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올드카 목격담에 들어가기는 애매하지만, 이 조합은 상당히 보기 힘듭니다.


출시 이후 대략 보름동안 부착된 뒤 번호판 규격이 변경되어 보기 귀한 녹색 전국번호판 베라크루즈가 이 분야에서는 아무래도 가장 귀한 챠량이겠습니다만, 그에 버금가게 보기 힘든 조합의 번호판과 차량을 꼽자면 지역번호판을 부착한 쎄라토가 아닐까 싶습니다.


녹색 번호판의 베라크루즈는 그래도 여러번 보았던 기억은 있습니다만, 지역번호판을 부착한 쎄라토는 딱 세번째로 목격하게 되는 상황이네요. 기아자동차의 쎄라토는 2003년 11월에 출시되었고 2004년 1월부터 흔히 바보번호판. 칠판번호판이라 하는 녹색 전국번호판이 발급되기 시작하였으니 말이죠.


연말을 앞둔 시점에 출시되었고, 거기다가 번호판 규격이 바뀌는지라 2003년 12월 중순 이후 쎄라토를 출고한 차주들은 졸지에 구형 티가 나는 모습을 보고싶지 않을테니 대다수가 2004년에 등록하여 전국번호판을 받았으리라 생각됩니다. 거기에 전국번호판과 달리 차주가 이사를 가거나, 다른 지역에 사는 사람에게 양도되는 경우 전국번호판으로 교체가 되어 2003년에 출고되었어도 전국번호판을 달고 있는 경우도 많겠죠.


여튼 녹색번호판이 부착되었어도 지역 및 소유주의 변경시 번호판을 바꿔야 하는 의무가 없는 녹색 번호판의 베라크루즈보다 훨씬 더 적은 수의 개체가 살아있다고 여겨지는 지역번호판이 부착된 쎄라토를 보았습니다.



2004년형 2003년 등록. 초기형 쎄라토입니다.


뭔가 녹색 전국번호판으로 흔히 보이던 차량인지라, 지역번호판이 부착된 모습은 낮설게 느껴지기만 합니다. 물론 신차 출고 이후 주인이 단 한번도 바뀌지 않았거나, 주인이 바뀌었다 한들 같은 경기도 지역 내에서 변경되었고 번호판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아닐까 싶습니다. 


여튼 매우 보기 귀한 케이스로, 경기 36. 안양시 지역에서 발급되었던 번호판입니다. 안양시에서 먼저 부여된 경기 35로 시작하는 번호판은 지금도 종종 보입니다만, 경기 36은 2003년에만 잠시 풀렸던 번호대역인지라 쉽게 볼 수 없는 숫자입니다.


뒤 휀다 부분에 약간의 부식은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깔끔한 상태의 흰색 쎄라토였습니다. 현대자동차의 기아자동차 인수 이후 XD 플랫폼으로 처음 개발된 차량이 바로 쎄라토였습니다. 물론 이 당시만 하더라도 기아차는 같은 성능을 지녔지만 편의사양이나 디자인에서 한단계 떨어지는 현대의 아류 느낌이 강하게 느껴지던 시기였습니다. 


물론 이와 같은 의도적인 핸디캡 탓에 판매량도 그리 좋지 못했던게 2000년대 초중반의 기아차였고, 2008년 디자이너 피터 슈라이어를 영입해온 뒤 날렵하고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승부수를 띄워 현대의 아류작 취급이였던 기아차가 본격적으로 특색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동급의 경쟁 차량들과 마찬가지로 중고차 수출 효자품목으로 여겨져 어지간해서는 수출길에 오르고 있습니다. 이는 2003년 출시된 초기형, 2005년 일부 부분변경을 거친 중기형, 2006년부터 포르테 출시 직전까지 판매되었던 싸이가 광고를 촬영했던 후기형 모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부분입니다.


벌써 17년차에 접어드는 노후차량인지라 2020년대를 모두 보내지 못하고 사라지겠지만, 부디 오랜 세월 지역번호판을 부착한 흔치 않은 모습 그대로 잘 달려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대전 외곽의 한 골목에서 본 15인승 승합차 토픽과 관련된 이야기입니다.

토픽이라 하면 한국어능력시험 TOPIK을 떠올리는 사람이 많겠습니다만, 승합차 이야기입니다.


근래에도 베스타를 보았고 그동안 베스타는 1년에 한 번 수준으로 목격했지만, 가장 최근에 토픽을 보았던게 대략 5년 전 일로 기억됩니다. 그만큼 베스타보다 토픽이 보기 어렵다는 이야기죠. 2000년대 초중반 이후 급속도로 사라졌습니다.


가장 최근 목격했던 기억이 대략 10년 전 즈음인 초기형 토픽이 아닌 91년 이후 등장한 부분변경 모델인 AM715 하이토픽이지만, 그래도 원체 귀한 차량이다보니 지나가던 길 사진으로나마 남기게 되었습니다.



골목길에 진입하자마자 반겨주는 우리의 하얀 바디의 토픽.


흔히 공장로고라 하는 구형 아시아자동차 엠블렘. 그리고 '충남5 포' 구형 지역번호판. 보이는 외관상의 상태는 그리 좋지 못했습니다만, 올드카의 가치를 더해주지만 보기 힘든 조합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물론 당연하게도 하이베스타처럼 어느정도 각이 완화된 신형 모델입니다만 그래도 정말 오랜만에 목격합니다.


아시아자동차의 토픽은 1986년 출시된 베스타의 롱바디 모델로 1987년 출시되었습니다. 내내 같은 모델인 베스타와의 차이점이라면 베스타보다 작은 창문이 하나 더 있고, 베스타에는 없는 15인승 모델이 존재함과 함께 전후면 디자인이 조금 다른 수준. 그리고 베스타는 소하리에서, 토픽은 광주에서 생산하던게 전부였습니다.


물론 베스타는 로나엔진이라던지, 기아에서 개발한 JS엔진이 적용된다던지 꾸준히 파워트레인의 변화가 있었습니다만 토픽은 출시 초기부터 마쯔다의 XB 2.7 디젤엔진이 적용되다가 90년대 중반 J2엔진의 개발 이후 'J2 토픽'으로 넘어갔습니다.


12인승 이하 모델인 기아자동차 베스타의 경우 프레지오의 등장 이후 염가형 차량으로 생산하다가 1997년 단동되었습니다만, 토픽은 프레지오의 15인승 모델인 '프레지오 그랜드'가 등장한 1999년까지 무려 만 12년동안 생산되었습니다. 



토픽입니다 토픽. 이게 얼마만에 보는 토픽인지요.


AM715 하이토픽입니다. 한 올갱이 전문 식당에서 사용하는 차량입니다. 최초등록은 1993년 4월. 과도기가 아닌 구형 엠블렘을 사용하던 시기에 나온 차량입니다. 아시아자동차의 구형 엠블렘이 선명한 휠캡은 일부 남아있고요. 그럭저럭 덧칠이 된 상태이지만 크게 하자가 될 수준은 아닌듯 보입니다. 물론 세기말까지 생산이 되었던지라 2000년대 중반만 하더라도 기아자동차 엠블렘을 부착하고 상태가 우수했던 J2엔진이 적용된 최후기형 토픽을 흔히 볼 수 있었습니다만, 죄다 수출길에 오른 탓에 갑작스레 도로에서 자취를 감춰버린 차량입니다.


그래도 이렇게 눈에 쉽게 띄지 않는 공간에 간간히 살아남은 토픽이 존재하긴 합니다만, 아마 올드카 애호가들에게 관리받으면서 전국에 살아남은 포니2 픽업보다 훨씬 더 적은 개체수만이 남아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베스타는 그래도 매년 지나가며 한두대정도 보긴 합니다만, 토픽의 경우 후기에 가서는 쌍용 이스타나라는 강한 경쟁상대에 밀리며 판매량이 저조했던 부분과 거의 모든 개체가 수출길에 올랐다 보니 귀해지지 않았나 싶습니다. 


여튼 강력한 중고차 수출의 카오스에서도 살아남은 토픽들의 미래 역시 밝지만은 않습니다. 중국몽 정권에 의해 적폐로 규정된 노후 디젤차이다보니 남은 개체들도 머지않은 시일 내에 사라지리라 생각됩니다.



측면 유리를 보고 토픽과 베스타의 구분이 가능합니다.


베스타는 3열 유리까지 존재합니다만, 토픽은 그 뒤로 작은 유리가 하나 더 붙어있습니다. 어릴적 유치원 통학차량이 하이토픽이였는데, 그 당시 기억을 되살려보면 아마 맨 뒷유리는 열리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래서 맨 뒷열에 탑승하면 답답하게 느끼곤 했었습니다.


올갱이요리 전문점에서 사용하기 이전에는 LG전자 대리점에서 사용했던 차량으로 보입니다. 하얀색 페인트로 덧칠을 하기 전 붙어있던 스티커를 제거하지 않아 스티커가 갈라진 모습이 보입니다. '완전평면 LG 프립톤' 그리고 올갱이라 적힌 부분에는 LG전자 대리점의 이름과 전화번호의 흔적이 남아있습니다.



레터링도 흙받이도 그대로 살아있습니다.


덧칠이 된 상태가 아쉽기만 합니다. 물론 그래도 몇 없는 아시아자동차에서 생산된 소형차이자 살아있어서 감사한 토픽입니다만, 레터링도 아시아 로고가 박힌 흙받이와 트렁크 래버도 그대로 살아있데 덧칠이 되어 안타깝습니다.


그나마 대전에 등록된 차량이라면 인구 50만 이상의 시 혹은 광역시에 적용되는 까다로운 정기검사를 통과하지 못하고 폐차되었겠죠. 그나마 충남에 등록되어 충남 번호판을 달고 있는 것이 2020년대를 며칠 남기지 않은 오늘날까지 우리의 하이토픽이 살아있는 이유가 아닐까 싶습니다.


다음에 이 근처에서 밥을 먹게 된다면, 올갱이집에 방문하여 다시 한번 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30년 가까운 세월을 버텨온 토픽이 앞으로도 부디 오랜 세월 올갱이집의 마스코트로 남았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