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드카'에 해당되는 글 155건

반응형


업무차 이동한 대전의 한 카센터. 주택가에 소재한 작은 경정비 업체인데, 간판이 조금 특이해서 사진으로 남겨놓았습니다. 평범한 간판 역시 거꾸로 매달려 있었고요, 간판으로 티코를 잘라 사용하고 있었네요.



멀리서부터 카센터가 눈에 들어옵니다.


노란 칠이 되어있는 티코. 휠에는 빨간 페인트를 칠해두었습니다. 휠타이어도 그대로. 유리도 그대로. 전조등과 후미등까지 그대로 붙어있더군요. 보통 한적한 공간이 있는 카센터 같은 경우에는 폐차를 간판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가끔 본 기억이 있습니다만, 주택가의 작은 경정비업체에서 자동차를 간판으로 쓰는 모습을 보니 신기하게 느껴지기만 합니다.


대략 티코 뒷유리에 붙은 무연 스티커와 주유구의 열쇠구멍을 보아하니 초기형 민자티코로 보이는군요. 슈퍼티코의 전유물이던 뒤 스포일러는 이후에 붙이지 않았나 추정해봅니다.



어떻게 잘라다 붙여놓았나 궁굼해서 간판 아래를 살펴봅니다.


잘라다 붙인건 맞습니다. 간판을 고정하는 철제 브라켓을 붙여놓고, 티코의 단면을 잘라 용접으로 고정한듯 보이네요. 간판으로 사용하기 위해 일부 단면을 잘라내었지만 트레일링암과 브레이크 호스는 살아남았습니다.



타이어는 지금은 단종된 금호타이어 POWER MAX 769.


12인치 사이즈가 생산되지 않은지 대략 7~8년은 지난걸로 알고있습니다. 하얀 테두리가 있는걸로 보아 90년대에 끼웠거나 출고용 타이어가 아닐까 조심스레 예측해봅니다. 로드뷰로 이 공업사의 10년 전 사진을 보더라도 티코 간판은 그대로 걸려있더군요. 대략 10년 이상의 세월을 잘려서 간판으로 사용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시간이 그리 넉넉하지는 않아 신기한 간판을 뒤로하고 빠져나왔습니다. 개체 자체도 많이 줄어 사실상 거의 다 전멸했다고 보는것이 맞는 티코이지만, 티코 간판은 부디 오랜 세월 카센터 간판으로 대 활약을 해주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당진의 한 주택가 공영주차장에서 본 구형 포터입니다.


1986년부터 1993년 부분변경 모델의 출시 직전까지 대략 7년간 판매되었던 흔히 말하는 '각'포터는 전두환 정권 시절 시행되었던 자동차공업합리화조치의 해제 이후 다시 트럭을 만들 수 있게 된 현대자동차가 미쓰비시의 2세대 델리카 트럭 모델을 그대로 라이선스 생산하였던 차량입니다. 


포터는 구형 모델인 2세대 델리카 트럭을 기반으로 라이선스 생산을 하였는데 이후 3세대 델리카를 기반으로 하는 승합차 그레이스와 비슷한 형태의 부분변경 이전까지 미쓰비시 델리카 트럭과 비슷한 모습으로 판매되었습니다.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의 주인공 역시 흔히 말하는 각포터. 후기형 차량입니다.



공사 자재가 가득 적재되어 있습니다.


비계(아시바) 발판 및 파이프들로 보이네요. 당시 미쓰비시 소형트럭이 하늘색과 흰색 조합의 도색을 사용하였기에 그 차량을 그대로 들여온 현대의 포터 역시 같은 디자인의 문짝 도색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세월이 세월인지라 여기저기 부식의 흔적이 보이곤 하는데, 심각한 수준은 아니라 여겨집니다.


1993년 3월에 최초로 등록되었으니, 최후기형 차량으로 대략 만 27년의 세월을 버텨왔습니다.



여기저기 찍히고 녹이 슬었습니다만, 그래도 원형 그대로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사이드미러만 부분변경 이후 모델용으로 교체되어 있었고, 그 외에는 각포터용 부품 그대로 보존되어 있었습니다. 번호판은 신형 지역번호판으로 천안에서 발급되었던 번호판이네요. 충남80 '마'인것으로 보아 아마 2000년대 들어 번호판을 교체하지 않았나 추정됩니다.



포터 레터링과 함께 슈퍼캡(SUPER CAP) 엠블렘까지 살아있습니다.


각그랜져 뉴쏘나타 각그레이스 스텔라 등 그시절 현대차의 레터링들은 모두 같은 폰트를 사용합니다. 포터 역시 마찬가지고요. 포터 레터링만 붙은 차량은 흔히 보았지만, 그 옆 슈퍼캡 엠블렘까지 붙은 차량은 그리 쉽게 보지 못했습니다. 우연찮게 제치 그대로 붙어있는 모습을 목격하네요.



각포터 특유의 일자 핸들. 80년대 일본차 특유의 각지고 투박한 진청색 인테리어.

핸들 뒤에 붙은 칼럼 시프트형 기어가 아닌 지금도 흔히 볼 수 있는 기어봉 형태의 수동기어입니다.


초기 및 중기형 모델까지만 하더라도 핸들 뒤 기어봉이 붙어있는 칼럼 시프트형 기어가 적용되었습니다만, 이후 개선을 거쳐 현재까지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식의 기어로 변경되었지요. 이 차량 역시 후기형인지라 핸들 대신 운전석 옆으로 기어봉이 솟아있습니다.



다른 휠에는 커버가 붙어있지 않았습니다만, 운전석 앞바퀴에만 뉴쏘나타용 휠커버가 붙어있네요.


뉴쏘나타(Y2)와 일부 뉴그레이스에 적용되었던 휠커버입니다. 당연히 포터에는 붙어 나오지 않았으니 어디서 구해다가 직접 부착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왜 다른 휠에는 남아있지 않고 하나만 남아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포 터    HYUNDAI

차량총중량 2630kg


적재함 문짝도 제치입니다. 스티커도 그대로 붙어있습니다. 90년부터 93년까지 이와 같은 배열의 스티커를 사용하였고, 부분변경 이후 모델도 적재함 문짝의 형태는 좀 더 완만하게 바뀌었지만, 같은 배열로 스티커를 부착하였습니다. 


만 30년을 바라보는 노장입니다만, 아직도 현장용 차량으로 큰 문제 없이 이용중인 모습입니다. 90년대 초반에 태어나서 2020년대 초반을 보내고 있는 우리의 각포터가 부디 오랜 세월 현장을 누빌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