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다반사'에 해당되는 글 1166건

반응형


대략 며칠 전부터 귀에 딱지가 앉을 정도로 부모님께 들었던 얘기가 있습니다.


"12월 19일에 당진문예의전당에서 장윤정하고 미스트롯 출연자들이 나오는 콘서트 한다더라."

"12월 3일 오후 2시에 티켓팅 시작이라고 하니 자리 좀 잡아줘라."


최근에 미스트롯 출연자들로 구성된 그룹 비너스의 '깜빡이'라는 노래와 정다경의 결선 경연곡인 '사랑의 신호등'을 듣고 노래가 괜찮아 근래에 와서 조금 관심을 가지던 사람이였지 저는 미스트롯에 별 관심도 없었고 우승자인 송가인의 인생 역전 스토리정도만 알고 있던 사람이였습니다.


그럼에도 부모님은 미스트롯 출연자들이 출연하는 방송을 꼬박꼬박 챙겨보고 계시더랍니다.



트로트대축제 장윤정&미스트롯


트로트 아니 모든 음악장르를 통틀어 최정상급 가수인 장윤정과 우지마라, 오라버니로 이름을 알린 김양. 미스트롯 결선 진출자인 개그우먼 출신 김나희와 역시 KBS 개그우먼 출신이자 합덕출신의 남편과 결혼하여 당진시 홍보대사가 된 안소미까지 네명의 가수가 나옵니다.


물론 송가인과 홍자를 비롯한 입선자들이 오지는 않지만, 정상급 가수인 미스트롯의 심사위원과 요즘 주가가 오를대로 오른 출연자들이 셋이나 나오는 행사입니다. 그럼에도 1000석이 넘는 당진문예의전당 대공연장의 맨 앞자리 P석의 가격이 6만원. 90년대생의 향수를 자극하며 20억 넘는 금액을 펀딩으로 모금했던 이용신 성우의 단독콘서트의 티켓 가격이 8만8천원이였던 부분을 생각한다면 최정상급 가수가 등장함에도 혜자수준의 가격입니다.


(물론 연말 극성수기인 부분을 감안한다면 그리 비싼건 아니지만, 정상급 가수가 등장하는 콘서트보다 비싼 부분은 이해하기 힘듭니다.)


그렇게 두시 땡. 제가 접속했던 시점에서 아무도 좌석을 선점하지 않았더군요.

매우 여유롭게 맨 앞줄 가장 가운데 좌석 두개를 선점했습니다.


티켓팅에 앞서 이미 공개되어 2층의 일부 좌석만 남은 다른 공연으로 예행연습을 진행하여 대략 감을 잡았고, 두시가 되기 전 가장 빠르게 좌석 선택 메뉴로 갈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연구하였는데 그 성과물이라 보면 되겠습니다.


결제까지 마친 뒤 잔여좌석을 확인하니 약 3분만에 1층 좌석은 전부 매진. 남은 2층 좌석도 10분 안에 다 털렸습니다. 그 이후로 간간히 나오는 앞 좌석들로 옮기는 수요로 중간중간 취소된 좌석들이 잠시 보였습니다만, 그마저도 금새 사러지더군요.




공연장 1층 좌석도와 함께 보시면 제가 잡은 좌석이 정확히 가운데라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제가 잡아놓고도 도무지 믿기지 않는 경이로운 결과입니다.


웃돈이 붙고도 남을 자리입니다만, 이 공연을 보러 공연장에 온 천여명의 사람들 중 무대에 선 출연자들과 가장 가까이에서 호흡 할 수 있는 자리를 잡았습니다. 연말을 맞이하여 돈을 주고도 바꿀 수 없는 최고의 효도선물이 아닐까 싶습니다. 모처럼만에 저도 제가 자랑스럽게 느껴집니다.


상대적으로 아이돌 콘서트나 대도시에서 진행되는 콘서트 대비 중장년 비율이 높았을테고 경쟁률은 낮았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래서 제게 이런 좋은 기회가 왔는지 모르겠네요.


연말맞이 최고의 효도선물. 벌써부터 후기가 기대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서해선 복선전철 공사가 진행중입니다.

이미 모든 구간에서 교각은 세워졌고, 상판을 올리는 작업이 진행중이지요.


이미 소사-원시선이라 불리는 수도권 전철 서해선은 지난해 개통하였고, 화성 송산에서 홍성까지의 구간은 전철 대신 일반열차가 운행된다고 합니다. 물론 바람잡이가 전문인 땅쟁이들은 과연 그럴까 싶은 허황된 미래를 얘기하며 오늘도 투기꾼들을 속여서 땅을 팔아먹지만, 신안산선의 직결 연결 없이는 반쪽짜리 철도입니다.


여튼 합덕역을 지나 삽교 방면으로 가는 길. 국도 제 32호선 위를 통과하는 구간이 있습니다.


며칠 전부터 이 구간을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통제하고 상판을 올리는 작업을 진행한다는 공지가 있었는데, 정작 당일 6시가 넘은 시간에도 작업이 계속 이어지고 있더군요.



연호교차로 위를 지나갑니다.


반대차로는 한 차로가 통제중이고, 제가 지나가는 차로는 두 차로 모두 봉만 흔들 뿐 통행에는 지장이 없는 상태였습니다. 콘크리트 상판을 올리고 또 교각에 잘 맞추어 놓는 일이 그리 쉬워보이지만은 않습니다.





앞으로 몇년이 지나면 이 위로 열차가 다니겠지요.


서해선이 개통하는 그날이 온다면 아마 오늘날의 사진 역시 귀중한 자료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