 박히면서 타이어가 찢어진 면적이 넓었던지라 과연 지렁이로 해결이 가능한 수준인지 의문이 들었지만, 일단 지렁이를 박아보기로 했습니다.


일부 비양심적인 타이어 전문점에서는 지렁이로 충분히 해결 할 수 있는 부분을 지렁이를 비스듬히 넣는다거나 하는식으로 떼울 수 없다며 새 타이어를 비싸게 팔아먹는 경우가 있으니 항상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조금 걱정되긴 했습니다만, 지렁이로 막으니 다행히 바람이 새어나오지는 않네요.


지렁이로 해결이 되어 그나마 다행입니다. 그렇게 아까운 만원을 지불하고 나왔습니다. 못도 아니고 부러진 칼날이 대체 어디에서 박히게 되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누군가가 무심코 버린 칼날로 인해 쓰지 않아도 될 돈을 쓰고 시간을 허비했네요.


부디 이런 문제는 앞으로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타워크레인 국비교육도 끝을 향해 달려가고 있고, 정기 기능사 실기시험의 접수가 시작되었습니다.


정기 기능사 실기시험의 접수는 오전 10시 시작. 시간이 그렇다보니 일은 포기하고, 큐넷에 접속하여 오전 10시가 도래하기만을 기다렸습니다. 물론 코로나19의 여파가 3월 말 ~ 4월까지 지속된다면 아마 상시시험처럼 정기시험도 밀리겠지만 그건 나중에 생각해도 될 일이니 일단 접수부터 하고 봅니다.


타워크레인 운전기능사의 경우 제가 국비교육을 받은 학원에서도 시험이 치뤄집니다. 시험은 4월 5일과 4월 19일 오전과 오후로 나뉘어 총 4회. 20명 정원으로 실시되는데, 일단 빠른 날짜 빠른 시간에 보기 위해 필사적으로 시험 접수를 하기로 합니다.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운영하는 큐넷(http://www.q-net.or.kr/)에 미리 접속합니다.


10시 전부터 존버(?)를 하는 사람들이 있긴 합니다만, 10시가 가까워질수록 페이지 새로고침시 점점 사람들이 몰리고 로딩이 느려지는것이 느껴집니다. 물론 PC와 함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도 응시원서의 접수가 가능합니다만, 굳이 스마트폰과 컴퓨터 두개를 놓고 응시를 하고싶은 생각은 없어 PC로만 접수를 시도하기로 합니다.


역시나 서버시간으로 10시가 넘어가고 국가기술자격 정기시험의 접수 버튼이 생성됩니다.


접수하기 버튼을 누르니 접속대기 안내가 뜨는군요. 대략 4천여명이 같은 페이지를 보고 있습니다.



접수 종목을 선택하고, 장애여부를 선택한 뒤 고사장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필기시험 접수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대기인원은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늘어 대략 7000명 가까운 사람이 한꺼먼에 몰려있는 상황입니다. 코로나고 나발이고 자격증은 취득해야겠다는 사람들은 많았습니다.




시험 장소를 선택하고, 검정수수료를 결제합니다.


수수료는 19,500원. 카드 계좌이체 휴대폰 소액결제 등등 여러 결제수단을 통해 납부가 가능합니다. 뭐 그렇다 쳐도 카드가 가장 편한지라 신용카드로 결제하기로 합니다.



결제창을 닫고 접수를 완료하는데도 기다림이 필요합니다. 여기서 튕기면 억울합니다.



그렇게 서버가 열린지 4분만에 응시절차를 모두 마쳤습니다.


시험 시작시간은 8시 30분. 현장에서 제비뽑기로 순서를 정하는지라 시험 순서는 알 수 없습니다. 어느정도 타워크레인이 손에 익었으니 처음에 탄다 한들 마지막에 탄다 한들 크게 문제가 될 건 없지만 말이죠.



그렇게 모든 절차를 마치고 응시원서를 출력합니다.


4월 5일 오전 8시 30분. 대략 한달 뒤 시험이고, 국비교육은 다음주에 끝이 납니다만 좋은 결과가 있기를 기대해야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