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지난 주말 경부고속도로 상행선 신갈-판교 구간에서 목격했던 쏘나타2입니다. 당시 스텔라의 고급형 모델로 파생되었던 차량을 쏘나타 계보에 넣지 않고 Y2를 1세대라 명명하여 2세대 취급을 받던 차량입니다만, 지금은 3세대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93년 5월 뉴그랜저의 플랫폼과 미쓰비시의 시리우스 엔진을 적용하여 출시되었던 '쏘나타2'는 96년 부분변경 모델인 '쏘나타3'의 등장 전까지 60만대 이상이 판매되었던 현대의 히트작이자 사실상 쏘나타가 중형차의 대명사로 불리는 계기를 만들었던 차량입니다. 대략 10년 전만 하더라도 도로 위에 지겹도록 많이 보이던 쏘나타2 역시 25년 가까운 세월을 버티며 쉽게 보기 힘들어졌네요.

 

여튼 96년 1월에 등록된 끝물 후기형 차량이지만, 멀리서 봐도 광이 날 정도로 잘 관리된 진녹색 차량을 보아 잠시 따라가며 사진으로 담아보았습니다.

 

1996 HYUNDAI SONATA II 2.0 GLS

서울30가 1천번대 번호판.

 

서울30은 종로구에서 발급하던 번호대역이고, 이러한 형태의 두자리수 지역번호판이 96년 1월부터 발급되었기에 96년 1월에 최초로 등록한 차량임을 알 수 있습니다. 96년 이전 등록 차량인데 주소지를 옮겨 중간에 번호판을 다시 발급받지 않았나 싶어 최초등록일을 확인해 보니 96년 1월에 최초로 부여받은 번호가 맞더군요.

 

당시 쏘나타2에는 매우 많은 엔진이 적용되었습니다. 같은 1.8 2.0이더라도 옵션에 따라 SOHC와 DOHC엔진이 적용되었고, 많이 판매되지 않아 자료는 없지만 수출형엔 디젤엔진까지도 적용되었다고 하네요. 여튼 이 차량은 2리터급 SOHC 엔진과 특유의 알루미늄휠이 장착된 GLS에 라이프팩(ABS+에어백)과 가다서다를 반복함에도 별다른 기어조작이 없음으로 보아 자동변속기가 적용된 차량으로 보입니다. 

 

1996 HYUNDAI SONATA II 2.0

가다서다를 반복하는 신갈부근 정체구간을 지납니다.

 

요즘차들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외소한 사이즈의 쏘나타2는 잘 달리고 있습니다. 안개등 한쪽은 누렇게 변해있네요. 그럼에도 문콕같은 부분을 제외하면 매우 준수하게 보존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당시 1.8 DOHC의 출력이 2.0 SOHC보다 훨씬 높고, 2.0 DOHC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아 가성비 트림으로 꽤나 많은 인기를 구가했었다고 합니다. 각진 차체에서 벗어나 유선형 디자인의 쏘나타 시대를 알린 차량이기도 하고, 당시 오렌지족과 집안에 돈이 좀 있는 대학생들이 타고 다니던 차량으로도 이름을 날렸다고 하네요. 여튼 이 디자인으로 판매는 3년밖에 하지 않았지만, 8세대까지 등장한 쏘나타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차량 중 하나입니다.

 

1996 HYUNDAI SONATA II 2.0

정체가 풀리니 이리저리 차선을 변경하여 막 밟고 나가네요.

 

어지간한 대학생들보다 나이가 많지만, 아직까지도 건재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요즘차들에 뒤쳐지지도 않고 오히려 앞서나가고 있네요. 앞으로도 지금 모습 그대로 준수한 상태를 유지하며 도로 위를 활보했으면 하는 바램이네요. 아마 지금껏 버텨왔던 세월만큼은 더 버텨주지 않을까 싶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한 고급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견한 88년 9월 등록된 스텔라입니다.

 

1983년 코티나의 후속모델로 출시되었으며, 포니에 이은 현대차의 독자모델입니다. 물론 독자모델이지만 코티나의 차체를 활용했고, 후륜구동 중형차임에도 소형차인 포니처럼 미쓰비시의 새턴엔진이 적용되었습니다. 물론 택시모델이 97년까지 생산되어 2000년대 초반에도 간간히 보였지만, 빠른 속도로 사라졌고 지금도 쉽사리 볼 수 없는 차량이 되어있었죠.

 

여튼 이러한 스텔라는 다양한 바리에이션이 존재하는데, 1세대 쏘나타(Y1) 역시 1.8리터와 2리터급 시리우스 엔진과 일부 호화 옵션을 적용하여 스텔라의 고급형 모델로 파생되어 나온 차량입니다. 

 

여튼 이번에 목격한 차량은 88년 9월 등록된 1.5리터 새턴엔진이 적용된 차량으로 나옵니다만, 쏘나타와 동일한 그릴의 APEX 모델에 쏘나타용 휠을 장착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서울2 구 지역번호판과 플레이트가 매우 준수한 상태로 남아있습니다.

서울2 구 구형 지역번호판이 부착된채로 지하주차장에서 먼지만 조금 묻은 상태로 보존중입니다.

 

보자마자 감탄사가 튀어나왔습니다. 30년이 넘은 스텔라가 이런 상태로 살아있으니 당연히 감탄사가 튀어나왔겠죠. 꽤나 가격이 나가는 아파트의 지하주차장에 있다는 얘기는 아마 누군가가 소장을 목적으로 보존하고 있다는 얘기가 되겠죠.

 

스텔라 스텔라 스텔라 뿜빠 스텔라 뿜빠 뿜뿜뿜

뭐 지하주차장 특성상 먼지가 조금 앉아있습니다만, 전반적으로 준수한 상태였습니다.

 

전형적인 80년대 자동차의 느낌. 요즘차에 비한다면 매우 외소한 체격을 보유하고 있지만, 당시 후륜구동 중형차로 판매되었던 차량입니다. 옆에 세워둔 꽤나 깔끔한 빨간색 XD 스포츠도 아마 같은 분이 소유하고 계시지 않을까 싶습니다.

 

AUTOMATIC

지금은 기본사양으로 여겨지는 자동변속기는 그 당시만 하더라도 자랑거리였습니다.

반대로 요즘은 수동변속기 차를 타는 사람들이 뒤에 수동차라고 스티커를 붙이고 다니는 시대네요.

 

AUTOMATIC 레터링이 매우 자랑스럽게 휀다에 붙어있습니다. 문짝 몰딩으로는 지하주차장이 습해서 그런지 곰팡이같은게 묻어있네요. 뭐 세차장 가서 고압수만 뿌려준다면 쉽게 지워질테니 큰 문제는 아닙니다.

 

레터링은 붙어있지 않다. 아마 칠을 새로 올려서 그런게 아닐까 싶은 생각이다.

스텔라를 보지 못핸 2000년대생이 본다면 아마 수입차라고 생각할겁니다.

 

40대 이상이라면 단번에 스텔라임을 알아보겠지만, 차에 대해 잘 모르는 30대 이하 세대에서는 아마 수입차가 아니냐고 물어보는 경우가 많을겁니다. 막상 레터링을 다 떼어놓고 보니 구형 벤츠. W123 E클래스나 W126 S클래스가 연상되는군요.

 

지금의 타원형 로고가 사용되기 전. HD로고가 휠캡에 그대로 살아있다.

휠은 당시 스텔라의 고급형 모델이던 쏘나타(Y1)의 휠이 장착되어 있었습니다.

 

타이어에 이물질이 묻고 휠에 분진이 좀 남아있긴 하지만, 스텔라의 순정휠은 아녀도 쏘나타의 순정휠이고, 휠캡에는 사실상 지금은 거의 볼 수 없는 'HD'로고가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경이롭습니다. 당시 스텔라와 쏘나타가 외장에서 큰 차이가 없었던지라 그릴과 휠 등을 바꿔 쏘나타로 개조하는 경우도 많았다고 합니다. 2세대 SM5를 SM7으로 개조하는 경우나 옵티마를 고급형 모델인 리갈로 개조하는 등 그런 사례는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꽤 많이 볼 수 있었습니다. 

 

인조가죽 시트커버가 씌워져 있다.

인조가죽 시트커버가 씌워져 있습니다.

 

그 부분을 제외한다면 도어트림도 직물 그대로. 대시보드도 순정 그대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뭐 인조가죽 시트커버야 벗겨내면 기존의 직물시트를 만날 수 있겠죠. 사실 큰 상관은 없습니다.

 

증립에 놓여진 기어

기어가 P가 아닌 중립에 놓여져 있었습니다.

 

이유가 무엇인지는 모르겠지만, 기어가 중립에 놓여져 있네요. 전반적으로 실내 역시 각지고 정렬된 디자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이드브레이크 레버도 콘솔박스도 핸들도 그 시절 승용차가 다 그렇듯이 각이 살아있습니다.

 

현대 순정 컴포넌트 시스템

현대 로고가 선명하게 박힌 미드 스피커가 보입니다.

 

옛날에 엑셀같은 차 뒷편에 이런 박스형태의 미드레인지 스피커가 올려져 있었던 모습을 기억하는데 정말 오랜만에 보는 느낌이네요. 아마 용품 형태로 판매되던 스피커였을텐데, 차주분께서 음악을 좋아하셔서 이런 스피커를 추가로 장착하지 않았나 싶은 생각입니다.

 

무선국 허가확인증

앞유리에는 무선국 허가확인증이 선명하게 붙어있습니다.

 

무선국. 즉 카폰을 사용하기 위해 허가를 받았다는 확인증입니다. 카폰 자체가 사라진지 20년이 훨씬 넘었던지라 이것 자체만으로도 하나의 유물이 아닐까 싶습니다. 허가번호와 차량번호 그리고 유효기간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인 무선국의 허가기간이 5년이니 93년 6월에 허가를 받고 발급받은 확인증으로 추정됩니다.

 

여러모로 세차만 하면 매우 말끔한 상태의 스텔라를 목격했습니다. 소장이 목적이라면 아마 사라질 일은 없겠죠. 앞으로도 좋은 주인의 사랑을 받으며 지금과 같은 상태로 잘 보존되기를 기원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