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평범하게 회사차를 몰고 가다가 발견한 차량입니다.


북대전ic를 얼마 앞두지 않은 지점에서 신호에 걸려 정차하였습니다. 옆에 정비소가 있더군요. 그렇지만 그 정비소에서 정비를 받고 있는 차량은 심상치 않았습니다. 대략 30년은 된 중기형 르망이였습니다.



매우 온전한 보존상태를 자랑하는 이 은색 르망은 과연 어떤 일로 정비소를 찾았을지요..


아무래도 전반적인 관리상태만 놓고 보더라도 큰 고장은 아니고 일상적인 소모품 교환을 위해 찾지 않았을까 싶은데, 91년 이후 7년간 판매되었던 뉴 르망도 부분변경 모델인 씨에로 역시 보기 힘든 와중에 잠시 판매되었던 4등식 테일램프의 모델을 보았다니 정말 경이롭게 느껴졌습니다.


번호판은 하얀색 전국번호판. 구형 지역번호판이였다면 더욱 좋았겠지만, 말끔한 상태로 존재한다는 그 자체를 보았다는 사실만으로도 정말 감사하게 느껴집니다. 원부상의 등록년월은 1990년 4월로 나타납니다. 


내수에서만 11년간 50만대 이상 판매된 차량입니다만, 90년대 이후 중고차 수출 붐에 힘입어 죄다 수출을 나가버렸거나 폐차되어 지금은 그냥 굴러가는 모습만 봐도 감탄사가 흘러나오는 차량이 되었습니다.


 

오펠 카데트가 어쩌고로 시작하는 르망의 역사와 관련된 이야기는 이전에 르망을 보았던 다른 게시물에서도 확인을 할 수 있으니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러고 보니 초기형 르망부터 중기형 그리고 후기형 르망의 목격담이 모두 채워졌네요. 드래곤볼을 모두 모은 기분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사실상 전멸 수준으로 알고있던 차가 살아있는 모습을 보니 감회가 새롭습니다.


점촌의 한 주택가 언덕에서 목격한 베스타. 볼일을 보고 온 뒤 이 귀한 베스타의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근처를 두바퀴나 다시 돌았습니다만, 집 앞에 사람이 있어 결국 지나가며 촬영한 사진으로 만족해야만 했습니다.


그냥 베스타도 없어서 못구한다만 더욱 보기 힘든 레인보우(Rainbow) 트림의 4륜구동 모델입니다.


1989년 4륜구동 모델의 출시 당시 명칭은 베스타 4X4. '포 바이 포'라 외치며 산과 강을 누비고 다니던 광고가 아직도 유튜브에 돌아다니고 있습니다. 물론 하이베스타로 내외관의 변화가 생긴 이후 92년부터 95년 단종까지 레인보우(Rainbow)라는 명칭으로 판매했습니다. 그냥 상용 봉고차보다는 레저용 미니밴 개념에 가까운 모델이였습니다.



주택가를 관통하는 언덕배기 도로변 주차장에 세워진 베스타.


평범한 베스타처럼 보이지만, 휠에 툭 튀어나온 저 허브를 보고 멀리서도 4륜구동 모델임을 알아챘습니다. 그냥 베스타도 보기 힘들지만, 4륜구동 모델은 일반형 베스타보다도 훨씬 더 보기 귀한 차량이라는 사실은 모두 부정하지 않으리라 생각됩니다.


번호판은 교체한지 얼마 지나지 않은듯 깔끔한 하얀색 전국번호판. 타원형 기아 엠블렘으로 보아 94년~95년식으로 추정했습니다. 최초등록일을 살펴보니 94년 11월식으로 확인되네요.



전반적인 세월의 흔적은 있었지만, 상태는 준수한 축에 속했습니다.


여기저기 칠이 바랜 부분은 있었지만 육안상 큰 부식이나 크게 깨진 부분은 없었습니다. 특히 측면의 레인보우 스티커는 색바램 하나 없이 선명하게 붙어있었네요. 여러모로 차에서 내려 가까이에서 좀 더 자세히 보고싶었지만 사정상 여의치 않아 지나는 길에 잠시 정차하여 사진을 촬영한게 전부입니다.


앞으로도 부디 오랜세월 차주분과 함께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