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당진의 한 주택가 공영주차장에서 본 구형 포터입니다.


1986년부터 1993년 부분변경 모델의 출시 직전까지 대략 7년간 판매되었던 흔히 말하는 '각'포터는 전두환 정권 시절 시행되었던 자동차공업합리화조치의 해제 이후 다시 트럭을 만들 수 있게 된 현대자동차가 미쓰비시의 2세대 델리카 트럭 모델을 그대로 라이선스 생산하였던 차량입니다. 


포터는 구형 모델인 2세대 델리카 트럭을 기반으로 라이선스 생산을 하였는데 이후 3세대 델리카를 기반으로 하는 승합차 그레이스와 비슷한 형태의 부분변경 이전까지 미쓰비시 델리카 트럭과 비슷한 모습으로 판매되었습니다.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의 주인공 역시 흔히 말하는 각포터. 후기형 차량입니다.



공사 자재가 가득 적재되어 있습니다.


비계(아시바) 발판 및 파이프들로 보이네요. 당시 미쓰비시 소형트럭이 하늘색과 흰색 조합의 도색을 사용하였기에 그 차량을 그대로 들여온 현대의 포터 역시 같은 디자인의 문짝 도색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세월이 세월인지라 여기저기 부식의 흔적이 보이곤 하는데, 심각한 수준은 아니라 여겨집니다.


1993년 3월에 최초로 등록되었으니, 최후기형 차량으로 대략 만 27년의 세월을 버텨왔습니다.



여기저기 찍히고 녹이 슬었습니다만, 그래도 원형 그대로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사이드미러만 부분변경 이후 모델용으로 교체되어 있었고, 그 외에는 각포터용 부품 그대로 보존되어 있었습니다. 번호판은 신형 지역번호판으로 천안에서 발급되었던 번호판이네요. 충남80 '마'인것으로 보아 아마 2000년대 들어 번호판을 교체하지 않았나 추정됩니다.



포터 레터링과 함께 슈퍼캡(SUPER CAP) 엠블렘까지 살아있습니다.


각그랜져 뉴쏘나타 각그레이스 스텔라 등 그시절 현대차의 레터링들은 모두 같은 폰트를 사용합니다. 포터 역시 마찬가지고요. 포터 레터링만 붙은 차량은 흔히 보았지만, 그 옆 슈퍼캡 엠블렘까지 붙은 차량은 그리 쉽게 보지 못했습니다. 우연찮게 제치 그대로 붙어있는 모습을 목격하네요.



각포터 특유의 일자 핸들. 80년대 일본차 특유의 각지고 투박한 진청색 인테리어.

핸들 뒤에 붙은 칼럼 시프트형 기어가 아닌 지금도 흔히 볼 수 있는 기어봉 형태의 수동기어입니다.


초기 및 중기형 모델까지만 하더라도 핸들 뒤 기어봉이 붙어있는 칼럼 시프트형 기어가 적용되었습니다만, 이후 개선을 거쳐 현재까지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식의 기어로 변경되었지요. 이 차량 역시 후기형인지라 핸들 대신 운전석 옆으로 기어봉이 솟아있습니다.



다른 휠에는 커버가 붙어있지 않았습니다만, 운전석 앞바퀴에만 뉴쏘나타용 휠커버가 붙어있네요.


뉴쏘나타(Y2)와 일부 뉴그레이스에 적용되었던 휠커버입니다. 당연히 포터에는 붙어 나오지 않았으니 어디서 구해다가 직접 부착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왜 다른 휠에는 남아있지 않고 하나만 남아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포 터    HYUNDAI

차량총중량 2630kg


적재함 문짝도 제치입니다. 스티커도 그대로 붙어있습니다. 90년부터 93년까지 이와 같은 배열의 스티커를 사용하였고, 부분변경 이후 모델도 적재함 문짝의 형태는 좀 더 완만하게 바뀌었지만, 같은 배열로 스티커를 부착하였습니다. 


만 30년을 바라보는 노장입니다만, 아직도 현장용 차량으로 큰 문제 없이 이용중인 모습입니다. 90년대 초반에 태어나서 2020년대 초반을 보내고 있는 우리의 각포터가 부디 오랜 세월 현장을 누빌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며칠전부터 갑자기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벅차더군요.

거기에 약간의 가래까지도 생겨버렸습니다.


저는 종교도 없습니다. 대구에 가지도 않았습니다. 그렇지만 무서웠습니다. 혹시 갑작스레 확진자가 늘어나는 중인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된게 아닐까 싶어서 말이죠. 뭐 여튼 무서웠던지라 일도 손에 잡히지 않았고.. 홍성에 내려와 선별진료소로 향했습니다. 



지방 중소도시 기준으로 보건소와 거점 병원. 총 두곳의 선별진료소가 있는듯 보입니다.


홍성 역시 홍성보건소와 홍성의료원에 신종코로나바이러스 선별진료소가 차려져 있었습니다. 선별진료소 입구에서부터 체온을 측정할 줄 알았더니 그냥 컨테이너 박스로 들어가면 된답니다. 박스 안에는 이미 먼저 온 사람들이 있더군요. 컨테이너 밖에서 잠시 기다렸습니다.



지도에도 코로나19 선별진료소로 나타나네요.



이런류의 컨테이너박스 두동이 설치되어 있었습니다.


주변으로 손 소독제가 놓여져 있었고요, 앞에 들어가신 분들도 경미한 감기증상이 있는데 혹시나 싶어 오신 분들로 보였습니다. 그렇게 차례가 되어 컨테이너 박스 안으로 들어갔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역학조사서'라고 적힌 종이를 작성하라고 합니다. 


이름과 생년월일 전화번호와 같은 기본적인 정보로 시작하여 어느곳에 다녀왔는지 어떤 증상이 있는지를 작성하고 종교를 물어봅니다. 종교는 당연히 없으니 무교. 그리고 체온을 측정하니 36.8도로 정상이네요.


곧 공중보건의 선생님이 오십니다. 역학조사서를 보고 몇가지를 물어보시더니만 일단은 열이 없기에 코로나바이러스는 아닌듯 하다고 합니다. 그러면서 이비인후과나 응급실을 가 보는것을 추천하더랍니다. 뭐 아직 병원 문을 닫지 않은 시간이니 이비인후과로 가기로 합니다. 



이비인후과에 가니 다행히 알레르기성 비염과 천식이라고 하네요.


기침은 하지 않습니다만, 알레르기성 비염과 천식이라고 합니다. 그러고 대략 여섯개의 약을 받아왔네요. 이비인후과 선생님도 코로나바이러스와는 저언혀 관련이 없다고 안심하라고 하십니다. 혹시나 나아지지 않고 열이 난다면 의료원으로 가라고 하시네요.


다행히 약을 받아온지 하루가 지났고, 약을 먹으니 다행스럽게 느껴질정도로 완화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특정 다수를 만나고, 전국 각지를 돌아다니는것이 일이다보니 앞으로도 개인 위생에 좀 더 신경을 써야겠다는 생각입니다. 우한폐렴 신종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등등 부르는 이름도 많지만, 여러모로 별 탈 없이 종식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