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지난 2월 초 서산의 한 주차장에서 목격한 쏘나타2입니다.

 

사진을 촬영하고 바로 투싼이 출고되어 요 며칠 새 차 얘기만 하다 보니 이제 포스팅을 하고 있습니다. 90년대 중후반. 그리고 2000년대 후반까지도 흔히 보이던 차량이지만, 지금은 어쩌다 하나 둘 보이는 수준이네요.

 

스텔라 시절 고급 옵션을 추가하여 탄생했던 쏘나타를 시초로 보면 3세대가 맞지만 출시 당시만 하더라도 스텔라의 파생형 모델이 아닌 Y2를 1세대 모델로 명명했던지라 소나타 2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이미 여러 번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뤘던 차량이기도 하지요.

 

2018/06/25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 - [목격]1995 현대자동차 쏘나타2 2.0 (1995 HYUNDAI SONATA II 2.0)

 

[목격]1995 현대자동차 쏘나타2 2.0 (1995 HYUNDAI SONATA II 2.0)

똥차 아니 올드카를 보는게 그리 쉬운 일은 아니지만, 시골보단 도시지역에서 올드카를 훨씬 더 높은 비율로 보곤 한다. 일요일날 서울 강변북로를 달리다가 본 쏘나타2도 마찬가지. 1993년 5월에

www.tisdory.com

2020/10/2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 - [목격] 1996 현대 쏘나타2 2.0 GLS (1996 HYUNDAI SONATA II 2.0)

 

[목격] 1996 현대 쏘나타2 2.0 GLS (1996 HYUNDAI SONATA II 2.0)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지난 주말 경부고속도로 상행선 신갈-판교 구간에서 목격했던 쏘나타2입니다. 당시 스텔라의 고급형 모델로 파생되었던 차량을 쏘나타 계보에 넣지 않고 Y2를 1세대라

www.tisdory.com

지난해 10월 목격했던 차량은 부분변경 이전 끝물 모델이고 이번에 목격한 차량은 95년 1월에 등록된 차량입니다. 상태도 그럭저럭이고 여러모로 그게 그거 같긴 합니다만, 쏘나타2 치곤 흔히 볼 수 없는 쥐색인지라 사진으로 남겼네요.

 

1995 HYUNDAI SONATA II 2.0 GLS

흔치 않던 쥐색 쏘나타2가 작은 공영주차장에 세워진 상태였습니다.

 

이미 칠은 여기저기 바랬고, 깨진 범퍼는 테이프로 붙인 뒤 덧칠의 흔적까지도 보입니다. 25년의 세월이 고스란히 묻어 나오는 외관을 가지고 있더군요. 특유의 태양모양 14인치 알루미늄 휠이 적용된 모습으로 보아 2.0으로 보입니다. 거기에 GLS 레터링이 붙은 모습으로 보아 2.0 SOHC 모델이네요.

 

당시 쏘나타2의 엔진 라인업은 매우 복잡했습니다. 같은 배기량 안에서도 SOHC 엔진과 DOHC 엔진이 섞여있었는데, 1.8 GL은 DOHC팩을 선택해야 DOHC 엔진과 고급 오디오를 비롯한 편의사양이 추가되는 형태였고 2.0리터급 모델은 GLS와 GOLD로 세분화하여 GOLD 트림을 선택해야만 DOHC 엔진이 적용되었습니다.

 

덧칠의 흔적과 갈라진 도장 표면

덧칠의 흔적이 보입니다.

 

레터링의 반짝거리는 크롬 위로 덧칠이 올라갔고, 그 덧칠마저도 도장이 갈라진 모습입니다. 그래도 마스킹에 신경을 썼는지 덧칠 치고는 꽤 공들인 모습으로 보이네요. 쏘나타2는 진녹색과 은색 차량이 많이 보였고 쥐색 차량을 본 기억은 학생 때 몇 번 말곤 남아있지 않네요. 쥐색 차량이 흔히 보이던 Y2와는 달리 쏘나타2의 쥐색은 상대적으로 많이 보지 못한 느낌입니다.

 

깨지는 재질의 범퍼

지금과는 달리 옛 차량들의 범퍼는 충격을 받으면 이렇게 깨졌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요즘 차량은 ABS 소재를 활용하여 범퍼를 제작하기에 충격을 받으면 깨지는 대신 찢어지거나 푹 들어가곤 합니다만 당시 쏘나타2의 범퍼는 지금과는 다른 재질로 제작되어 이렇게 흉하게 깨지곤 했습니다. 차량이 노후화된 뒤 수리비가 아까워 이렇게 깨진 범퍼에 테이프를 붙이고 다니는 모습을 봤던 기억도 남아있습니다.

 

심각한 상태의 천장

매우 심각한 천장의 도장상태입니다.

 

천장과 함께 오랜 세월 실외에서 노출되었던 크롬 몰딩의 상태나 썬팅 없이도 별다른 변색 없이 준수한 상태의 내장재와는 달리 도장만 왜 이렇게 파괴된 건지 정말 신기하게 느껴지네요.

 

당대 먹어주던 유선형 디자인.

각진 차량들 사이 혜성처럼 등장한 유선형 디자인의 쏘나타 2

 

요즘 자동차와 비교하면 그렇게 둥글둥글한 디자인도 아니지만, 당시에는 곡선을 대거 차용하여 먹어주던 디자인이었습니다. 지금 보면 볼품없지만 당시 중장년층의 인기와 더불어 있는 집 대학생 자제분들의 통학용 자동차로도 사랑을 받았었지요. 고로 오렌지족과 야타족들이 선호하던 차량이기도 했습니다.

 

뭐 요즘 있는 집 대학생 자제분들은 수입차를 타고 다니시겠지만, 당시만 하더라도 수입차가 지금보다도 더 비쌌고 대중화되기 전인지라 최신형 국산 중형차만 타고 다녀도 충분히 먹어줬겠죠.

 

14인치 알루미늄 휠

정말 흔하게 보였던 14인치 알루미늄 휠의 모습입니다.

 

디자인만 놓고 본다면 지금 봐도 그렇게 질리는 스타일은 아닙니다. 1.8 GL에 적용되던 플라스틱 휠 커버보다는 이 알루미늄 휠 디자인이 훨씬 더 깔끔했었으니 말이죠. 디스크는 꽤나 많이 썩어있었고, 휠캡만 따로 교체했었는지 혼자만 제치 색상으로 살아있는 느낌이네요.

 

1995 HYUNDAI SONATA II 2.0 GLS SOHC M/T

2.0 GLS 무옵션 기본형이네요.

 

지난해 10월 목격했던 차량은 라이프팩이 적용되어 에어백 핸들과 ABS가 추가된 상태였지만, 이 차량은 완전 기본형 수동변속기 모델이네요. GLS 이상급 차량에만 적용되던 4 스포크 핸들의 모습도 보이고요. 이래저래 기본형이지만 전자식 7 밴드 이퀄라이저가 포함된 고급 오디오까지 기본 적용되었습니다.

 

여기서 골드로 넘어가야 가죽 핸들 및 스위치, 안개등, 가죽시트, 우드그레인이 적용되곤 했습니다.

 

여러모로 보이는 차량 상태가 그리 좋은 편은 아닌지라 수년 내 폐차장에 보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지난 25년 세월을 버텨왔던 것처럼 남은 여생도 지금의 차주와 함께 평화롭게 보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 주인공은 예산군 예산읍에서 발견한 '스텔라 88'입니다. 지난 10월에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스텔라 APEX를 목격했던 포스팅을 아무래도 대부분 기억하고 계시리라 생각됩니다.

 

2020/10/19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 - 1988 현대자동차 스텔라 APEX (1988 HYUNDAI STELLAR APEX)

 

1988 현대자동차 스텔라 APEX (1988 HYUNDAI STELLAR APEX)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한 고급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견한 88년 9월 등록된 스텔라입니다. 1983년 코티나의 후속모델로 출시되었으며, 포니에 이은 현대차의 독자모델입니다. 물론 독자모델

www.tisdory.com

지난번 목격했던 차량은 88년 9월 등록된 APEX.

이번에 목격한 차량은 87년 11월 등록된 88입니다.

 

1988년 서울올림픽 공식 자동차로 지정되었고 스텔라의 여러 파생형 모델 중 이름이 가장 쉬워서 그런건지는 몰라도 친숙하게 느껴집니다. 특징으로는 스모키 테일램프가 적용되었고, 서울올림픽 폐막 이후에는 GXL로 트림명을 변경하여 1.8리터 모델 출시 전까지 판매되었습니다. 

 

1987 HYUNDAI STELLAR 88 1.5 M/T

예산의 한 상가 앞 주차장. 각진 자동차가 한대 서있기에 가까이 다가가니 스텔라입니다.

 

쉽사리 볼 수 없는 스텔라를 그것도 매우 준수한 상태의 스텔라를 목격했으니, 잠시 가던 길을 멈추고 스텔라를 감상하기로 합니다. 요즘은 원체 각진 차도 없고 택시 모델이 97년까지 판매되었지만, 사실상 빠르게 자취를 감춘지라 마치 외제차를 보는 느낌입니다. 제가 초등학교 저학년이던 시절만 하더라도 스텔라 택시가 하나 둘 보이긴 했습니다만, 다른 택시들 사이 외소하게 보이던 스텔라 택시는 얼마 지나지 않아 사라지더군요.

 

나름 오래 생산했지만 200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쉽사리 볼 수 없었던지라 더 오래된 느낌입니다.

 

1987 HYUNDAI STELLAR 88 1.5 M/T

부착된지 얼마 안 된 느낌의 흰색 전국번호판과 해쉬태그 스티커가 보입니다.

물론 전반적인 상태는 복원작업을 거쳤을테니 매우 우수했습니다.

 

응답하라 1987 스티커와 번호판의 상태로 보아 상대적으로 젊은분이 비교적 근래에 차량을 구입하지 않았을까 추측됩니다. 상태는 딱히 흠 잡을 곳이 없을정도로 매우 우수했습니다. 특유의 스모키 테일램프도 잘 살아있었고, 레터링 역시 가공을 거쳤는지 반짝반짝 광이 나네요.

 

88 SEOUL OLYMPIC Official Car

88 엠블럼은 덧칠의 흔적이 보입니다. 그래도 깔끔하게 붙어있어 마치 신품을 사다 붙인 느낌이네요.

 

서울올림픽 공식 자동차로 선정되어 이 엠블럼이 붙게 되었지만, 그 시절 서울올림픽과 전혀 관계가 없는 물건과 도로명에도 올림픽이나 88이라는 문구가 들어갔습니다. 그만큼 당시 국민들의 올림픽에 대한 기대감이 매우 컸음을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87년 출시될 담배의 공모전을 통해 한 고등학생이 88년 서울올림픽이 연상되어 제출했던 88이라는 이름이 선정되었고, 80년대 초반 전두환 정부가 5.18로 피폐해진 호남 민심을 달래겠다며 영호남 화합의 고속도로라고 건설했던 고속도로의 이름도 88올림픽 유치 기념으로 88올림픽고속도로라 지었으니 말이죠.

 

스텔라88 특유의 크롬 휠커버와 175/70R13 타이어

스텔라88 특유의 크롬 휠커버. 그리고 수급에 전혀 문제가 없는 13인치 타이어입니다.

휀다 인너커버는 파손되었으나 부품을 구하지 못했는지 흙받이만 덩그러니 달려있네요.

 

지금 기준으로 스파크는 선택 할 수 없고, 모닝에는 깡통모델에서나 적용되는 13인치 휠과 타이어입니다만, 이 당시만 하더라도 중형차에 자랑스럽게 적용되었습니다. 아직까지도 13인치 광폭 타이어를 사용하는 경차들이 다수 굴러다녀 가격도 저렴한데다가 수급에 아무런 문제가 없지요. 반짝거리는 크롬 휠커버는 같은 사이즈의 휠타이어를 채택했어도 중형차만의 중후함을 느낄 수 있게 만들어 주고 있습니다.

 

5-SPEED

5단 수동변속기의 적용을 알리는 5-SPEED 레터링.

출고 당시 바디컬러와 동일한 미러가 적용되었는데, 무도장품으로 교체한것으로 추정됩니다.

 

4단 수동변속기 일색이던 중형차 시장을 선도했던 5단 수동변속기의 적용을 알리는 레터링입니다. 오토매틱 적용차량은 이 자리에 AUTOMATIC 레터링이 붙습니다. 지난번 목격한 APEX가 그랬지요. 스텔라를 시작으로 5단 수동변속기가 금새 대중화되어 금방 자랑거리는 아니게 되었습니다만, 당시만 하더라도 5단 수동변속기는 자랑거리였습니다.

 

1987 HYUNDAI STELLAR 88 1.5 M/T

직물시트도 한번 리폼을 거친 느낌입니다.

지난 11월 개최되었던 현대 헤리티지 위크 기념품 상자도 보이네요.

 

나름대로 80년대 감성을 잘 살렸는데 파란 직물시트가 돋보이는 느낌입니다. 여러모로 시트를 제외하면 오디오까지도 순정을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파란 포인트가 들어간 시트도 큰 위화감 없이 괜찮아보이네요. 도어트림은 기존 시트와 동일한 칙칙한 회색의 무패턴 직물로 마감되어 있습니다.

 

HANKUK SAFETY

측면 유리창의 로고가 유리 상단에 찍혀있네요.

 

프랑스 생고뱅에 인수되었다가 2019년 토종 사모펀드가 인수한 한국유리공업(한글라스)의 로고와 현대자동차를 의미하는 HMC 로고가 찍혀있습니다. 지금은 범 현대가 기업인 KCC글라스로부터 대다수 차량의 유리를 공급받지만, 이 시절에는 한국유리공업에서 순정 유리를 공급받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1987 HYUNDAI STELLAR 88 1.5 M/T

간단한 관람을 마치고 다시 제 갈 길을 가기 위해 돌아섭니다.

 

87년 11월 등록 차량인지라 삼원촉매가 부착되어있지 않아 휘발유 차량임에도 배출가스등급은 5등급일겁니다. 물론 중국몽 정권에서 적폐로 규정하여 몰살시키려 드는 디젤차와 같은 취급을 받게 되는데, 아무래도 중국발 미세먼지로 인해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되는 일이 잦은 겨울철에 돌아다니는 모습을 보기가 이전보다 더 어려워지리라 여겨집니다.

 

좋은 주인 만나 깔끔하게 복원된 상태에서 소장품으로 모셔질테니 폐차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될테고요. 지난 33년의 세월처럼 앞으로도 지금과 같은 모습으로 잘 달려주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