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눈길에서 혼자 놀다 꼬라박은(?) 이후. 반 강제로 휠도 바꾸고, 반 강제로 에어댐도 새로 시공했습니다. 여튼간에 반 강제로 랩핑 보수작업 단 한가지만 한다면 다시 종전과 같은 상태로 돌아오게 되겠지요.


그렇게 날짜를 잡고, 2월이 가기 전 사실상 원상복구를 위한 마지막 관문인 랩핑 보수작업에 들어가게 되었답니다. 시안은 어짜피 데칼집에 있고, 사장님 시간이 될 때 맞춰서 찾아가기만 하면 됩니다. 그렇게 일정을 조율해서 데칼집으로 향했네요.


항상 찾는 그곳으로 향했네요. 이 지역 그리고 이타샤 관련해서는 상당한 인지도를 자랑하는 아산(온양)에 소재한 데칼집 비비데칼입니다. 합덕에 살던 시절에는 20분이면 도착할 거리였지만, 지금은 족히 40분은 걸리는 거리가 되었습니다.





차량을 입고합니다.


본래 이 상가 단지는 아웃렛으로 건축되었지만, 종전의 옷가게들은 모두 폐업하고 지금은 학원이나 가구점 그리고 자동차 튜닝샵과 같은 처음 의도와는 많이 다른 업종들로 변화하였습니다. 약 3년 전 처음 왔을 적엔 빈 상가가 훨씬 더 많았지만, 지금은 비어있는 창가를 찾기 힘든 수준이네요.



비비데칼의 마스코트. 샴고양이 비비.


줄이 묶여있네요. 전에는 놀아 줄 사람들을 꽤나 많이 데리고 왔었습니다만, 평일이고 저도 피곤하고 하니 이날은 혼자 방문했었네요. 어쩔땐 사람한테 놀아달라고 와서 붙다가도 어쩔때는 귀찮다는듯이 사람 손을 피하려 듭니다. 고양이는 정말 알 수 없는 동물입니다.



출력은 이미 전날 다 끝났고, 부착만 남았습니다.


휀다야 뭐 금방 부착하고 끝나죠. 새로운 출력물과 기존의 출력물의 미세한 색상차이는 있지만, 크게 눈에 띄는 수준은 아니니 그냥 넘어가도록 합니다. 가까이에서 자세히 봐야 느낄 수 있는 수준입니다. 



운전석 문짝과 위치를 잘 맞춰줍니다.


그리고 본격적인 부착작업에 돌입합니다. 운전석 문짝에 동일한 부분을 붙인 뒤, 서서히 휀다에 부착을 하면 되는겁니다. 여러분께서는 무도장 휀다에 칠대신 스티커가 올라가는 모습을 보고 계십니다.



헤라로 기포가 남지 않게끔 잘 붙여줍니다.


마감까지 잘 한 다음에 컷팅만 하면 휀다는 끝납니다. 참 쉬운 작업은 여기서 끝나고, 이제 굴곡이 많은 뒷범퍼와 에어댐 부분이 남았습니다. 에어댐 랩핑이 사실상 공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봐야 하겠네요.



후면 역시 기존 라인을 기반으로 잘 연결해서 맞춰봅니다.



헤라와 히팅건으로 잘 붙여봅니다.


아 한판으로 에어댐까지 작업을 했으리라 생각하시겠지만, 에어댐용으로 따로 한판을 더 출력해서 그 스티커로 에어댐 랩핑을 진행했답니다.



티비좀 보고, 근처에서 올라오는 탁송을 보며 갈까 말까 고민하던 사이에 작업이 끝나갑니다.


가장 어렵고 힘들던 에어댐 작업이 사실상 막바지네요. 뜨는 부분 없게 히팅건으로 잘 붙어주고 눌러줍니다. 종종 며칠만에 기포가 올라오는 경우가 있는데, 한 일주일 꾹꾹 눌러주면 뜨질 않는다고 하더군요. 다음에 풀랩핑을 한다면 한 일주일은 그냥 꾹꾹 눌러줘서 오래오래 타봤으면 좋겠습니다.



작업완료.


약 네시간의 대장정이 끝났습니다. 사장님도 그렇고 저도 공복이던지라 근처 중국집에서 간짜장을 시켜서 먹습니다. 다른분들과는 달리(?) 저는 매번 얻어먹고만 와서 다음번에 갈 땐 먹을거 말고 뭐라도 하나 사가야겠네요.



다시 그 모습 그대로 돌아왔습니다.


이번에는 부디 오래 갈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나중에 차나 바꿔야 새로 작업하게 말이죠. 근 한달만에 종전의 그 모습으로 다시 돌아왔습니다. 날좀 풀린다면 겨울용타이어 내릴 때 휠도색만 싹 해준다면 참 이쁜 차가 나오겠네요. 여튼 그렇습니다. 사고 없이 잘 돌아다녀 봅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가평에 들렸다 오는 길. 마침 오일 교환주기도 얼추 다가왔고, 분명히 지난해 11월에 갈았지만 벌써부터 잘 잡히지 않는다 느껴지는 브레이크 오일의 점검차 용두동에 소재한 오일마켓으로 향했습니다. 경춘고속도로를 타고 서울방향으로 나오던 길이니 천호대교만 건너면 금방이지요.


블로그 내 다른 글을 검색하셔서 그동안의 오일 교환기를 찾아보신다면 더이상 설명이 필요없는 공간이긴 합니다. 저는 비록 꼼꼼한 차주는 아니지만, 병적 관리가 일상이고 꼼꼼한 성격을 가진 차주의 성에 차게도 정말 꼼꼼하게 작업을 진행해줍니다.





예약없이 방문했으나, 리프트가 비어있네요. 여튼 리프트로 차량을 올립니다.


먼저 브레이크 이야기를 꺼내니 수분측정기로 오일의 상태부터 확인을 해봅니다. 오일 색상은 조금 진하긴 하지만, 수분 함량은 1%대로 정상. 암요 교환한지 세달밖에 되지 않은 오일이 벌써 교체대상일 일은 없겠죠.



일단 리프트를 올리고 네바퀴 모두를 탈착합니다.


그리고 곧 에어빼기 작업을 진행합니다.



생각보다 공기가 많이 차 있었다네요.


화근은 아마 지난해 클럽데이 당시에 저보다도 훨씬 어려보이는 정비사가 제 차의 점검 및 작업을 진행했었는데, 아무래도 실습생이 아녔나 싶습니다. 차를 주차장에서 정비고로 가져가는 동안 정확히 여섯번 시동을 꺼먹더군요. 뭐 그땐 그냥 그렇구나 하고 넘어갔습니다만 하체 부싱류를 점검했다고 하는데도 밋션미미 볼트가 빠진것도 그냥 넘어갔었고 브레이크 오일 교환 후 에어도 제대로 빼지 않은듯 보입니다.


공기를 빼주고, 함께 나온 오일은 다시 오일통에 넣어줍니다. 마스터실린더 그리고 디스크 캘리퍼에도 머지 않은 시일 내 투자가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요즘들어 딱히 차에 돈쓰기 싫은데 자꾸 돈을 쓰게 만들어주는 스파크입니다.


이왕 이렇게 리프트 띄운거 엔진오일도 교환하기로 합니다.



일단 드레인 방식으로 폐유를 배출합니다.


그 뒤 석션을 이용해서 고여있는 폐유 마저 배출해내는 방식으로 잔유를 완전히 제거합니다. 폐유 제거 후 어떤 오일을 주입할지 고민 또 고민을 해보네요. 종전에 내리 두번 사용했던 SARD 오일은 다 좋습니다만 체감되는 오일빨(?)이 오래가지 못하는 느낌에 생각외로 큰 소음과 좋지 못한 연비가 발목을 잡네요. 



결국 그렇게 결정된 오일은 이탈리아의 셀레니아(SELENIA)社의 오일입니다.


아 물론 말레이시아의 국영 석유회사인 페트로나스(PETRONAS)가 이 회사를 인수했습니다. 그래도 원체 인지도 높은 오일이고, 알파로메오 규격에 맞춘 순정오일로도 유명하기에 회사는 말레이시아 자본에 넘어갔어도 이 브랜드 그대로 제품이 나오나 봅니다.


셀레니아에도 여러 제품이 나옵니다만, 그중 선택된 오일은 '퓨어 에너지 와이드 레인지 5W30'

여튼 오일이 결정되었고, 본격적인 주입작업을 진행하도록 합니다.



2리터들이 두통이 스파크에 주입되기로 합니다.


저기 이태리 성님들이 타는 알파로메오에나 주입되어야 할 고급 오일이 바다건너 타국의 저가형 경차에 들어가는게 정말 통탄하게 느껴지겠지만 저도 이태리 감성을 한번 느껴봅시다.



주입이 편하게 요런식으로 간이 비닐 깔때기가 붙어있네요.


이태리 오일 통들은 뭐 다 그렇다고 합니다.



일단은 주입기에 붓고, 드레인을 했던 그자리에 반대로 밀어넣어 줍니다.


잔류했던 오일을 강제로 빼냈는데, 그 부분으로 다시 오일을 넣어주기 위해 번거로운 방법이긴 하지만 이 방법을 사용해서 오일을 주입합니다.



다들 귀찮아 그냥 지나가는 부분인 드레인코크 와셔의 교체작업도 진행합니다.



마저 남은 오일도 부어주고 완료.


일단 종전의 사드오일에 비한다면 칼칼하게 잘나가진 않습니다. 초중반 가속과 정숙성은 상당히 우수한 편. 다만, 후빨이라 하는 110km/h 이상 가속은 꽤나 힘들더군요. 사드오일로는 속도계 끝도 무난하게 찍던 그런 차가 140km/h를 넘기기가 힘듭니다. 천키로 주행하면서 열심히 밟아보기도 했고 정속으로 부산도 내려가 봤지만 같은 조건에서 종전 오일로 주행했을 당시와 비교하면 체감상 연비는 훨씬 좋네요.


여튼 그렇습니다. 아마 여름즈음에 새 오일로 교체하겠죠. 일단 좀 더 타보고 같은 오일을 사용할지 결정하도록 합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