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평화로운 3월의 첫날이자 토요일. 아침 일찍 일을 마치고 차량 이동 계획을 잡아봅니다.

 

본래 명절 연휴에 하려 했던 일이지만 눈이 내려서 실패하고 결국 3월 1일이 되어서야 차를 이동시키네요. 집 주차장에 세워져 있던 티코를 사무실로 옮기고 사무실에 있던 갤로퍼를 차고로 옮기려고 합니다. 그렇게 티코를 타고 나와서 이전부터 편마모를 먹었던 앞타이어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마침 타이어집이 한산하기에 타이어집에 얼라인먼트를 보러 들어갔습니다.

 

바로 입장

 

손님이 없어 한가한지라 바로 얼라인먼트를 보러 작업장으로 들어갑니다.

 

헌터 장비에 티코의 제원이 있다고 하더군요. 마침 헌터라는 회사의 장비였습니다.

 

작업중

 

틀어져있던 부분을 돌려서 맞춰주고 바로 출고되었으나 핸들이 우측으로 더 틀어져버렸네요..

 

편마모 때문에 맞추러 왔으나 핸들만 더 우측으로 틀어졌던지라 다시 돌아와서 차를 작업장에 입고시킵니다. 그렇게 두 번 작업이 진행됩니다.

 

잘 맞추긴 했는데..

 

잘 맞추긴 했는데 우측 바퀴가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오무기어에서 나오는 타이로드에서 흔들리고 있다고 하네요. 좌측은 부츠가 찢어졌다고 하는데 오무기어를 교체하던지 오무기어를 내려서 타이로드가 흔들리는 원인만 잡을 수 있을지는 모르겠네요. 대대적인 하체 작업이 필요해 보입니다. 제가 들고 있던 이후로 딱히 하체에 손을 댄 건 없었고, 인수 당시에도 오무기어 상태가 교체가 필요한 수준은 아녔어도 아주 좋은 편은 아니라고 들었기에 올게 왔다는 생각입니다.

 

그렇게 얼라인먼트를 보고 사무실로 들어옵니다. 차량 위치를 바꿔줍니다.

 

교대

 

설 연휴 전에도 티코랑 바꿔가려고 했었습니다만 애매하게 꼬여서 티코를 타고 집에 갔었었죠..

 

이제 티코를 갤로퍼 자리에 세우고 갤로퍼를 차고에 가져다 놓으려 합니다. 비가 내리지 않아 나왔는데 비가 살짝 떨어지네요. 의도치 않게 비를 맞고 차고로 향했습니다.

 

차고에 쑤셔넣기

 

갤로퍼를 차고에 넣습니다.

 

서해선 열차 시간이 촉박하여 일단 대충 앞으로 밀어넣고 문을 닫고 나왔습니다. 택시를 타고 합덕역으로 가서 홍성으로 향하는 서해선과 장항선을 순환하는 순환열차를 기다립니다. 버스는 합덕터미널에서 약 30여분 전에 출발하더군요. 그래서 버스 시간을 맞출 순 없었습니다.

 

합덕역 승강장

 

개통 전날 오고 실제 탑승은 이날 처음 해 봤습니다.

 

토요일이라 그런지 열차에서 내리는 사람은 좀 있었는데 홍성방향으로 탑승하는 사람은 저 포함 둘이었습니다. 4량짜리 ITX-이음 열차가 다니는데, 새마을호와 동일한 기본운임을 받습니다.

 

ITX마음

 

ITX 마음 열차에 탑승합니다.

 

소요시간은 탑승부터 도착까지 15분컷. 차로 아무리 빨리 가도 합덕에서 홍성역까지 40분 가까이 소요되는데 신안산선 직결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현재는 반쪽짜리 열차입니다만, 경부고속선과 연결되고 신안산선의 개통으로 서해선이 완전히 연결된다면 제대로 교통 혁신이 무엇인지 느낄 수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시트는 애매한데 열차는 깔끔함

 

확실히 새 열차라 열차 자체는 깔끔했습니다.

 

시트 간격은 넓었습니다만, 시트 포지션이 애매해서 장거리를 다닌다면 허리가 좀 아프겠더군요. 그래도 안락한 열차에서 눈을 감고 졸다보니 도착 안내방송이 나오더군요. 차를 옮겨놓고 무사히 돌아올 수 있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앞타이어를 교체한게 지난해 여름. 올 겨울은 스노우타이어 없이 버텼으니 지난 여름부터 지금껏 4계절용 타이어로 버텨왔습니다. 물론 그렇게 별 문제 없이 탔습니다만, 지난번 오일 교환시부터 육안상으로 뚜렷하게 보일 수준으로 우측 앞 타이어만 마모한계선에 가까워질 정도로 많이 닳아있더군요.



당시 15.7만km 수준에서 교체했었고, 현재 주행거리가 18.3만km를 넘어간 상황이니 현재 약 2만 6천km를 주행한 상태입니다. 뭐 주행 특성에 따라 2~3만km를 주행하고도 타이어가 다 마모되어 교체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만, 당시 몇푼 아낀다고 얼라이먼트를 보지 않았던 부분도 있으니 이번 기회에 타이어 위치도 교환할 겸 얼라이먼트를 보기로 합니다.



요즘 시끌벅적한 안희정시티. 내포신도시 현대차 사업소 내에 타이어가게가 하나 있습니다.


현대차 사업소에 와 본 사람들은 알고 찾아온다지만, 그렇지 않고선 사업소 내에 타이어가게가 있는 줄 모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뭐 내포 시내나 큰 도로가에는 정비소나 타이어가게 허가가 나지 않는다고 하더군요. 여튼 집 근처 넥센타이어 전문점으로 향했습니다.



사장인 한국인 아저씨와 중앙아시아 출신의 외국인 직원까지 해서 두 사람이 작업을 진행합니다.



일단 뒤에서 앞으로 오게 될 두짝은 밸런스부터 다시 봅니다.


앞에 달려있던 두짝은 대각선 방향으로 꼽아줍니다. 장마철이 오기 전까진 버텨주겠죠.



타이어를 잘 꼽아주었으니, 본격적으로 얼라이먼트 작업을 진행합니다.



리프트를 올리고, 외국인 아저씨가 올라가서 핸들을 조향한 뒤 쇠꼬챙이로 브레이크를 밟아놓습니다.



예상했지만 이미 답 없는 결과값.


토우 캠퍼 캐스터 다 노답입니다. 뭐 18만km 막 탄 차 특성상 하체 올바라시를 할 상황은 아니니 캐스터 캠버는 놔두고 토우만이라도 조절해서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맞추기로 합니다. 



쩔어서 돌아가지 않는 볼트탓에 토치로 지집니다.


물론 토치의 힘으로는 역부족입니다.



결국 옆에서 빌려온 산소를 풀파워로 지져서 돌리는군요.


금방 할 줄 알았는데 지지고 볶는 시간이 길어 꽤 오래걸립니다.



여튼 고생 끝에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맞추고 끝.


확실히 직진성이 좋아지고, 타이어 소음이 줄어든 느낌입니다. 하체 올바라시를 하지 않는 이상 큰 답은 없으니 그냥 이렇게 타기로 합니다. 어짜피 여기저기 막 굴리다 보면 또 틀어지겠지만 말이죠.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